목차
머리말 ... 3
제1장 소설의 개념 ... 11
제2장 고소설 용어 정립 ... 21
Ⅰ. 諸名稱의 타당성 검토 ... 24
Ⅱ. '고소설' 용어의 타당성 ... 35
제3장 조선조 유학자의 소설관 ... 39
Ⅰ. 유학자의 소설관 ... 42
Ⅱ. 소설관의 변모 양상 ... 57
제4장 고소설의 유형 ... 61
Ⅰ. 傳奇小說 ... 63
Ⅱ. 擬人小說 ... 65
Ⅲ. 夢遊小說 ... 66
Ⅳ. 理想小說 ... 67
Ⅴ. 軍談小說 ... 68
Ⅵ. 艶情小說 ... 70
Ⅶ. 諷刺小說 ... 71
Ⅷ. 家庭小說 ... 72
Ⅸ. 論理小說 ... 73
Ⅹ. 판소리계 소설 ... 74
제5장 고소설의 특징 ... 77
Ⅰ. 형식 ... 79
Ⅱ. 내용 ... 81
제6장 고소설사의 시대구분 ... 83
제7장 고소설의 사적 전개 ... 99
Ⅰ. 중세 초기의 소설 ... 101
1. 개관 ... 101
1) 調信傳 ... 103
2) 金現感虎 ... 104
3) 崔致遠 ... 105
4) 首揷石枏 ... 106
2. 調信傳과 枕中記에 나타난 꿈의 수용양상과 의미 ... 107
1) 꿈의 수용양상 ... 109
2) 꿈의 기능과 독자의 측면 ... 115
3) 문학적 의의 ... 120
3. 金現感虎의 서술의식과 문학사적 의미 ... 127
1) 이본 ... 129
2) 서술의식 ... 135
3) 문학사적 의미 ... 138
Ⅱ. 중세 중기의 소설 ... 142
1. 개관 ... 142
1) 麴醇傳 ... 145
2) 孔方傳 ... 145
3) 麴先生傳 ... 146
4) 淸江使者玄夫傳 ... 147
5) 竹夫人傳 ... 147
6) 楮生傳 ... 148
7) 丁侍者傳 ... 149
Ⅲ. 중세 말기의 소설 ... 150
1. 개관 ... 150
1) 金鰲神話 ... 151
(1) 萬福寺樗蒲記 ... 154
(2) 李生窺墻傳 ... 154
(3) 醉遊浮碧亭記 ... 155
(4) 南炎浮洲志 ... 155
(5) 龍宮赴宴錄 ... 156
2) 薛公瓚傳 ... 156
3) 企齋記異 ... 157
(1) 「安憑夢遊錄」 ... 157
(2) 「書齋夜會錄」 ... 158
(3) 「崔生遇眞記」 ... 158
(4) 「何生奇遇傳」 ... 158
4) 夢遊小說 ... 159
(1) 大觀齋夢遊錄 ... 159
(2) 元生夢遇傳 ... 160
(3) 睡鄕記 ... 160
5) 擬人小說 ... 161
(1) 天君傳 ... 161
(2) 愁城誌 ... 161
(3) 抱節君傳 ... 162
6) 王郞返魂傳 ... 162
2. 金時習과 金鰲神話 ... 163
1) 생애 ... 165
(1) 生長修學期 ... 165
(2) 流浪遍歷期 ... 165
(3) 金鰲隱遁期 ... 166
(4) 失意徘徊期 ... 167
2) 사상 ... 169
(1) 儒敎思想 ... 169
(2) 佛敎思想 ... 169
(3) 道仙思想 ... 171
3) 金鰲神話 ... 172
(1) 자아의 의식화 세계와 萬福寺樗蒲記 ... 172
(2) 환상의 세계와 李生窺墻傳 ... 173
(3) 초월의 세계와 醉遊浮碧亭記 ... 174
(4) 작가 사상의 세계와 南炎浮洲志 ... 174
(5) 작가 욕망의 세계와 龍宮赴宴錄 ... 174
3) 문학사적 위상 ... 175
3. 金鰲神話 연구의 경향별 검토와 쟁점 ... 177
1) 문헌학적 연구와 과제 ... 180
(1) 해제 및 주석 ... 180
(2) 판본 ... 181
2) 비교문학적 연구와 쟁점 ... 182
(1) 국외설 ... 182
(2) 국내설 ... 183
(3) 국내외 절충설 ... 184
3) 작가론적 연구와 쟁점 ... 186
(1) 생애 ... 186
(2) 사상 ... 186
4) 작품론적 연구와 쟁점 ... 190
(1) 작품 구조 ... 190
(2) 미의식 ... 191
(3) 삽입시 ... 192
5) 소설사적 위상과 쟁점 ... 194
Ⅳ. 중세에서 근대로 전환기의 소설 ... 198
1. 개관 ... 198
1) 蛟山小說 ... 201
(1) 홍길동전 ... 204
(2) 南宮先生傳 ... 207
(3) 蔣生傳 ... 207
(4) 張山人傳 ... 208
(5) 嚴處士傳 ... 208
(6) 蓀谷山人傳 ... 209
2) 歷史軍談小說 ... 210
(1) 壬辰錄 ... 211
(2) 林慶業傳 ... 212
(3) 朴氏傳 ... 213
3) 西浦小說 ... 213
(1) 九雲夢 ... 216
(2) 謝氏南征記 ... 217
4) 擬人小說 ... 218
(1) 花史 ... 219
(2) 天君演義 ... 221
(3) 義勝記 ... 222
5) 夢遊小說 ... 223
(1) 達川夢遊錄 ... 224
(2) 金華寺夢遊錄 ... 225
(3) 江都夢遊錄 ... 225
(4) 皮生冥夢錄 ... 226
(5) 雲英傳 ... 226
6) 崔孤雲傳 ... 227
7) 英英傳 ... 229
8) 彰善感義錄 ... 229
9) 周生傳 ... 231
10) 韋敬天傳 ... 232
11) 崔陟傳 ... 233
12) 柳淵傳 ... 233
2. 홍길동전의 한자표기문제와 작자 시비 ... 234
1) 홍길동전의 한자표기 문제 ... 235
2) 홍길동전의 작자 시비 ... 239
(1) 허균 창작설 ... 239
(2) 허균 창작부정설 ... 240
(3) 허균 창작부정설 반론 ... 244
(4) 홍길동전의 작자 ... 247
3. 홍길동전 연구의 경향별 검토와 쟁점 ... 256
1) 작자 시비 ... 258
2) 한자 표기 문제 ... 260
3) 이본 문제 ... 262
4) 형성 배경 논쟁 ... 264
5) 비교문학적 논의 ... 266
6) 주제 ... 268
4. 구운몽 연구의 경향별 검토와 쟁점 ... 271
1) 창작 시기와 창작 장소에 대한 검토와 쟁점 ... 274
2) 원본에 대한 연구 ... 276
3) 근원사상에 대한 연구 ... 278
(1) 三敎和合說 ... 278
(2) 佛敎思想說 ... 279
(3) 空思想說 ... 280
(4) 空思想說의 비판 ... 281
(5) 空思想說의 비판에 대한 반론 ... 282
4) 비교문학적 연구 ... 282
5) 주제 ... 284
Ⅴ. 근대초기의 소설 ... 287
1. 개관 ... 287
1) 燕岩小說 ... 289
(1) 兩班傳 ... 292
(2) 許生傳 ... 293
(3) 虎叱 ... 294
(4) 廣文者傳 ... 295
(5) 穢德先生傳 ... 295
(6) 閔翁傳 ... 296
(7) 馬장傳 ... 296
(8) 金神仙傳 ... 297
(9) 烈女咸陽朴氏傳 ... 297
(10) 虞裳傳 ... 298
(11) 易學大盜傳, 鳳山學者傳 ... 298
2) 文無子小說 ... 299
(1) 沈生傳 ... 301
(2) 柳光億傳 ... 301
(3) 張福先傳 ... 302
(4) 李泓傳 ... 302
(5) 崔生員傳 ... 303
(6) 浮穆漢傳 ... 303
(7) 南靈傳 ... 304
3) 판소리계 소설 ... 305
(1) 春香傳 ... 307
(2) 沈淸傳 ... 309
(3) 興夫傳 ... 309
(4) 壅固執傳 ... 310
(5) 변강쇠전 ... 310
4) 창작군담소설 311
(1) 劉忠烈傳 ... 313
(2) 蘇大成傳 ... 313
(3) 張伯傳 ... 313
5) 동물의 의인소설 ... 313
(1) 장끼전 ... 314
(2) 鼈主簿傳 ... 315
(3) ○의 의인소설 ... 316
(4) 蟾同知傳 ... 317
6) 玉麟夢 ... 318
7) 紅白花傳 ... 319
8) 柳綠傳 ... 319
9) 一藥亭記 ... 319
10) 金銓傳 ... 320
2. 춘향전 연구의 경향별 검토와 쟁점 ... 320
1) 발생 및 기원 ... 324
2) 근원설화 ... 325
3) 이본 ... 328
4) 주제 ... 330
5) 작자문제와 실존설 ... 332
3. 興夫傳의 주인공에 관한 인성분석 ... 334
1) 인성분석의 필요성 ... 335
2) 인성분석의 방법 ... 337
3) 인성분석 ... 339
(1) 놀부 ... 339
(2) 흥부 ... 344
4) 분석 결과 ... 359
4. 장끼전의 이본과 세계관적 인식 ... 363
1) 이본간의 대비 ... 364
(1) 의미기능단락 ... 364
(2) 등장인물의 성격 ... 366
2) 장끼전의 작자와 창작연대 ... 368
3) 상반된 세계관적 인식 ... 370
4) 문학적 의의 ... 372
5. 三國志演義가 한국소설에 미친 영향 ... 373
1) 三國志演義의 도입과 수용양상 ... 375
2) 三國志演義가 한국 고소설에 미친 영향 ... 384
(1) 등장인물 ... 384
(2) 사건 ... 391
① 單騎戰 ... 391
② 埋伏戰 ... 394
③ 火攻戰 ... 397
④ 道術戰 ... 401
(3) 배경 ... 404
(4) 문장형식 ... 406
Ⅵ. 근대 중기의 소설 ... 410
1. 개관 ... 410
1) 彩鳳感別曲 ... 411
2) 裵裨將傳 ... 413
3) 薔花紅蓮傳 ... 413
4) 黃月仙傳 ... 414
5) 明珠寶月聘 ... 415
6) 玩月會盟宴 ... 416
7) 玉樓夢(玉蓮夢) ... 416
8) 三韓拾遺 ... 417
9) 六美堂記 ... 418
10) 烏有蘭傳 ... 419
11) 鍾玉傳 ... 420
12) 天君本紀 ... 420
2. 天君實錄의 작자 시비와 작품구조 ... 422
1) 작자시비 ... 422
(1) 작자는 鄭昌翼이 아니고 柳致球이다 ... 422
(2) 柳致球의 생애와 문학사상 ... 427
2) 작품분석 ... 434
(1) 창작연대와 동기 ... 434
(2) 경개 ... 435
3) 등장인물의 성격 ... 438
4) 사건 전개의 양상과 그 의미 ... 443
5) 문학적 가치 ... 448
찾아보기 ... 45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