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윤동주의 '서시'의 언어학적 분석 ... 13
1. 들머리 ... 13
2. '서시'에 대한 문학 비평가들의 논평 ... 15
3. 시의 언어학적 분석 방법 ... 17
4. '서시'의 언어학적 분석 ... 20
4.1. 형식론적 구성 ... 21
4.2. 첫째 행과 둘째 행 ... 23
4.3. 셋째 행과 넷째 행 ... 32
4.4. 다섯째 행과 여섯째 행 ... 36
4.5. 일곱째 행과 여덟째 행 ... 40
4.6. 아홉째 행 ... 47
5. 마무리 ... 52
2. 김수영의 '눈'의 언어학적 분석 ... 55
1. 들머리 ... 55
2. 작가의 정신적, 심리적 태도 ... 59
3. '눈'의 언어학적 분석 ... 67
3.1. 첫째 행 ... 67
3.2. 둘째 행 ... 82
3.3. 셋째 행 ... 85
3.4. 넷째 행 ... 90
3.5. 다섯째 행 ... 95
3.6. 여섯째 행 ... 102
3.7. 일곱째 행 및 여덟째 행 ... 106
3.8. 아홉째 행 ... 110
3.9. 열째 행 및 열한째 행 ... 111
3.10. 열두째 행 및 열셋째 행 ... 119
3.11. 열넷째 행, 열다섯째 행 및 열여섯째 행 ... 120
4. 마무리
3. 박남수의 '새'의 언어학적 분석 ... 133
1. 들머리 ... 133
2. '새'의 언어학적 분석 ... 135
2.1. 형식론적 구성 ... 137
2.2. 첫째 행 ... 138
2.3. 둘째 행 ... 140
2.4. 셋째 행 ... 141
2.5. 넷째 행 ... 143
2.6. 다섯째 행 ... 146
2.7. 여섯째 행 ... 153
2.8. 일곱째 행, 여덟째 행 및 아홉째 행 ... 157
2.9. 열째 행 ... 159
2.10. 열한째 행 ... 162
2.11. 열두째 행 ... 165
2.12. 열셋째 행 ... 167
2.13. 열넷째 행과 열다섯째 행 ... 169
2.14. 열여섯째 행과 열일곱째 행 ... 172
3. 마무리 ... 178
4. 김광섭의 '마음'의 언어학적 분석 ... 181
1. 들머리 ... 181
2. '마음'의 언어학적 분석 ... 183
2.1. 첫째 행 ... 184
2.2. 둘째 행 ... 190
2.3. 셋째 행 ... 192
2.4. 넷째 행 ... 195
2.5. 다섯째 행 ... 197
2.6. 여섯째 행 ... 198
2.7. 일곱째 행 ... 200
2.8. 여덟째 행 ... 204
2.9. 아홉째 행 ... 206
2.10. 열째 행 ... 209
2.11. 열한째 행 ... 212
2.12. 열두째 행 ... 213
3. 마무리 ... 217
5. 이육사의 '절정'의 형식론적 접근 ... 219
1. 들머리 ... 219
2. '절정'의 원전 인용의 문제점 ... 221
2.1. 조동일 (1990)의 경우 ... 222
2.2. 정한모 (1983)의 경우 ... 226
2.3. 오세영 (1981)의 경우 ... 230
2.4. 김홍규 (1982)의 경우 ... 234
3. '절정'의 원전에 대한 형식론적 접근 ... 237
3.1. 첫째 행 ... 239
3.2. 둘째 행 ... 240
3.3. 셋째 행 ... 240
3.4. 넷째 행 ... 241
3.5. 다섯째 행 ... 242
3.6. 여섯째 행 ... 242
3.7. 일곱째 행 ... 243
3.8. 여덟째 행 ... 247
3.9. 원전의 수정 ... 248
4. 마무리 ... 251
6. 이육사의 '절정'의 언어학적 분석 ... 253
1. 들머리 ... 253
2. 시의 언어학적 분석 방법 ... 258
3. '절정'의 언어학적 분석 ... 261
3.1. 형식론적 구성 ... 262
3.2. 첫째 행 ... 264
3.3. 둘째 행 ... 277
3.4. 셋째 행 ... 283
3.5. 넷째 행 ... 292
3.6. 다섯째 행 ... 301
3.7. 여섯째 행 ... 306
3.8. 일곱째 행 ... 311
3.9. 여덟째 행 ... 318
4. 마무리 ... 325
참고 문헌 ... 32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