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안전문화는 삶의 중심가치 1. 우리 사회의 안전문화 수준 ... 25 1) 안전관리의 현주소 ... 25 2)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 ... 29 3) 바람직한 안전관리 ... 33 2. 안전문화에 대한 국민의 의식 ... 37 1) 안전한 삶의 근본 ... 37 2) 인간 존엄성의 실현 ... 42 예절이 안전규범의 근본 ... 44 자아실현과 안전문화 ... 47 3) 복지사회 구현과 안전문화 ... 52 4) 학교교육에서부터 실시 ... 57 선진국의 '조기 안전교육 생활화' 실태 ... 62 3. 안전을 먼저 생각하는 정신 ... 64 1) 안전문화 운동이 왜 필요한가 ... 64 혼돈에서 벗어나야 ... 64 철저한 준비만이 안전을 확보한다 ... 70 꼼꼼하고 치밀한 사전준비만이 안전을 확보한다 ... 72 2) 안전문화에 대한 의식전환 ... 74 조급증을 없애자 ... 74 새로운 인재로 다시 짜야한다 ... 76 백수선비정신 어서 버리자 ... 80 3) 공동체 사회와 질서의식 ... 83 더불어 사는 길 - 약속을 지키는 일이다 ... 83 시민사회와 질서의식 ... 88 제2부 안전의식 부재가 빚은 참사 1. 낮은 교통문화, 높은 교통사고 ... 93 1) 우리나라 교통문화는? ... 93 교통사고 손실 1년에 8조1천억원 집계 ... 95 교통여건의 변화 ... 97 교통사고 원인 ... 99 2) 사고 유형별 특성 ... 105 보행자 사고의 비율이 높다 ... 106 원전자의 운전 미숙과 높은 사고율 ... 107 과속에 의한 대형 사망사고 ... 108 심각한 음주운전 사고 피해 ... 109 중앙선 침범하고 피해 가중 ... 110 도로의 구조적 결함에 의한 사고 집중발생 ... 111 타이어 결함에 의한 사고 ... 113 가타 안전대책 ... 114 3) 우리나라의 실상과 선진국의 교통문화 ... 117 운전자 30%, 교차로에서 신호 안 지켜 ... 118 택시 교통사고 사망률 일본의 24배 ... 120 어린이 96% 안전벨트 미 착용 ... 122 뒷자석 승객도 안전벨트 착용 의무를 ... 124 어린이 하루 82명꼴 교통사고 ... 125 빈번하게 발생하는 어린이 교통사고 유형 ... 126 스쿨존은 어린이 위험구역? ... 127 죽음의 스모그(smog) ... 129 '체증오염'이 심한데 측정치 왜 낮을까? ... 133 한국 환경파괴 세계 최악수준 ... 134 시민단체가 본 교통사고 증가와 감소는? ... 137 교통사고 예방대책 ... 139 미국의 교통문화 높이기 캠페인 사례 ... 141 프랑스의 교통문화 높이기 운동 ... 144 영국의 교통문화 캠페인 사례 ... 146 4) 교통문화 수준을 높이는 접근방법은 ... 149 보행자와 보행자간의 약속이다 ... 151 보행자와 운전자간의 약속이다 ... 151 운전자와 운전자간의 약속이다 ... 152 2. 왜 대형 참사로 이어지나? ... 153 1) 소방·방재기준 강화 및 화재보험 활성화 ... 153 인천 인현상가 건물에 불…사망 57명, 부상 71명 ... 156 과학적 화재진압 했으면 참사 막았을 것 ... 159 잔불끄다 '꽝!' 안타까운 희생 ... 164 군산 유흥가 불, 12명 사망 ... 167 소방복 화염·습기에 취약 ... 171 질환 투성이의 소방관 허리 ... 172 '화재원인' 분쟁 잦아…전문감식요원 양성을 ... 173 미 테러현장서도 질서 지키며 대피했다 ... 174 지진이 났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 177 2) 노후 불량가스·전기설비의 무방비 노출 ... 177 가스사용 가정 64%가 안전점검 안 해 ... 180 가스사용 업소 안전불감증 심각 ... 181 노후·불량 전기설비는 조기에 개선해야 ... 182 3) 부실공사의 반복되는 참변 ... 183 '빨리빨리' 공사가 안전사고 불러 ... 186 우리 빌딩들은 재난에 안전한가? ... 189 6개월도 안된 다리 '폭삭' ... 191 어처구니없는 참사를 부른 추락사 ... 192 초등학교 건물은 위험지대 ... 195 4) 구멍 뚫린 응급의료체계 ... 196 '응급사망' 절반은 살 수 있었다 ... 200 119도, 병원도 초동대처를 잘 못했다 ... 201 3. 생화학 공포와 유해 화학물질 ... 203 1) 화학무기 생화학(生化學) 공포 ... 203 북한의 생화학(生化學)무기 보유실태 ... 204 군 및 정부 대응태세 ... 205 생화학테러 우리의 대비 ... 206 공포의 탄저균 테러의 배후 ... 208 생물무기 탄저균 ... 214 탄저병(炭疽病 : Anthrax) ... 214 탄저병의 종류와 감염경로 ... 215 탄저병 이외에도 생화학 부기 수두록 ... 219 미국 '천연두 테러 가능성' 경고 ... 221 '생화학 금지' 국제협약 불구 비밀개발 못 막아 ... 223 2) 예방백신과 치료 ... 224 예방과 치료 ... 224 3) 유해 화학물질 ... 225 국내 유해 화학물질 ... 229 내분비계 교란물질 ... 231 내분비계 장애물질들의 종류와 용도, 발생원인 ... 232 식물에 잔류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 관련 농약 ... 233 식품 포장재 속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 234 4) 우리나라 유해 화학물질의 관리 대책 ... 235 4. 산업 재해(災害)의 현실과 예방 ... 238 1) 인적 요인에 의한 재해 ... 238 하루 390명이 재해를 입어 ... 239 인위적인 재해가 높아 ... 241 2) 고도화로 위험요인 증대 ... 242 3) 산재예방의 문제점 ... 243 기술·교육 ·관리 삼위일체 돼야 ... 244 4) 나의 안전은 스스로 지켜야 ... 246 제도개선과 정부의 감독 철저 ... 248 제3부 안전한 나라를 물려주는 길 1. 시민의 자율참여 ... 255 1) 안전의식 높이기 범국민운동 ... 255 정부가 서둘러야 할 최우선적 주요과제 ... 257 2) 범국민 안전문화 운동의 방향 ... 258 정부가 고려해야 할 점 ... 260 3) 생활화한 안전문화 ... 263 체험교육을 실시하는 외국의 사례 ... 265 4) 사회운영 주체가 바뀌어야 한다 ... 266 안전은 타협할 수 없는 기본 ... 273 2. 시민단체의 활동 지원 ... 275 1) 정부의 지원 확대 ... 275 2) 범국민적 홍보활동 ... 279 3) 체계적인 안전교육 ... 280 4) 안전문화 지도자 육성 ... 283 3. 안전문화의 정착 ... 288 1) 안전점검과 진단의 내실화 ... 288 예방차원에서의 우선적 과제 ... 290 시설물 안전 ... 291 가스 안전 ... 294 전기 안전 ... 295 유해 화학물질 안전 ... 296 교통 안전 ... 298 2) 전문화·과학화의 안전관리 ... 299 어느 기업체의 모범 사례 ... 301 3) 선진국의 안전관리 실태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