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1장 연구 목적과 시대 배경 ... 15 1절 문제 제기와 연구 방법 ... 15 2절 시대 배경과 생애 ... 29 1. 명말청초의 사회 상황과 왕부지 ... 29 2. 마르크스주의의 수용과 애사기 ... 34 2장 인식과 실천 개념 및 진리관 ... 43 1절 '인식'과 '실천' 개념 ... 43 1. 유학의 '지(知)' 개념과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인식' 개념 ... 43 2. 유학의 '행(行)' 개념과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실천' 개념 ... 50 2절 진리 개념과 진리 기준 ... 58 1. '진리' 개념과 '변(變)ㆍ불변(不變)' 에 대한 관점 ... 58 2. 진리의 기준과 실천 ... 68 3장 인식의 대상과 기원 및 방법 ... 75 1절 인식의 대상과 주체의 관계 ... 76 1. 인식 대상과 인식 주체 ... 76 2. 객관 대상의 법칙(天道)과 주체 도리(人道)의 통일 ... 81 2절 인식의 가능성과 기원 ... 93 1. '불가지론' 론에 대한 비판과 인식 가능성 ... 93 2. 선험적 인식에 대한 비판과 경험적 인식 ... 100 3절 인식의 방법 ... 105 1. 토대로서의 감성적 인식 ... 105 2. 본질 파악의 이성적 인식 ... 111 3. 감성적 인식과 이성적 인식의 통일 ... 120 4. 신비적 방법에 대한 비판과 논증적 방법 ... 123 4장 인식과 실천의 관계 ... 133 1절 인식과 실천의 관계 문제 ... 134 1. '지행선후(知行先後)' 문제 ... 135 1) '지행선후' 문제에 대한 전통 철학의 두 관점 ... 135 2) 왕부지와 애사기의 '행선지후' 설 ... 139 2. '지행경중(知行輕重)' 문제 ... 152 1) '지행경중' 문제에 대한 전통 철학의 두 관점 ... 152 2) 왕부지와 애사기의 '중행경지' 설 ... 155 3. '지행난이(知行難易)' 문제 ... 162 1) '지행난이' 문제에 대한 전통 철학의 두 관점 ... 162 2) 왕부지와 애사기의 '지행난이' 설 ... 170 2절 인식과 실천의 통일 ... 178 1. 인식의 자율성 문제 ... 178 2. 인식과 실천의 상호 전화 ... 183 3절 역사의 변혁 ... 193 1. 순환 사관과 발전 사관 ... 193 2. 실천의 주체 ... 197 5장 전통과 현대 ... 213 1절 유학과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 214 1. 현재를 위한 전통 사상의 운용 ... 214 2. 실사구시 사상의 적용과 발전 ... 222 2절 중국식 사회주의 이론의 실상 ... 232 1. 사회주의 단계론 ... 232 2. 신사회주의 본질론 ... 238 6장 중국식 사회주의의 현재와 미래 ... 249 1절 '세계화'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 249 2절 중국식 사회주의의 문제와 방향 ... 258 參考文獻 ... 265 中文提要 ... 280 찾아보기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