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2
서론
제1절 분석대상과 구성 ... 12
제2절 근대 일본 낭인의 정의와 유형 ... 20
제3절 근대 일본 아시아주의의 정의와 연구경향 ... 27
제1장 동학농민전쟁과 천우협(天佑俠)
제1절 동학농민전쟁의 전개와 일본의 동향 ... 41
1. 교조신원운동과 일본의 동향 ... 42
2. 동학농민전쟁의 발발과 일본의 동향 ... 45
3. 청·일 양국의 출병 ... 51
제2절 천우협의 결성과 활동 ... 59
1. 부산의 '양산박(梁山泊)'과 '조선낭인' ... 59
2. 천우협 결성과 동학농민군과의 접촉 ... 70
3. 청·일 개전과 종군활동 ... 80
제3절 천우협의 목적과 성격 ... 85
1. 구성원의 정치적·사회적 배경 ... 85
2. 천우협의 동학농민전쟁관과 목적 ... 95
제2장 명성왕후 시해사건과 일본낭인
제1절 삼국간섭과 일본의 대조선정책 ... 107
1. 청·일간 강화조약과 삼국간섭 ... 107
2. 일본 대조선정책의 변화 ... 111
3.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공사 임명 ... 114
제2절 명성왕후 시해사건의 전개과정 ... 121
1. 미우라 고로 공사의 부임과 명성왕후 시해계획 ... 121
2. 명성왕후 시해의 실행 ... 126
3. 시해사건 처리와 정세의 변화 ... 129
제3절 시해사건 관련 낭인들의 출신배경과 정치적 성향 ... 134
제3장 흑룡회의 결성과 활동(1901∼1904년)
제1절 흑룡회 결성배경 ... 150
제2절 흑룡회의 결성 ... 162
제3절 흑룡회의 목적과 활동 ... 177
1. 흑룡회의 목적 ... 177
2. 흑룡회의 사업과 활동 ... 183
1) 선전·교육활동 ... 184
2) 일러협회의 설립 ... 188
3) 해외활동 ... 191
4) 개전에서 강화까지의 활동 ... 192
제4장 흑룡회와 일진회의 '한일합방'운동
제1절 일진회의 결성과 일본의 관계 ... 201
1. 일진회의 결성 ... 201
2. 창립시의 일진회 조직과 성격 ... 207
3. 일본인과의 관련 ... 214
4. 일본당국의 대응 ... 222
5. 일진회의 러일전쟁 협력 ... 225
제2절 흑룡회·일진회의 제휴와 일진회의 활동 ... 228
1. 흑룡회의 조선진출과 일진회 ... 228
2. 일진회의 정권참여와 '한일합방'운동 ... 235
3. 반일의병운동과 일진회의 자위단 ... 241
제3절 흑룡회와 일진회의 '즉시합방'운동 ... 248
1. 통감부와의 갈등 ... 248
2. 이토 통감 사직운동 ... 252
3. 이토 통감의 사임과 '즉시합방'운동 ... 258
4. '3파제휴'운동 ... 266
제4절 일진회의 '합방' 청원과 한일병합 ... 270
1. 이토 히로부미 암살사건과 「한일합방청원서」제출 ... 270
2. '합방청원'에 대한 국내외의 반응 ... 274
3. 병합의 강행과 일진회의 해산 ... 278
제5절 병합후 흑룡회의 활동 ... 284
제5장 '조선낭인'의 대아시아주의
제1절 메이지기 아시아주의의 양상 ... 298
1. 다루이 도키치(樽井藤吉) ... 298
2. 동아동문회 ... 303
3.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 ... 306
4. 고테라 겐키치(小寺謙吉) ... 310
제2절 '조선낭인'의 아시아 체험과 인식 ... 318
1. '조선낭인'의 배출 ... 318
1) 청일전쟁 전후의 '조선낭인' ... 318
2) 삼국간섭 이후의 '조선낭인' ... 321
2. '조선낭인'의 출신계층과 정치적 성향 ... 325
3. '조선낭인'의 아시아 인식 ... 330
1) 동양의 범주 ... 330
2) 동양 3국의 국내정세 인식 ... 333
3) 동양을 둘러싼 국제정세 인식과 대청·대러전쟁론 ... 338
제3절 '조선낭인'의 아시아론 ... 341
1. '신문명론' ... 341
2. 동문동종론과 동문동조론 ... 348
3. 운명공동체론과 동양맹주론 ... 354
4. '한일합방'론과 대아세아제국 건설론 ... 361
결어 : 요약과 전망 ... 367
참고문헌 ... 389
찾아보기 ... 40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