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vol>1
제1부 소리문화- 한국의 전통 음악
제1장 한국의 전통 음악에 관한 기초 지식 ... 45
제1절 한국 음악의 분류 ... 47
Ⅰ. 유래·악기 편성법 등에 의한 분류 ... 48
Ⅱ. 목적별 분류 ... 52
제2절 한국 악기의 분류 ... 63
Ⅰ. 재료에 의한 분류 ... 64
Ⅱ. 유래에 의한 분류 ... 65
Ⅲ. 형태와 연주법에 의한 분류 ... 65
제2장 농악(農樂) ... 67
제1절 농악의 개념·명칭·유형 ... 68
Ⅰ. 농악의 개념 ... 68
Ⅱ. 농악의 명칭 ... 71
Ⅲ. 농악의 유형 ... 71
제2절 농악의 유래와 변천 과정 ... 73
Ⅰ. 농악의 유래 ... 73
Ⅱ. 농악의 변천 과정 ... 74
제3절 농악의 편성과 잽이들의 역할 ... 82
Ⅰ. 농악의 편성 ... 82
Ⅱ. 잽이들의 역할 ... 84
제4절 농악에 쓰이는 악기 ... 87
제3장 한국민요 ... 93
제1절 민요의 일반적 성격 ... 93
Ⅰ. 비전문적 대중성 ... 93
Ⅱ. 공동 재창작성 ... 94
Ⅲ. 노동과 유희 기능성 ... 94
Ⅳ. 생활 감정의 표출성 ... 95
제2절 민요의 분류 ... 96
Ⅰ. 기능상의 분류 ... 97
Ⅱ. 전파 정도·음악적 세련도·지방별 분류 ... 103
제3절 민요의 기능 ... 107
Ⅰ. 노동기능 ... 107
Ⅱ. 유희 기능 ... 110
Ⅲ. 정치 기능 ... 112
Ⅳ. 종교기능 ... 114
제4장 판소리 ... 119
제1절 판소리의 개념과 종류 ... 119
Ⅰ. 개념 ... 119
Ⅱ. 종류 ... 121
제2절 판소리의 민속악적 속성과 소리판의 구성 ... 126
Ⅰ. 판소리의 민속악적 속성 ... 126
Ⅱ. 소리판의 구성 ... 130
제3절 판소리의 연원과 형성 과정 ... 139
Ⅰ. 판소리의 연원 ... 139
제4절 판소리의 '∼가(歌)'와 '∼타령(打令)'의 문제 ... 143
Ⅰ. 명칭상의 문제 ... 143
Ⅱ. 명명 방식의 역사적 변화 ... 144
Ⅲ. '∼가(歌)'와 '∼타령(打令)'의 존재 양상 변화 ... 147
제5절 판소리의 마당(作品) ... 151
Ⅰ. 판소리 마당 개관 ... 151
Ⅱ. 판소리 6마당 ... 153
Ⅲ. 타령의 종류 ... 159
제6절 판소리의 예술적 형상(形象) ... 161
제7절 판소리 창법(唱法)과 고법(鼓法) ... 162
Ⅰ. 창법 ... 162
Ⅱ. 고법 ... 163
제8절 판소리 감상법 ... 164
제9절 판소리의 유파 ... 165
Ⅰ. 동편제 ... 166
Ⅱ. 중고편제 ... 166
Ⅲ. 서편제 ... 166
Ⅳ. 강산제(江山制) ... 168
제10절 판소리의 명창(名唱)들 ... 168
제5장 산조(散調), 시조(時調), 범패(梵唄) ... 173
제1절 산조(散調) ... 173
Ⅰ. 산조의 개념 ... 173
Ⅱ. 산조의 연혁 ... 174
Ⅲ. 산조의 종류 ... 174
제2절 시조(時調) ... 177
Ⅰ. 시조의 개념 ... 177
Ⅱ. 시조의 연혁 ... 178
Ⅲ. 시조의 종류 ... 178
제3절 범패(梵唄) ... 180
Ⅰ. 범패의 개념과 용도 ... 180
Ⅱ. 범패의 종류 ... 181
Ⅲ. 불교 무용의 작법 ... 182
제6장 잡가(雜歌) ... 183
제1절 잡가의 개념과 명칭 ... 183
Ⅰ. 개념 ... 184
Ⅱ. 명칭 ... 184
제2절 잡가의 전개 과정 ... 185
Ⅰ. 잡가의 악곡상 편제별 분류 ... 185
Ⅱ. 잡가의 형성 및 전개과정 ... 186
제3절 잡가의 유형별 특징 ... 189
Ⅰ. 가사계 잡가 ... 189
Ⅱ. 시조계 잡가 ... 190
Ⅲ. 민요계 잡가 ... 190
Ⅳ. 판소리계 잡가 ... 191
제2부 춤 문화 - 한국의 전통 무용
제1장 한국 무용의 연혁과 시대별 특징 ... 197
제1절 한국 무용의 연혁 ... 197
Ⅰ. 상고시대 ... 197
Ⅱ. 삼국시대 이후 ... 198
제2절 한국 무용의 시대별 특징 ... 199
Ⅰ. 상고시대 ... 199
Ⅱ. 삼국시대 이후 ... 201
제2장 한국 무용(춤)의 성격·기능 및 특징 ... 205
제1절 한국 무용의 성격 ... 205
Ⅰ. 성모의적 성격 ... 205
Ⅱ. 밟음의 성격 ... 206
Ⅲ. 벽사적 성격 ... 206
Ⅳ. 전투적 성격 ... 206
Ⅴ. 신맞이적 성격 ... 207
Ⅵ. 동물 모의적 성격 ... 207
Ⅶ. 농경 모의적 성격 ... 207
Ⅷ. 배역춤적 성격 ... 207
Ⅸ. 기구춤적 성격 ... 208
Ⅹ. 복을 주는 성격 ... 208
제2절 한국 무용(춤)의 기능 ... 208
Ⅰ. 생활적 기능 ... 209
Ⅱ. 공동체적 기능 ... 210
Ⅲ. 표현적 기능 ... 211
Ⅳ. 예술적 기능 ... 213
제3절 한국 무용(춤)의 특징 ... 213
Ⅰ. 궁중 무용의 특징 ... 214
Ⅱ. 민속 무용의 특징 ... 214
Ⅲ. 가면 무용의 특징 ... 215
Ⅳ. 의식 무용의 특징 ... 215
제3장 한국 무용(춤)의 분류 ... 217
제1절 춤의 구분 방법 ... 217
제2절 한국 춤의 분류 ... 218
Ⅰ. 기능상 분류 ... 218
Ⅱ. 직능상 분류 ... 219
Ⅲ. 예술학적 분류 ... 221
Ⅳ. 사회과학적 분류 ... 222
제4장 춤의 유형별 종류 ... 223
제1절 종교의식 춤 ... 223
Ⅰ. 무속춤 ... 224
Ⅱ. 불교춤 ... 228
Ⅲ. 유교춤 ... 230
Ⅳ. 장례춤 ... 231
제2절 민속춤 ... 232
Ⅰ. 농악춤 ... 234
Ⅱ. 탈춤 ... 236
Ⅲ. 소리춤 ... 238
Ⅳ. 허튼춤 ... 239
Ⅴ. 모방춤 ... 241
제3절 교방춤(기방춤) ... 243
Ⅰ. 살풀이 춤 ... 246
Ⅱ. 승무 ... 247
Ⅲ. 태평무 ... 249
Ⅳ. 검무 ... 250
Ⅴ. 승전무 ... 251
제4절 궁중춤 ... 251
제5장 탈춤 ... 255
제1절 탈의 의미 ... 255
제2절 탈의 유래 ... 259
제3절 탈의 분류 ... 261
Ⅰ. 신앙탈과 예능탈 ... 261
Ⅱ. 무형문화재의 탈 이름 ... 267
제4절 가면극으로서의 탈춤 ... 270
제5절 탈의 뜻과 탈춤의 상징 ... 273
Ⅰ. 탈의 뜻 ... 273
Ⅱ. 탈춤의 상징 - 주술성·연행성·조형성 ... 275
제6절 탈춤의 마당별 제목 ... 281
제7절 지역별 탈춤 무형문화재 분류 ... 287
제3부 놀이문화 - 세시풍속(歲時風俗)
제1장 세시풍속 ... 291
제1절 세시 풍속과 세시기(歲時紀) ... 291
Ⅰ. 세시 풍속과 세시기의 구별 ... 291
Ⅱ. 세시 풍속의 의의 ... 292
Ⅲ. 세시 풍속의 중요성 ... 293
Ⅳ. 세시 풍속의 변천 ... 295
제2절 세시기와 십이지(十二支) ... 297
Ⅰ. 세시기의 형성 개념 ... 297
Ⅱ. 십간(十干)·십이지(十二支) ... 301
제3절 세시 풍속의 형성 요인 ... 302
Ⅰ. 자연적 요인 ... 302
Ⅱ. 농경 문화적 요인 ... 304
Ⅲ. 종교적 요인 ... 305
제4절 세시 풍속의 변천 과정 ... 308
Ⅰ. 선사시대 ... 308
Ⅱ. 삼국시대 이후 ... 311
제5절 역법과 세시 풍속 ... 316
Ⅰ. 역법과 농사 ... 316
Ⅱ. 한국 역법과 기상학 ... 321
제2장 놀이판과 놀이마당 ... 325
제1절 놀이판의 구조와 기능 ... 325
Ⅰ. 놀이판의 의의 ... 325
Ⅱ. 놀이판의 예능성 ... 326
Ⅲ. 놀이판의 장소 ... 328
Ⅳ. 놀이판의 성격과 기능 ... 331
Ⅴ. 공동체적 축제 놀이판과 공연 예술적 놀이판 ... 336
제2절 놀이마당 ... 337
Ⅰ. 놀이마당과 마당놀이 ... 337
Ⅱ. 놀이 공간과 신성 공간 ... 338
Ⅲ. 놀이마당의 세속성과 성역성 ... 339
Ⅳ. 현대의 놀이마당 ... 342
제3장 절기와 풍속 ... 345
제1절 1월의 풍속 ... 345
Ⅰ. 설날의 뜻 ... 345
Ⅱ. 설빔 ... 352
Ⅲ. 세배 ... 353
Ⅳ. 덕담 ... 354
Ⅴ. 삼재 막는 법(三災免法) ... 355
Ⅵ. 정초의 점복(占卜) ... 356
Ⅶ. 대보름날 ... 356
Ⅷ. 입춘(立春) ... 359
Ⅸ. 십이지일(十二支日) ... 361
Ⅹ. 그 밖의 1월 풍습 ... 376
제2절 2월의 풍속 ... 378
Ⅰ. 초하루(朔日) ... 378
Ⅱ. 경칩(驚蟄) ... 381
Ⅲ. 청명(淸明) ... 382
Ⅳ. 한식(寒食) ... 382
제3절 3월의 풍속 ... 385
Ⅰ. 삼짇날 ... 385
Ⅱ. 곡우(穀雨) ... 387
Ⅲ. 그 밖의 3월 풍습 ... 388
제4절 4월의 풍속 ... 392
Ⅰ. 초파일 ... 392
Ⅱ. 그 밖의 4월 풍습 ... 396
제5절 5월의 풍속 ... 398
Ⅰ. 단오(端午) ... 399
Ⅱ. 태종우(太宗雨)가 내리는 날 ... 408
Ⅲ. 그 밖의 5월의 풍습 ... 410
제6절 6월의 풍속 ... 410
Ⅰ. 유두(流頭) ... 410
Ⅱ. 삼복(三伏) ... 413
Ⅲ. 망종(芒種) ... 417
Ⅳ. 그 밖의 6월 풍습 ... 418
제7절 7월의 풍속 ... 419
Ⅰ. 칠석(七夕) ... 419
Ⅱ. 백종일(百種日) ... 422
제8절 8월의 풍속 ... 424
Ⅰ. 추석(秋夕) ... 424
Ⅱ. 그 밖의 8월 풍습 ... 430
제9절 9월의 풍속 ... 432
Ⅰ. 중양절(重陽節) ... 432
제10절 10월의 풍속 ... 435
Ⅰ. 말날(牛日) ... 435
Ⅱ. 손돌바람이 부는 날 ... 436
Ⅲ. 그 밖의 10월 풍습 ... 437
제11절 11월의 풍속 ... 440
Ⅰ. 동지(冬至) ... 440
Ⅱ. 그 밖의 11월 풍습 ... 443
제12절 12월의 풍속 ... 445
Ⅰ. 납일(臘日) ... 445
Ⅱ. 섣달 그믐(除夕) ... 447
Ⅲ. 그 밖의 12월 풍습 ... 450
제13절 윤달(閏月) ... 450
제4장 민속연희 ... 453
제1절 민속연희 서설(序說) ... 455
제2절 민속연희의 연혁 ... 457
Ⅰ. 한국 민속연희의 연혁 개설 ... 457
Ⅱ. 삼국시대의 민속연희 ... 458
Ⅲ. 고려시대의 가무백희(歌舞百戱) ... 459
Ⅳ. 조선시대의 산대잡희(山臺雜戱) ... 461
제3절 민속연희(놀이)의 성격 ... 462
Ⅰ. 제의성(祭儀性) ... 462
Ⅱ. 향토성 ... 463
Ⅲ. 예술성 ... 465
Ⅳ. 분포성 ... 466
제4절 민속연희의 종류 ... 467
Ⅰ. 한국민속연희의 종류 개설 ... 467
Ⅱ. 민속연희의 종류 ... 469
제4부 연극문화
제1장 한국의 고전극(古典劇) ... 495
제1절 부족사회와 삼국시대의 연극 ... 497
Ⅰ. 부족사회의 제천의례(祭天儀禮)와 가면희 ... 497
Ⅱ. 삼국시대의 연극 ... 498
제2절 고려시대의 연극 ... 504
Ⅰ. 산대잡극(山臺雜劇) ... 505
Ⅱ. 연등회·팔관회·백희(燃燈會·八關會·百戱) ... 506
Ⅲ. 교방가무희(敎坊歌舞戱) ... 506
Ⅳ. 나희(儺戱) ... 507
Ⅴ. 조희(調戱) ... 507
Ⅵ. 고려의 재인(才人)·광대(廣大) ... 508
제3절 조선시대의 연극 ... 509
Ⅰ. 조선 전기의 연극 ... 509
Ⅱ. 조선중기의 연극 ... 510
Ⅲ. 조선 후기의 연극 ... 513
Ⅳ. 조선조의 재인(才人)광대(廣大) ... 514
제2장 한국의 가면극(假面劇) ... 517
제1절 한국 가면극의 연혁 ... 519
Ⅰ. 기원 ... 519
Ⅱ. 고려시대의 산대잡희(山臺雜戱) ... 520
Ⅲ. 조선시대의 산대나례(山臺儺禮) ... 520
Ⅳ. 산대 가면극의 전파 ... 521
제2절 한국 가면극의 종류 ... 522
Ⅰ. 북청의 사자놀음 ... 523
Ⅱ. 하회별신굿놀이 ... 524
Ⅲ. 강릉관노탈놀이 ... 526
Ⅳ. 오광대 ... 526
Ⅴ. 동래·수영의 야유(野遊) ... 527
Ⅵ. 산대놀이 ... 528
Ⅶ. 봉산탈춤 ... 529
Ⅷ. 남사당 덧보기 ... 530
Ⅸ. 한국 가면극 내용상의 공통점 ... 531
Ⅹ. 한국 가면극의 연희본(演戱本) ... 532
제3절 한국 가면극의 공연방식 ... 535
Ⅰ. 공연 시기 ... 535
Ⅱ. 연희자 ... 536
Ⅲ. 공연 장소 ... 536
Ⅳ. 악사와 반주 ... 536
Ⅴ. 연기와 대사 ... 537
Ⅵ. 가면 ... 537
Ⅶ. 공연 시간 ... 537
Ⅷ. 사당패 가면극의 공연 방식 ... 537
제4절 한국 가면극의 무대·의상·소도구 ... 538
Ⅰ. 무대 ... 538
Ⅱ. 의상(탈복) ... 539
Ⅲ. 가면극의 소도구 ... 540
제5절 한국 가면극의 가면 ... 541
제3장 한국의 인형극(人形劇) ... 545
제1절 인형극의 연혁 및 종류 ... 547
Ⅰ. 인형극의 계통 ... 547
Ⅱ. 인형극의 종류 ... 549
제2절 한국 인형극의 내용과 무대 ... 551
Ⅰ. 인형극의 내용 ... 552
Ⅱ. 인형극의 무대 ... 556
제3절 한국 인형극의 연희본(演戱本) ... 556
Ⅰ. 기존 채록 연희본 ... 556
Ⅱ. 덜미(꼭두각시놀음)의 채록본 ... 558
제4절 한국인형극의 음악과 무용 ... 558
Ⅰ. 덜미(꼭두각시놀음)의 음악 ... 559
Ⅱ. 덜미(꼭두각시놀음)의 무용 ... 559
제5절 한국 인형극의 연희 조종자 ... 560
Ⅰ. 산받이 ... 560
Ⅱ. 대잡이 ... 560
제4장 한국의 창극(唱劇) ... 563
제1절 창극의 연혁 및 창극 단체명 ... 565
Ⅰ. 창극 연혁 개황(槪況) ... 565
Ⅱ. 가설극장 및 창극단체 ... 567
제2절 창극의 연출과 연기 ... 569
Ⅰ. 창극 연출·연기의 개황 ... 569
Ⅱ. 창극 대본 ... 570
Ⅲ. 창극의 작곡 ... 571
Ⅳ. 창극연출의 준비 ... 572
Ⅴ. 창극의 배역 결정 ... 572
Ⅵ. 창(昌) 연습 ... 573
Ⅶ. 창극의 대본읽기와 동작연습 ... 573
Ⅷ. 창극의 일관연습과 총연습 ... 574
제3절 창극의 작품과 감상 ... 575
Ⅰ. 창극의 작품 연혁 ... 576
Ⅱ. 창극의 감상법 ... 577
Ⅲ. 창극 작품 내용 개요 ... 578
제5장 한국의 신파극(新派劇) ... 583
제1절 신파극의 연혁 ... 585
Ⅰ. 신파극의 연혁 개황 ... 585
Ⅱ. 신파(新派)와 혁신단(革新團), 개량신파(改良新派) ... 590
Ⅲ. 여형(女形) 배우와 신파의 눈물 ... 593
Ⅳ. 동양극장 ... 594
제2절 신파극의 작가와 작품 ... 596
Ⅰ. 신파극의 작가와 작품 개황 ... 596
Ⅱ. 작가와 작품 ... 598
부록
부록Ⅰ. 중국의 고전극 - 경극(京劇) ... 605
부록Ⅱ. 일본의 고전극 - 카부키(歌舞技) ... 615
부록Ⅲ. 판소리 및 농악 용어 풀이 ... 620
<vol>2
제1부 전통 복식문화
제1장 전통복식의 기원 ... 45
제1절 한국 전통복식의 기원과 형성요인 ... 45
Ⅰ. 북방계 기마(騎馬) 민족과 중국의 영향 ... 45
Ⅱ. 고대(古代)한국인의 바지 착용 ... 46
Ⅲ. 전통복식의 형성요인 ... 48
제2절 전통복식의 시대별 변화과정 ... 51
Ⅰ. 삼국시대 이전의 옷차림 ... 51
Ⅱ. 삼국시대의 옷차림 ... 52
Ⅲ. 고려시대의 옷차림 ... 53
Ⅳ. 조선시대의 옷차림 ... 54
제3절 전통복식의 특징 및 남녀별 옷차림 ... 57
Ⅰ. 전통복식의 유형과 전통복식의 이해 ... 57
Ⅱ. 전통복식의 특징 ... 58
Ⅲ. 예복차림 ... 62
Ⅳ. 전통복식 아름다움의 요소 ... 63
제2장 우리옷의 재료 ... 71
제1절 마직물 ... 71
Ⅰ. 마직물의 명칭 ... 71
Ⅱ. 마직물의 역사와 종류 ... 72
Ⅲ. 베의 용도와 손질 ... 74
Ⅳ. 저마직물의 용도와 손질 ... 77
Ⅴ. 모시의 용도와 손질 ... 79
Ⅵ. 모시에 얽힌 이야기 ... 80
제2절 면직물 ... 82
Ⅰ. 면직물의 명칭 ... 82
Ⅱ. 면직물의 역사와 종류 ... 84
Ⅲ. 면직물(무명, 광목, 옥양목)의 용도와 손질 ... 85
Ⅳ. 무명에 얽힌 이야기 ... 87
제3절 견직물 ... 88
Ⅰ. 견직물의 유래와 명칭 ... 88
Ⅱ. 누에치기와 견사 ... 90
Ⅲ. 견직물의 종류와 역사 ... 91
Ⅳ. 명주에 얽힌 이야기 ... 116
제4절 모직물 ... 119
Ⅰ. 모직물의 유래와 명칭 ... 119
Ⅱ. 구유(구유), 답등(답등), 채담(彩담) ... 121
Ⅲ. 조선철(朝鮮綴) ... 122
Ⅳ. 계(계)와 계금(계錦) ... 122
제5절 전통 옷 재료의 과제 ... 123
제3장 전통복색·모양·무늬 ... 125
제1절 전통 옷의 복색(服色) ... 125
Ⅰ. 신분에 따른 복색 ... 125
Ⅱ. 복색에 따른 규제 ... 129
Ⅲ. 흰 옷에의 집념 ... 132
제2절 전통 옷의 모양과 무늬 ... 134
Ⅰ. 전통 옷의 모양 ... 134
Ⅱ. 전통 옷의 무늬(기린·학·거북) ... 138
제4장 각종 복식에 얽힌 이야기 ... 149
제1절 복제(服制)와 복상(服喪)문제 ... 149
Ⅰ. 복제 ... 149
Ⅱ. 복상(服喪) ... 150
제2절 복식에 얽힌 이야기 ... 151
Ⅰ. 백의(白衣) ... 151
Ⅱ. 갓(笠子) ... 157
Ⅲ. 버선(양말) ... 161
Ⅳ. 신 ... 165
Ⅴ. 바지 ... 173
Ⅵ. 저고리 ... 178
Ⅶ. 치마 ... 183
Ⅷ. 옷(의복) ... 189
제2부 전통 음식문화
제1장 전통음식의 변화과정·특징·종류 ... 197
제1절 전통음식의 시대별 변화과정 ... 197
Ⅰ. 삼국시대 이전의 식생활풍습 ... 197
Ⅱ. 삼국시대의 식생활 ... 199
Ⅲ. 고려시대의 식생활 ... 200
Ⅳ. 조선시대의 식생활 ... 201
제2절 전통식생활 예절과 전통식품의 특징 ... 203
Ⅰ. 전통식생활 예절 ... 203
Ⅱ. 전통식품의 특징 ... 204
제3절 전통음식의 종류 ... 206
Ⅰ. 주식물 ... 207
Ⅱ. 부식물 ... 209
Ⅲ. 조미료 ... 216
Ⅳ. 고명 ... 217
Ⅴ. 음료 ... 217
Ⅵ. 당과 ... 218
제4절 전통 발효식품 ... 219
Ⅰ. 김치 ... 219
Ⅱ. 장류 ... 221
Ⅲ. 젓갈 ... 223
제2장 전통 음식 문화 ... 225
제1절 조식문화(朝食文化)와 아미노산 식문화(食文化) ... 227
Ⅰ. 조식문화(朝食文化) ... 227
Ⅱ. 아미노산 식문화(食文化) ... 228
제2절 쌀밥 문화 ... 230
Ⅰ. 벼의 원산지 ... 230
Ⅱ. 벼농사의 기원 ... 231
Ⅲ. 벼농사와 출산 ... 232
Ⅳ. 쌀의 유통 ... 234
Ⅴ. 밥을 짓는 방법 ... 234
제3절 김치 문화 ... 235
Ⅰ. 김치의 기원 ... 235
Ⅱ. 배추와 무 ... 237
Ⅲ. 김치문화와 저문화 ... 238
제4절 된장·간장·고추장·청국장 ... 240
Ⅰ. 된장 ... 240
Ⅱ. 간장 ... 242
Ⅲ. 고추장 ... 244
Ⅳ. 청국장 ... 245
제5절 술문화 ... 248
Ⅰ. 대포 ... 248
Ⅱ. 소주 ... 250
제3장 전통식품에 얽힌 이야기 ... 255
제1절 쌀에 얽힌 이야기 ... 255
제2절 고추에 얽힌 이야기 ... 259
제3절 마늘에 얽힌 이야기 ... 261
제4절 술에 얽힌 이야기 ... 264
제3부 전통 주거문화
제1장 주거의 시대별 변화과정과 주택의 기본유형 ... 275
제1절 전통주거의 시대별 변화과정 ... 275
Ⅰ. 삼국시대 이전의 주거생활 풍습 ... 275
Ⅱ. 삼국시대의 주거생활 ... 277
Ⅲ. 고려시대의 주거생활 ... 278
Ⅳ. 조선시대의 주거생활 ... 278
제2절 주택의 기본유형과 집 짓는 풍습 ... 280
Ⅰ. 주택의 기본유형 ... 280
Ⅱ. 집 짓는 풍습 ... 282
제2장 한옥이 가지는 의미 ... 287
제1절 정주(定住)문화와 주거 법도 ... 288
Ⅰ. 정주문화 ... 288
Ⅱ. 주거법도 ... 289
제2절 양기풍수(陽氣風水)와 5실5허(五實五虛) ... 290
Ⅰ. 양기풍수 ... 290
Ⅱ. 5실5허(五實五虛) ... 294
제3절 집들이 고사와 가신(家神)들 ... 298
Ⅰ. 집들이 고사 ... 298
Ⅱ. 가신(家神)들 ... 300
제3장 움집문화와 초가지붕 및 기와 ... 303
제1절 움집문화 ... 303
Ⅰ. 움집의 기원 ... 303
Ⅱ. 움집의 지상노출 ... 304
제2절 초가지붕과 기와 ... 305
Ⅰ. 초가지붕 ... 305
Ⅱ. 기와 ... 309
제4장 한옥의 특징 ... 313
제1절 온돌방 ... 313
Ⅰ. 온돌문화의 기원 ... 313
Ⅱ. 온돌구조 ... 315
제2절 마루 ... 317
Ⅰ. 마루의 의미 ... 317
Ⅱ. 마루의 기능 ... 319
제3절 택목(宅木) ... 320
Ⅰ. 색과 방위의 조화 ... 320
Ⅱ. 기피택목과 기자(祈子)택목 ... 322
제4절 토벽 ... 324
Ⅰ. 토벽의 복합기능 ... 324
Ⅱ. 습도조절을 겸한 토벽의 과학성 ... 325
Ⅲ. 토벽 치는 법 ... 326
제5절 띠살문 ... 327
Ⅰ. 강한 빛을 완충하는 장지문 ... 327
Ⅱ. 한지가 낳은 으스름 문화 ... 329
Ⅲ. 내용미와 외형미의 조화 ... 330
Ⅳ. 띠살문에 얽힌 사연들 ... 330
제6절 창 ... 331
Ⅰ. 창의 이미지 ... 331
Ⅱ. 창의 기능 ... 332
제7절 담 ... 334
Ⅰ. 폐쇄기능 ... 335
Ⅱ. 은폐기능 ... 338
Ⅲ. 안도기능 ... 339
Ⅳ. 방어기능 ... 340
Ⅴ. 경계기능 ... 340
Ⅵ. 상징기능 ... 342
Ⅶ. 풍수기능 ... 343
Ⅷ. 지식기능 ... 344
제2장 부엌 문화 ... 347
제1절 부엌의 역사 ... 347
Ⅰ. 유래 ... 347
Ⅱ. 관련문헌 ... 349
제2절 부엌시설 ... 351
Ⅰ. 부뚜막 ... 351
Ⅱ. 아궁이 ... 352
Ⅲ. 굴뚝 ... 353
Ⅳ. 솥 ... 356
Ⅴ. 찬장 ... 357
Ⅵ. 살강 ... 357
Ⅶ. 두멍 ... 358
제3절 부엌에 얽힌 이야기 ... 358
제4절 솥에 얽힌 이야기 ... 363
제5절 상(床)에 얽힌 이야기 ... 368
제6장 가옥에 얽힌 이야기들 ... 373
제1절 지붕에 얽힌 이야기 ... 373
제2절 대들보에 얽힌 이야기 ... 376
제3절 기둥에 얽힌 이야기 ... 381
제4절 서까래에 얽힌 이야기 ... 385
제5절 벽(壁)에 얽힌 이야기 ... 387
제6절 문(門)에 얽힌 이야기 ... 391
제7절 창(窓)에 얽힌 이야기 ... 396
제8절 굴뚝에 얽힌 이야기 ... 398
제9절 울타리에 얽힌 이야기 ... 401
제10절 광(庫)에 얽힌 이야기 ... 404
제11절 등불(등잔)에 얽힌 이야기 ... 407
제12절 집에 얽힌 이야기 ... 412
제7장 전통 가구 문화 ... 419
제1절 전통가구의 성격과 분류 ... 419
Ⅰ. 전통가구의 성격 ... 419
Ⅱ. 전통가구의 분류 ... 421
제2절 안방치장과 사랑방치장 ... 421
Ⅰ. 안방의 치장 ... 422
Ⅱ. 사랑방 치장 ... 423
제3절 전통가구의 종류별 특징 ... 425
Ⅰ. 궤(櫃) ... 425
Ⅱ. 옷장 ... 426
Ⅲ. 각게수리·약장 ... 429
Ⅳ. 농(籠) ... 430
Ⅴ. 함(函) ... 430
Ⅵ. 빗접과 좌경 ... 431
Ⅶ. 평상(平牀) ... 432
Ⅷ. 탁자와 의자 ... 433
Ⅸ. 궤(机) ... 433
Ⅹ. 서안(書案) ... 434
XI. 연갑(硯匣)과 연상(硯箱) ... 435
XII. 문갑(文匣) ... 436
XIII. 서방탁자와 탁자상 ... 436
XIV. 책갑과 책장 ... 437
XV. 찬장과 찬탁 ... 437
XVI. 제상과 향안(香案), 교의(交椅) ... 438
제8장 한국의 정자와 누(樓) ... 441
제1절 한국의 정자 ... 441
Ⅰ. 정자의 의미 ... 441
Ⅱ. 정자의 기원 ... 442
Ⅲ. 정자의 기능 ... 443
Ⅳ. 정자의 배치와 조경 ... 447
제2절 한국의 누 ... 450
Ⅰ. 누의 의미 ... 450
Ⅱ. 누의 기원 ... 451
Ⅲ. 누의 종류 ... 452
참고문헌 ... 457
<vol>3
제1부 사찰문화
제1장 사찰의 기원·건물구조·사찰배치·유명절터 ... 45
제1절 사찰(寺刹)의 기원과 건물구조 ... 45
Ⅰ. 사찰의 기원 ... 45
Ⅱ. 건물구조 ... 46
제2절 문루(門樓)와 각 건물의 명칭 ... 50
Ⅰ. 절 입구에서 본당(本堂)까지의 문루(門樓)의 명칭 ... 50
Ⅱ. 대적광전(大寂光殿) ... 52
Ⅲ. 대웅전(大雄殿) ... 53
Ⅳ. 극락전(極樂殿) ... 55
Ⅴ. 미륵전(彌勒殿) ... 56
Ⅵ. 관음전(觀音殿) ... 57
Ⅶ. 약사전(藥師殿) ... 58
Ⅸ. 팔상전(八相殿) ... 61
Ⅹ. 나한전(羅漢殿) ... 62
XI. 천불전(千佛殿) ... 63
XII. 조사당(祖師堂) ... 64
XIII. 삼성각(三聖閣) ... 65
XIV. 독성각(獨聖閣) ... 67
XV. 칠성각(七星閣) ... 67
XVI. 산신각(山神閣) ... 68
XVII. 법종각(梵鐘閣) ... 69
XVIII. 강원(講院) ... 70
XIX. 선원(禪院) ... 71
XX. 율원(律院) ... 72
XXI. 대장전(大藏殿) ... 73
XXII. 누각(樓閣) ... 74
XXIII. 요사(寮舍) ... 75
XXIV. 회랑(回廊) ... 76
제2절 사찰(가람) 배치 ... 76
Ⅰ. 고구려의 사찰배치 ... 78
Ⅱ. 백제의 사찰배치 ... 78
Ⅲ. 신라의 사찰배치 ... 79
제3절 옛 유명 절터 ... 80
Ⅰ. 황룡사지 ... 82
Ⅱ. 미륵사지 ... 89
Ⅲ. 정림사지 ... 95
Ⅳ. 감은사지 ... 97
Ⅴ. 만복사지 ... 100
Ⅵ. 미륵리 사지 ... 103
제2장 불상(석불·철불·미륵불·보살살·신장상) ... 107
제1절 불상(佛像) ... 107
Ⅰ. 불상의 기원과 형식 ... 108
Ⅱ. 불상의 전래 ... 125
Ⅲ. 한국 불상의 특징 ... 126
Ⅳ. 불상의 종류 ... 130
제2절 석불 ... 142
Ⅰ. 불상의 재료 ... 142
Ⅱ. 석불조성 배경 ... 143
Ⅲ. 석불의 형식 ... 148
Ⅳ. 석불의 특징 ... 158
제3절 철불 ... 159
Ⅰ. 불상의 재료 ... 159
Ⅱ. 철과 불상 ... 160
Ⅲ. 철불을 만드는 방법 ... 161
제4절 미륵불 ... 163
Ⅰ. 미륵보살과 미륵불 ... 164
Ⅱ. 미륵과 도솔천 ... 164
Ⅲ. 미륵신앙의 성립과 전래 ... 165
Ⅳ. 한국의 미륵신앙 ... 167
Ⅴ. 신흥종교에 나타난 미륵신앙 ... 172
Ⅵ. 전국 미륵불의 양상 ... 174
제5절 보살상 ... 175
Ⅰ. 보살의 의미 ... 175
Ⅱ. 보살의 기원 ... 176
Ⅲ. 보살사상 ... 177
Ⅳ. 보살상의 특징 ... 178
Ⅴ. 보살의 종류 ... 179
제6절 신장상 ... 188
Ⅰ. 신장상의 의의 ... 188
Ⅱ. 신장신앙의 유래 ... 190
Ⅲ. 신장상의 종류 ... 193
제3장 한국의 탑문화 ... 207
제1절 탑의 의미와 형식 ... 207
Ⅰ. 탑의 의미 ... 207
Ⅱ. 탑의 형식 ... 208
제2절 탑의 시원과 전래과정 ... 210
Ⅰ. 인도 : 복발탑(覆鉢塔) ... 210
Ⅱ. 중국 : 고루다층탑(高樓多層塔) ... 212
Ⅲ. 고구려 : 다층다각목탑(多層多角木塔) ... 213
Ⅳ. 신라 : 모전석탑과 목탑(模塼石塔과 木塔) ... 214
Ⅴ. 백제 : 다층방형목탑(多層方形木塔) ... 215
제3절 탑의 시대적 변천 ... 216
Ⅰ. 삼국시대 ... 216
Ⅱ. 통일신라시대 ... 220
Ⅲ. 고려시대 ... 229
Ⅳ. 조선시대 ... 231
Ⅴ. 탑에 얽힌 이야기 ... 234
제4절 불탑 ... 240
Ⅰ. 삼국시대의 불탑 유형 ... 240
Ⅱ. 통일신라시대의 불탑 ... 241
Ⅲ. 고려·조선시대의 불탑 ... 242
제5절 석탑 ... 243
Ⅰ. 석탑의 기원 ... 243
Ⅱ. 시대별 석탑 유형 양식 ... 247
제6절 전탑(塼塔) ... 262
Ⅰ. 전탑의 기원 ... 262
Ⅱ. 한국 전탑의 특징 ... 266
제7절 부도와 舍利 ... 271
Ⅰ. 부도의 의의·기원 및 양식 ... 271
Ⅱ. 사리(舍利)의 의미·용구·장치 ... 279
제8절 석등 ... 284
Ⅰ. 석등의 의의와 양식 ... 284
Ⅱ. 석등의 기원 ... 286
Ⅲ. 한국 특유의 석등문화 ... 289
Ⅳ. 석등의 종류 ... 291
Ⅴ. 불교의례와 연등 ... 292
제4장 범종 ... 295
제1절 범종 ... 295
Ⅰ. 범종의 기원과 유래 ... 295
Ⅱ. 신라시대의 종 ... 297
Ⅲ. 고려시대의 종 ... 298
Ⅳ. 조선시대의 종 ... 299
Ⅴ. 종에 얽힌 이야기 ... 299
제5장 불화(탱화·괘불·만다라·산신도·심우도·팔상도·단청·문양) ... 307
제1절 탱화 ... 308
Ⅰ. 탱화의 유형과 구조 ... 308
Ⅱ. 탱화의 내용과 종류 ... 310
제2절 괘불(掛佛) ... 326
Ⅰ. 괘불의 의의 ... 326
Ⅱ. 괘불의 헌괘(獻掛) ... 331
Ⅲ. 괘불의 제작과정과 이운의식(移運儀式) ... 333
제3절 만다라 ... 336
Ⅰ. 만다라의 뜻 ... 336
Ⅱ. 밀교와 만다라 ... 338
Ⅲ. 만다라의 특징 ... 339
Ⅳ. 만다라의 종류 ... 340
Ⅴ. 만다라에 얽힌 이야기 ... 342
제4절 산신도(山神圖) ... 348
Ⅰ. 산신신앙과 산신도 ... 348
Ⅱ. 산신각과 산신도 ... 350
Ⅲ. 산신도의 종류와 복식 ... 354
Ⅳ. 호랑이와 산신 ... 359
Ⅴ. 맺음말 ... 360
제5절 심우도와 팔상도 ... 362
Ⅰ. 심우도 ... 362
Ⅱ. 팔상도 ... 365
제6절 단청 ... 368
Ⅰ. 단청의 의의 ... 368
Ⅱ. 단청 관련용어 ... 370
Ⅲ. 건물단청 ... 371
Ⅳ. 한국의 단청역사 ... 372
Ⅴ. 한국 단청의 특색 ... 374
Ⅵ. 단청문양의 종류 ... 376
Ⅶ. 단청문양의 명칭 ... 378
제7절 전통문양 ... 386
Ⅰ. 전통문양의 의미 ... 386
Ⅱ. 전통문양의 특성 ... 387
Ⅲ. 전통문양의 배후세계 ... 389
Ⅳ. 문양의 분류 ... 391
Ⅴ. 문양의 상징성 ... 392
제6장 법구·불교 목공예 ... 421
제1절 불교 법구(法具)의 의미 ... 421
Ⅰ. 불교(佛敎)의 법구(法具) ... 421
Ⅱ. 불상·불화·불구(佛具)의 의미 ... 423
Ⅲ. 불교 의식의 의미와 기능 ... 425
Ⅳ. 불교 의식 용구의 구성체계와 종류 ... 428
Ⅴ. 불교 의식 용구의 문화적 의미 ... 432
제2절 불교 법구의 분류 ... 436
Ⅰ. 의식구 ... 436
Ⅱ. 공양구 ... 454
Ⅲ. 장엄구 ... 463
Ⅳ. 승물(僧物) ... 471
Ⅴ. 기타 생활용구 ... 480
제3절 불교의 목공예 ... 483
Ⅰ. 기원과 역사 ... 483
Ⅱ. 불교 목공예의 특징 ... 486
Ⅲ. 불교 목공예의 분류 ... 488
제7장 불교의 춤과 음악 ... 493
제1절 범패 ... 493
Ⅰ. 범패의 기원과 역사 ... 494
Ⅱ. 범패의 특징 ... 496
Ⅲ. 범패가 사용되는 재의 종류 ... 499
제2절 영산재 ... 502
Ⅰ. 영산재의 의의와 절차 ... 502
Ⅱ. 영산재와 불구(佛具) ... 504
제3절 작법무와 승무 ... 508
Ⅰ. 바라무 ... 508
Ⅱ. 나비무 ... 510
Ⅲ. 법고무 ... 511
Ⅳ. 타주무 ... 512
Ⅴ. 승무 ... 512
제8장 불국사 ... 515
제1절 창건의 정신 ... 515
Ⅰ. 불국의 상징 ... 515
Ⅱ. 불국으로 가는 길 ... 517
제2절 불국사 창건 ... 519
Ⅰ. 창건 시기 ... 519
Ⅱ. 창건 설화 ... 520
Ⅲ. 김대성 ... 522
Ⅳ. 표훈과 신림 ... 523
제3절 중창의 역사 ... 524
제4절 불국사의 유물과 석굴암 ... 525
Ⅰ. 불국사 유물 ... 525
Ⅱ. 석굴암(석불사) ... 530
제9장 해인사·송광사·대흥사·운주사 ... 533
제1절 해인사 ... 533
Ⅰ. 해인사 창건 ... 533
Ⅱ. 해인사의 배치 ... 536
Ⅲ. 해인사의 성보(聖寶) ... 537
Ⅳ. 팔만대장경 ... 544
제2절 송광사 ... 551
Ⅰ. 송광사의 연혁 ... 551
Ⅱ. 한국불교에서의 송광사의 위치 ... 554
Ⅲ. 송광사의 정신 ... 556
Ⅳ. 송광사의 유물 ... 564
제3절 대흥사 ... 566
Ⅰ. 연혁 ... 566
Ⅱ. 창건 설화와 역사 ... 568
Ⅲ. 대흥사에서 배출된 고승들 ... 569
Ⅳ. 대흥사의 풍관 ... 576
Ⅴ. 대흥사의 지정 문화재 ... 577
제4절 운주사 ... 578
Ⅰ. 운주사의 유래와 얽힌 이야기 ... 578
Ⅱ. 운주사 석탑의 현황 ... 583
Ⅲ. 석탑의 분류 ... 584
Ⅳ. 석탑의 구성요소 ... 585
Ⅴ. 석탑 양식의 특성 ... 590
Ⅵ. 석탑의 건립배경과 건립기간 ... 591
참고문헌 ... 595
<vol>4
제1부 유교문화(儒敎文化)
제1장 원시유교(原始儒敎)와 국가유교(國家儒敎) ... 53
제1절 원시유교(原始儒敎)와 공·맹·순자의 생애 ... 59
Ⅰ. 원시유교(原始儒敎) ... 59
Ⅱ. 공자(孔子)의 생애 ... 61
Ⅲ. 맹자(孟子)의 생애 ... 63
Ⅳ. 순자(荀子)의 생애 ... 65
제2절 시대별 유교 개황 ... 68
Ⅰ. 선진(先秦)시대-주(周)왕조까지 ... 68
Ⅱ. 진나라시대 ... 70
Ⅲ. 한(漢)·송(宋)시대 ... 71
Ⅳ. 명(明)·청(淸)시대 ... 71
제3절 국가유교(國家儒敎) ... 72
Ⅰ. 국가유교(國家儒敎)개황 ... 72
Ⅱ. 동중서(董仲舒) ... 74
Ⅲ. 주자(朱子) ... 77
Ⅳ. 왕양명(王陽明) ... 80
Ⅴ. 강유위(康有爲) ... 82
제2장 유학사상(儒學思想) 개관(槪觀) ... 85
제1절 동(東)·서(西) 사상과 유학사상(儒學思想) ... 85
Ⅰ. 동·서 철학과 유학의 기본구조 ... 85
Ⅱ. 인간학으로서의 유학 ... 88
제2절 유학사상(儒學思想)과 인성관(人性觀) ... 89
Ⅰ. 맹자와 고자의 인성관 비교 ... 90
Ⅱ. 맹자와 순자의 인성관 비교 ... 91
제3절 유학(儒學)의 형성과정 ... 92
Ⅰ. 삼대(三代)문화와 주공(周公) ... 92
Ⅱ. 유학의 개창 및 형성 ... 94
제4절 유학(儒學)의 근본사상 ... 95
Ⅰ. 사랑의 철학 ... 96
Ⅱ. 변화의 철학 ... 97
제3장 유교의 천(天)사상 ... 101
제1절 천사상의 연원과 천(天)과 제(帝)의 관계 ... 101
Ⅰ. 천사상의 연원 ... 101
Ⅱ. 천(天)과 제(帝)의 관계 ... 102
제2절 유가계통과 법가계통의 천(天)사상 ... 103
Ⅰ. 유가계통(증자·자사·맹자)의 천(天)사상 ... 104
Ⅱ. 법가계통(자유·자하·순자·한비자)의 천(天)사상 ... 106
제3절 중국 4천년 천사상의 총괄 ... 108
Ⅰ. 주재적(主宰的)·종교심리론적 천(天)사상 ... 108
Ⅱ. 자연적·기계론적 천사상 ... 109
Ⅲ. 이법적(理法的)·철학적 천사상 ... 110
제4장 유교와 사서(四書) ... 113
제1절 사서(四書)의 성립과 집주(集註)의 의의 ... 113
Ⅰ. 사서(四書)의 성립 ... 113
Ⅱ.「사서집주(四書集注)」의 의의 ... 115
제2절 사서(四書)에 관한 논의 ... 120
Ⅰ. 대학(大學) ... 120
Ⅱ. 논어(論語) ... 122
Ⅲ. 맹자(孟子) ... 125
Ⅳ. 중용(中庸) ... 127
제3절 사서(四書)의 구성체계 ... 128
Ⅰ. 대학(大學) ... 128
Ⅱ. 논어(論語) ... 130
Ⅲ. 맹자(孟子) ... 133
Ⅳ. 중용(中庸) ... 135
제4절 사서(四書)의 작품해설과 주요내용 ... 137
Ⅰ. 대학(大學) ... 137
Ⅱ. 논어(論語) ... 139
Ⅲ. 맹자(孟子) ... 140
Ⅳ. 중용(中庸) ... 142
제5절 순자(荀子)와 한비자(韓非子) ... 144
Ⅰ. 순자(荀子)의 사상 ... 144
Ⅱ. 순자(荀子)의 작품해설과 주요내용 ... 154
Ⅲ. 한비자(韓非子)의 사상 ... 156
Ⅳ. 한비자(韓非子)의 작품해설과 주요내용 ... 165
제5장 유교와 경서(經書) ... 169
제1절 경(經)의 의미와 경전(經典)의 범위 및 종목 ... 169
Ⅰ. 경(經)의 의미 ... 169
Ⅱ. 경정의 범위와 종목 ... 171
제2절 오경(五經)의 구성체계 ... 172
Ⅰ. 「시경(詩經)」 ... 172
Ⅱ. 「서경(書經)」 ... 173
Ⅲ. 「역경(易經)」 ... 173
Ⅳ. 「예기(禮記)」 ... 173
Ⅴ. 「춘추(春秋)」 ... 174
제3절 오경(五經)에 관한 논의 ... 176
Ⅰ. 「시경(詩經)」 ... 176
Ⅱ. 「서경(書經)」 ... 179
Ⅲ. 「역경(易經)」 ... 181
Ⅳ. 「예기(禮記)」 ... 184
Ⅴ. 「춘추(春秋)」 ... 186
제6장 성리학(性理學) ... 191
제1절 성리학의 유학사적 변천과 사상사적 의의 ... 191
Ⅰ. 성리학의 유학사적 변천 ... 191
Ⅱ. 성리학의 사상사적 의의 ... 193
제2절 성리학의 성격 ... 197
Ⅰ. 주체성 ... 197
Ⅱ. 합리주의(合理主義) ... 198
Ⅲ. 윤리적 순수성 ... 199
제7장 한국의 유교 ... 201
제1절 한국 유교사의 개관 ... 201
Ⅰ. 고대에서 고려시대까지 ... 201
Ⅱ. 조선시대 ... 203
Ⅲ. 한말에서 현대까지 ... 205
제2절 한국 유교사상의 전개과정 ... 206
Ⅰ. 삼국시대 이후 ... 206
Ⅱ. 고려시대 ... 207
Ⅲ. 조선시대 ... 208
제3절 한국의 유교사상 요지 ... 211
Ⅰ. 인(仁)사상 ... 211
Ⅱ. 효제(孝悌)사상 ... 212
Ⅲ. 예(禮)사상 ... 213
Ⅳ. 사칠(四七)론 ... 214
Ⅴ. 이기(理氣)론 ... 214
Ⅵ. 사칠·이기 논쟁 ... 215
Ⅶ.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논쟁 ... 216
제4절 한국 유교의 의식행사와 조직 ... 217
Ⅰ. 한국 유교의 의식행사 ... 218
Ⅱ. 한국 유교의 조직 ... 227
제5절 한국 유교의 현황 ... 232
Ⅰ. 교단·교리·의례· ... 232
Ⅱ. 변혁·교세·활동 ... 235
제6절 한국 유학의 과거와 미래 ... 237
Ⅰ. 한국 유학의 과거 ... 237
Ⅱ. 한국 유학의 내일 ... 240
Ⅲ. 미래사회의 특징과 유학 ... 242
Ⅳ. 맺는말 ... 245
제7절 한국 유교의 공과(功過) ... 250
Ⅰ. 한국 유교의 공헌 ... 246
Ⅱ. 한국 유교의 폐단 ... 248
참고문헌 ... 251
제2부 불교문화(佛敎文化)
제1장 종교의 의미와 종교로서의 불교 ... 257
제1절 종교의 의미 ... 257
Ⅰ. 인간과 종교 ... 257
Ⅱ. 종교의 정의 ... 259
Ⅲ. 종교의 특징 ... 263
Ⅳ. 종교의 구성요소 ... 264
제2절 종교로서의 불교 ... 266
Ⅰ. 철학이냐 종교냐 ... 266
Ⅱ. 불교의 특징 ... 268
Ⅲ. 구도(求道)로서의 불교 ... 270
제2장 붓다가 발견한 진리와 불교의 근본 교리 ... 273
제1절 붓다가 발견한 진리(붓다의 깨달음) ... 273
Ⅰ. 초기불교 ... 273
Ⅱ. 연기법(緣起法) ... 275
Ⅲ. 십이연기(十二緣起) ... 282
제2절 불교의 근본 교리(응용실천교리) ... 286
Ⅰ. 사성제(四聖諦) ... 286
Ⅱ. 5온(五蘊) - 무아(無我) ... 290
Ⅲ. 삼법인(三法印) ... 295
Ⅳ. 일체법(一切法)-5온(蘊)·12처(處)·18계(界) ... 298
Ⅴ. 윤회(輪廻)와 업(業) ... 302
제3장 불교의 4대명제 - 특징과 불전(佛典)분류 및 내용의 요지 ... 313
제1절 종교의 의미와 붓다의 생애 ... 313
Ⅰ. 종교의 의미 ... 313
Ⅱ. 붓다의 생애 ... 317
Ⅲ. 붓다에 얽힌 이야기 ... 324
제2절 연기(緣起)의 법칙과 4대명제(四大命題) ... 329
Ⅰ. 연기(緣起)의 법칙 ... 329
Ⅱ. 4대명제(四大命題) ... 332
제3절 불교의 특징 ... 336
Ⅰ. 현실성(現實性) ... 336
Ⅱ. 보편성(普遍性) ... 338
Ⅲ. 비교조주의(非敎條主義) ... 340
제4절 불교 성전(聖典)의 분류 ... 342
Ⅰ. 경장 ... 342
Ⅱ. 율장 ... 343
Ⅲ. 논장 ... 344
제5절 불교성전의 종류별 유래 ... 345
Ⅰ. 대장경 ... 346
Ⅱ. 산스크리트어 성전 ... 346
Ⅲ. 티벳어 성전 ... 346
Ⅳ. 한역대장경 ... 347
Ⅴ. 법구경 ... 347
Ⅵ. 밀린다왕문경 ... 348
Ⅶ. 반야경 ... 348
Ⅷ. 법화경 ... 349
Ⅸ. 화엄경 ... 349
Ⅹ. 유마경 ... 350
XI. 정토삼부경 ... 350
XII. 중론 ... 351
XIII. 대지도론 ... 351
XIV. 승만경 ... 352
XV. 열반경 ... 352
XVI. 해심밀경 ... 353
XVII. 섭대 ... 354
XVIII. 성유식론 ... 354
XIX. 능가경 ... 355
XX. 대승기신론 ... 355
XXI. 대일경 ... 356
XXII. 금강정경 ... 356
XXIII. 이취경 ... 357
XXIV. 홍명집 ... 357
XXV. 정토론주 ... 358
XXI. 천태삼대부 ... 358
XXII. 삼론현의 ... 359
XXIII. 안락집 ... 360
XXIV. 화엄오교장 ... 360
XXV. 임제록 ... 360
XXVI. 종경록 ... 361
XXVII. 벽암록 ... 362
XXVIII. 종용록 ... 362
XXVIV. 무문관 ... 363
제6절 중요 경전(經典)의 요지 ... 363
Ⅰ.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 ... 365
Ⅱ. 유마경(維摩經) ... 367
Ⅲ. 법화경(法華經) ... 370
Ⅳ. 화엄경(華嚴經) ... 372
Ⅴ. 타르카바아샤 - 인식(認識)과 논리(論理) ... 376
제7절 불교의 의례와 수행 ... 377
Ⅰ. 수계(受戒) ... 377
Ⅱ. 삼귀의(三歸衣) ... 378
Ⅲ. 공양(供養) ... 378
Ⅳ. 보시(布施) ... 379
Ⅴ. 나찰귀 ... 379
Ⅵ. 소신(燒身) ... 380
Ⅶ. 걸식(乞食) ... 380
Ⅷ. 3의1발 ... 381
Ⅸ. 안거(安居) ... 381
Ⅹ. 자자(自恣) ... 382
XI. 포살(布薩) ... 382
XII. 좌선(坐禪) ... 382
XIII. 관불(觀佛) ... 383
제8절 불교의 분파 ... 383
Ⅰ. 소승불교(小乘佛敎) ... 383
Ⅱ. 대승불교(大乘佛敎) ... 384
Ⅲ. 출가불교(出家佛敎) ... 384
Ⅳ. 재가불교(在家佛敎) ... 385
Ⅴ. 행증불교(行證佛敎) ... 385
Ⅵ. 학파불교(學派佛敎) ... 386
Ⅶ. 귀족불교(貴族佛敎) ... 386
Ⅷ. 민중불교(民衆佛敎) ... 387
제9절 불교의 종파(宗派) - 중국불교 중심 ... 387
Ⅰ. 비담종(毘曇宗) ... 387
Ⅱ. 성실종(成實宗) ... 388
Ⅲ. 열반종(涅槃宗) ... 388
Ⅳ. 지론종(地論宗) ... 389
Ⅴ. 섭론종(攝論宗) ... 389
Ⅵ. 삼론종(三論宗) ... 390
Ⅶ. 천태종(天台宗) ... 390
Ⅷ. 화엄종(華嚴宗) ... 391
Ⅸ. 정토교(淨土敎) ... 391
Ⅹ. 선종(禪宗) ... 392
XI. 율종(律宗) ... 392
XII. 법상종(法相宗) ... 393
XIII. 밀교(密敎) ... 394
IX. 삼계교(三階敎) ... 394
제4장 연기법(緣起法)과 삼법인(三法人) 및 불교도의 상징 3보(三寶) ... 397
제1절 연기법(緣起法) ... 397
Ⅰ. 연기법(緣起法)의 개요 ... 397
Ⅱ. 인간의 유전(流轉) ... 398
제2절 삼법인(三法印) ... 401
Ⅰ. 제행무상인(諸行無常人) ... 401
Ⅱ. 제법무아(諸法無我) ... 402
Ⅲ. 일체개고(一切皆苦) ... 402
Ⅳ. 열반적정(涅槃寂靜) ... 402
제3절 불교도의 상징 - 3보(三寶) ... 403
Ⅰ. 불(佛) ... 407
Ⅱ. 법(法) ... 411
Ⅲ. 승(僧) ... 413
제5장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 ... 417
제1절 사성제(四聖諦) ... 418
Ⅰ. 고성제(古聖諦) ... 419
Ⅱ. 집성제(集聖諦) ... 420
Ⅲ. 멸성제(滅聖諦) ... 421
Ⅳ. 도성제(道聖諦) ... 422
제2절 팔정도(八正道) ... 424
Ⅰ. 팔정도(八正道)의 의미 ... 424
Ⅱ. 팔정도(八正道)의 내용 ... 424
제6장 불교사상 ... 429
제1절 아함경의 사상 ... 429
Ⅰ. 고(苦) ... 430
Ⅱ. 무상(無常) ... 434
Ⅲ. 무아(無我) ... 440
Ⅳ. 중도(中道)·팔정도(八正道)·4제(四諦) ... 445
Ⅴ. 법(法) ... 449
Ⅵ. 연기(緣起) ... 451
Ⅶ. 니르바나 - 열반(涅槃) ... 455
Ⅷ. 계(戒)·평등(平等)·자비(慈悲) ... 459
제2절 인도불교사상 ... 462
Ⅰ. 아비달마교학(阿卑達磨敎學) ... 462
Ⅱ. 중관사상(中觀思想) ... 465
Ⅲ. 유식사상(唯識思想) ... 468
Ⅳ.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 ... 472
Ⅴ. 밀교사상(密敎思想) ... 475
제3절 중국불교사상 ... 480
Ⅰ. 천태사상(天台思想) ... 480
Ⅱ. 화엄사상(華嚴思想) ... 483
Ⅲ. 선사상(禪思想) ... 493
Ⅳ. 정토사상(淨土思想) ... 499
제4절 공사상(空思想) ... 501
Ⅰ. 공(空)의 의미 ... 502
Ⅱ. 공사상(空思想)의 역사적 배경 ... 503
Ⅲ. 공사상(空思想)의 전개과정 ... 509
Ⅳ.「중론(中論)」에 나타난 공사상(空思想) ... 511
Ⅴ. 나가르주나 이후 공사상(空思想) ... 514
제7장 한국의 불교 ... 519
제1절 한국 불교의 전래 및 시대별 전개과정 ... 519
Ⅰ. 한국 불교의 전래 ... 519
Ⅱ. 시대별 전개과정 ... 520
제2절 한국불교사상 ... 524
Ⅰ. 승랑(僧朗)의 2체합명중도설(二諦合明中道說)사상 ... 524
Ⅱ. 원효(元曉)의 일심(一心)·화쟁(和諍)·무애(無碍)사상 ... 525
Ⅲ. 의상(義湘)의 화엄사상 ... 527
Ⅳ. 자장(慈藏)의 불국토(佛國土)사상 ... 527
Ⅴ. 원측(圓測)의 유식(唯識)사상 ... 528
Ⅵ. 신라의 계학(戒學)· 정토(淨土)· 호국(護國)사상 ... 529
Ⅶ. 의천(義天)의 교관겸수(敎觀兼修)사상 ... 530
Ⅷ. 지눌(知訥)의 정혜쌍수·무심합도·돈오점수사상 ... 531
제3절 한국 불교의 의식(儀式) ... 534
Ⅰ. 한국 불교의식의 개관 ... 534
Ⅱ. 불타 당시의 불교의식과 독경의식 ... 536
Ⅲ. 49일재(齋) ... 536
Ⅳ. 생전예수재·천지명양수륙재·방생재 ... 537
Ⅴ. 위령천도시식·참죄업장 예문의식 ... 538
Ⅵ. 불상·가사 점안의식 ... 539
Ⅶ. 가사·괘불·사리 이운의식 ... 539
제4절 한국 불교의 교단조직 ... 540
Ⅰ. 종회(宗會)·총무원·감찰원 ... 540
Ⅱ. 본산(本山)·본사(本寺)·승가(僧伽) ... 541
Ⅲ. 4대부중, 비구·비구니, 우바색· 우바이, 사미·사미니 ... 541
Ⅳ. 주지·화상·선사 ... 542
Ⅴ. 총림·서원·강원 ... 543
Ⅵ. 법계·승통 ... 543
Ⅶ. 국사·군승 ... 544
Ⅷ. 각종 불교연합회 ... 545
제5절 한국불교의 종파(宗派) ... 546
Ⅰ. 한국 불교의 성립과정 ... 546
Ⅱ. 열반종·계율종·법성종·화엄종·법상종·천태종 ... 549
Ⅲ. 실상산파·가지산파·사굴산파·동리산파·성주산파·사자산파·희양산파·봉림산파·수미산파 ... 551
Ⅳ. 대한불교 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 556
Ⅴ. 대한불교 태고종·진각종·진언종·불입종·법화종·일승종·천태종·원효종·화엄종·총화회·법상종·미륵종·정토종·용화종·보문종·천화불교 ... 558
제6절 한국불교의 문화 ... 566
Ⅰ. 시대별 불교문화 형성과정 ... 567
Ⅱ. 문화재를 통해 본 시대별 불교문화 ... 571
참고문헌 ... 595
제3부 도교문화(道敎文化)
제1장 노장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지식 ... 599
제1절 노장철학에 대한 시각 ... 601
Ⅰ. 노장철학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 ... 601
Ⅱ. 노장철학에서 주목할 점 ... 604
제2절 노장철학의 이해방법 ... 609
Ⅰ. 노자와 장자 철학의 유사점 ... 609
Ⅱ. 노자와 장자 철학의 차이점 ... 611
Ⅲ. 노자의 도(道)와 장자의 도(道) ... 616
제2장 도교의 구성요소와 교단(敎團) 및 조직 ... 625
제1절 도교의 구성요소 ... 625
Ⅰ. 무축(巫祝) ... 625
Ⅱ.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 626
Ⅲ. 도가(道家) ... 626
Ⅳ. 참위설(讖緯說) ... 627
Ⅴ. 신선설(神仙說) ... 627
Ⅵ. 신선사상(神仙思想) ... 627
제2절 도교의 교단 ... 628
Ⅰ. 신선설(神仙說) ... 628
Ⅱ. 태평도(太平道) ... 629
Ⅲ. 오두미도(五斗米道) ... 632
Ⅳ. 신천사도(新天師道) ... 634
Ⅴ. 모산파(茅山派)와 태일교(太一敎) ... 635
Ⅵ. 진대도교(眞大道敎)와 전진교(全眞敎) ... 636
Ⅶ. 민중도교(民衆道敎) ... 638
제3절 도교의 조직 ... 640
Ⅰ. 도관(道觀) ... 640
Ⅱ. 도사(道士) ... 641
제3장 노자(老子)와 장자(莊子) ... 643
제1절 노자(老子) ... 643
Ⅰ. 노자의 소극성의 가치관 ... 643
Ⅱ. 노자의 전기(傳記) ... 645
Ⅲ. 노자당시의 시대적 상황 ... 648
Ⅳ. 노자의 도(道)의 개념 ... 650
Ⅴ. 노자의 윤리관 ... 651
Ⅵ. 노자의 정치관 ... 653
제2절 장자(莊子) ... 656
Ⅰ. 장자의 인간형 ... 656
Ⅱ. 장자의 전기(傳記) ... 657
Ⅲ.「장자(莊子)」의 성립과정 ... 660
Ⅳ. 만물제동(萬物齊同)의 사상(思想) ... 661
Ⅴ. 장자의 운명론 ... 663
Ⅵ. 장자학파(莊子學派) ... 664
Ⅶ. 장자와 불교 ... 666
제4장 노·장의 천도관(天道觀)과 천사상(天思想) ... 669
제1절 노자의 천도관(天道觀) ... 669
Ⅰ. 노·장과 공·맹의 천도관(天道觀) ... 669
Ⅱ. 노(老)·장(莊)의 천도관(天道觀)이 후대(後代)에 끼친 영향 ... 674
제2절 노자의 천사상(天思想) ... 676
Ⅰ. 천(天)과 도(道) ... 677
Ⅱ. 천(天)과 자연(自然) ... 677
Ⅲ. 천(天)과 만물(萬物) ... 678
제3절 장자(莊子) 천도관(天道觀)의 기본성격 ... 679
Ⅰ. 본원적 존재와 최고의 인식으로서의 도(道) ... 679
Ⅱ. 자본자근성(自本自根性)으로서의 도(道) ... 681
제4절 장자 천도관(天道觀)의 내용 ... 682
Ⅰ. 절대성(絶對性)과 영원성(永遠性) ... 682
Ⅱ. 초월성(超越性)과 보편성(普遍性) ... 684
Ⅲ. 무차별성(無差別性) ... 688
Ⅳ. 무목적성(無目的性) ... 691
Ⅴ. 자증자각(自證自覺)의 도(道) ... 693
Ⅵ. 노·장 천도관의 요지 ... 695
제5절 장자의 천사상(天思想) ... 697
Ⅰ. 자연현상적(自然現象的) 천(天) ... 697
Ⅱ. 운명적(運命的) 천(天) ... 698
Ⅲ. 천인합일(天人合一) ... 699
제5장 도교사상과 제신(諸神) 및 수행법(修行法) ... 701
제1절 도교사상 ... 701
Ⅰ. 도(道) ... 701
Ⅱ. 불로불사(不老不死) ... 702
제2절 도교의 제신(諸神) ... 702
Ⅰ. 선인(仙人) ... 702
Ⅱ. 원시천존(元始天尊) ... 703
Ⅲ. 태상노군(太上老君) ... 703
Ⅳ. 현천상제(玄天上帝)·북두신군(北斗神君)·문창제군(文昌帝君) ... 704
Ⅴ. 조신(조神)·삼시(三尸) ... 706
Ⅵ. 삼관(三官)·토지신 ... 707
Ⅶ. 성황신(城隍神)·풍도신(풍都神)·재신(財神) ... 708
Ⅷ. 관제(關帝)·비간(比干)·5현재신(五顯財神) ... 709
Ⅸ. 동악대제(東岳大帝)·용왕(龍王)·낭랑천(娘娘天) ... 710
제3절 도교의 수행법(修行法) ... 711
Ⅰ. 적선(積善) ... 711
Ⅱ. 벽곡(壁穀) ... 712
Ⅲ. 조식(調息)·도인(導引)·방중(房中) ... 712
Ⅳ. 복이(服餌)·내사(內思) ... 713
Ⅴ. 좌망(坐忘)·재초(齋醮) ... 714
제6장 『도덕경(道德經)』과 『장자(莊子)』 ... 717
제1절『도덕경(道德經)』 ... 717
Ⅰ. 노자에 얽힌 이야기 ... 717
Ⅱ. 노자의 책에 얽힌 이야기 ... 719
Ⅲ.『도덕경(道德經)』의 작품해설과 주요내용 ... 720
Ⅳ. 노자 사상의 요지 ... 721
제2절 『장자(莊子)』 ... 730
Ⅰ. 장자의 생애 ... 730
Ⅱ.『장자(莊子)』에 얽힌 이야기 ... 731
Ⅲ.『장자(莊子)』의 작품해설과 주요내용 ... 732
Ⅳ. 장자철학의 개요 ... 734
Ⅴ.『장자(莊子)』의 책 구성 ... 741
Ⅵ. 장자사상(莊子思想)의 요지 ... 750
제7장 노·장의 교화론(敎化論) ... 755
제1절 노자의 교화론(敎化論) ... 755
Ⅰ. 불언지교(不言之敎) ... 756
Ⅱ. 무위자화(無爲自化) ... 757
Ⅲ. 호정자정(好靜自正) ... 759
Ⅳ. 무욕자박(無慾自樸) ... 760
제2절 장자의 교화론(敎化論) ... 761
Ⅰ. 유심어담(遊心於淡) ... 762
Ⅱ. 절지기교(絶地棄巧) ... 763
Ⅲ. 거각인의(去却仁義) ... 764
Ⅳ. 순물자연(順物自然) ... 765
제8장 도가(道家)와 도교(道敎) ... 769
제1절 도가(道家) ... 769
Ⅰ. 도가의 유래 ... 769
Ⅱ. 중국의 고대사상(古代思想) ... 770
Ⅲ. 도사사상(道家思想) ... 771
제2절 도교의 기원과 변천과정 ... 775
Ⅰ. 노교의 기원과 그 의미 ... 775
Ⅱ. 도교의 변천과정(발생·태평도·오두미교) ... 782
제9장 도교 경전(經典)과 내용 ... 787
제1절 도교 경전의 성립과정 ... 787
Ⅰ. 삼동사보(三洞四輔)의 성립 ... 787
Ⅱ. 도교 경전의 증보·현본 편찬 ... 789
제2절 삼동설의 성립과 내용 ... 792
Ⅰ. 삼동설의 성립 ... 792
Ⅱ. 삼동설의 내용 ... 794
제3절 사보(四輔)의 성립 ... 794
제4절 도교의 경전 ... 796
Ⅰ. 도장 ... 796
Ⅱ. 상청경 ... 796
Ⅲ. 영보경 ... 797
Ⅳ. 삼황문 ... 798
Ⅴ. 태평경 ... 799
Ⅵ. 부록(符錄) ... 800
Ⅶ. 선서(善書) ... 801
Ⅷ.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 ... 801
Ⅸ. 공과격(功過格)·보권(寶卷) ... 802
제5절 도교의 내용 ... 803
Ⅰ. 도교의 우주관 ... 803
Ⅱ. 도교의 의식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