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 3
2. 연구방법 ... 6
Ⅱ. 장풍운전의 구성과 장풍운의 일대기 ... 13
1. 장풍운전의 작품 개요 ... 15
2. 장풍운 일대기의 특징 ... 18
Ⅲ. 점복적 일생 예견과 주인공의 일대기 구성 ... 25
1. 觀相 활용과 인물 일대기 ... 27
1) 장풍운의 相 묘사 검토 ... 27
2) 관상의 내용과 작품의 구성 ... 31
3) 등장인물들의 관상 활용 ... 38
4) 관상 활용의 소설구성상 의미 ... 40
2. 姓名 활용과 인물 일대기 ... 44
1) 장풍운의 한자 표기와 수의 배치 ... 44
2) 數理組織과 인물의 일생 ... 46
(1) 三元五行과 富貴雙全格 ... 46
(2) 元格의 自立頭領運과 일생 ... 49
(3) 亭格의 虛妄短壽運과 일생 ... 53
(4) 利格의 革新隆昌運과 일생 ... 56
(5) 貞格의 破竹僥倖運과 일생 ... 60
(6) 元亨利貞格의 五行과 流年運 ... 62
3) 數理易象과 인물의 일생 ... 63
(1) 성명 수리와 天雷无妄卦 ... 63
(2) 天雷无妄卦와 인물의 일생 ... 64
4) 성명 활용의 소설구성상 의미 ... 69
3. 四柱 활용과 인물 일대기 ... 73
1) 生年月日時 검토 ... 73
(1) 생일의 문제 ... 73
(2) 생년의 문제 ... 76
2) 唐四柱와 인물의 일생 ... 77
(1) 十二殺과 인물의 길흉 ... 77
(2) 四柱와 十二星 ... 80
(3) 年權星과 일생 ... 82
(4) 月孤星과 일생 ... 85
(5) 日害星과 일생 ... 86
(6) 時權星과 일생 ... 88
3) 四柱追命學과 인물의 일생 ... 90
(1) 四柱와 大運의 六神 표출 ... 90
(2) 四柱와 인물의 성격 ... 95
(3) 年柱의 六神-正官, 傷官-과 일생 ... 100
(4) 月柱의 六神-印綬, 印綏-와 일생 ... 103
(5) 日柱의 六神-劫財-와 일생 ... 107
(6) 時柱의 六神-偏財, 正財-와 일생 ... 109
(7) 大運과 십년 주기별 일생 ... 110
4) 사주 활용의 소설구성상 의미 ... 116
Ⅳ. 불교사상적 자기 발견과 작품의 의미 형성 ... 119
1. 인과론적 작품 구성 ... 121
1) 인과론적 사건 개요 ... 121
2) 인과론적 구성의 특징 ... 123
2. 인과응보적 자기 실현 ... 126
1) 善因善果와 가족 화락 ... 126
(1) 보시와 가족 재회 ... 126
(2) 보은과 가문 번영 ... 132
2) 惡因惡果와 가족 불화 ... 137
(1) 시기와 가족 몰락 ... 137
(2) 투기와 가문 몰락 ... 142
3. 진실한 자기 발견의 불교적 구현 ... 146
1) 자기 발견과 자유세계 지향 ... 146
2) 자기 집착과 인간관계 왜곡 ... 151
4. 불교적 자기 발견의 문학적 의미 ... 155
Ⅴ. 문헌 내적 변화와 독자의 감상 성향 ... 157
1. 경판본 내적 변화의 독자지향적 성향 ... 159
1) 31장본과 29장본의 문헌 내적 변화 ... 159
(1) 인물 묘사의 변화 ... 160
(2) 대화 재현의 변화 ... 164
(3) 행위 재현의 변화 ... 169
(4) 시점과 서술의 변화 ... 171
2) 내적 변화의 소설시학적 기능 ... 177
(1) 어색한 표현 수정 ... 177
(2) 사건 서술의 속도 ... 180
(3) 서술자의 위치 ... 184
(4) 서술자 또는 인물의 세계관 ... 186
3) 내적 변화와 독자 성향 ... 189
(1) 구성에 대한 심미적 성향 ... 189
(2) 의미에 대한 이념적 성향 ... 192
2. 경판본과 완판본의 내적 변화와 독자 성향 ... 194
1) 경판29장본과 완판36장본의 작품 내적 변화 ... 194
(1) 인물 묘사의 변화 ... 195
(2) 대화 재현의 변화 ... 201
(3) 행위 재현의 변화 ... 210
(4) 논평 또는 개입의 변화 ... 217
2) 내적 변화의 소설시학적 기능 ... 221
(1) 사건 서술의 속도 ... 221
(2) 사건 전개의 통일성 ... 227
(3) 인물의 세계관 ... 231
(4) 작품의 주제 ... 236
3) 서울 지역과 호남 지역 독자의 작품 감상 성향 ... 238
(1) 방각소설 독자의 계층 ... 238
(2) 구성에 대한 심미적 성향 ... 241
(3) 의미에 대한 이념적 성향 ... 243
Ⅵ. 문화관습적 접근의 의의 ... 245
1. 점복 활용의 소설 창작 방법적 의의 ... 247
2. 불교사상적 의미 형성의 의의 ... 257
3. 독자 성향의 동질성 확립적 의의 ... 263
Ⅶ. 결론 ... 271
부록
1. 「장풍운전」의 제1장, 끝장 또는 판권지 ... 279
2. 觀人八法 ... 294
3. 다가서포36장본 「장풍운전」 ... 302
참고문헌 ... 339
찾아보기 ... 34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