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모 논문집을 내면서 ... 3
화보 - 시인의 한때, 그 후
제1부
살아있는 신동엽 / 백낙청 ... 11
역사의식과 순수언어 - 신동엽의 시에 대해서 / 신경림 ... 31
김수영과 신동엽 / 염무웅 ... 39
신동엽의 道家的 想像力 / 김종철 ... 51
신동렵론 / 구중서 ... 75
신동엽론 / 조태일 ... 95
신동엽 연구 / 강은교 ... 123
민족시인 申東曄 / 채광석 ... 151
민중적 자기긍정의 시 - 신동엽의 시세계 / 성민엽 ... 191
신동엽 문학과 '중립'의 사상 / 김윤태 ... 199
제2부
신동엽의 「금강」에 대하여 / 김우창 ... 221
申東曄論 / 홍기삼 ... 239
詩에서의 참여 문제 - 申東曄의 「錦江」을 중심으로 / 김주연 ... 253
만남과 同情 - 신동엽에 있어서의 '歸鄕'의 의미 / 이기림 ... 271
「금강」의 서술양식과 역사의식 / 최유찬 ... 283
신동엽의 서사시세계와 서사정신 / 민병욱 ... 299
신동엽 시의 텍스트 연구 -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大地」를 중심으로 / 강형철 ... 367
제3부
알맹이의 역사를 위하여-신동엽의 시 / 김영무 ... 407
신동엽론 / 조남익 ... 433
申東曄論 - 역사관과 여성관 / 이동하 ... 449
申東曄論 / 신익호 ... 461
申東曄의 시세계와 휴머니즘 - 시적 감수성과 역사의식을 중심으로 / 서익환 ... 481
신동엽 시의 형식과 이미지 / 김완하 ... 503
신동엽 시의 장르적 특성 / 김응교 ... 599
전쟁 체험과 신동엽의 시 / 조해옥 ... 629
유기체적 세계관과 유토피아 의식 / 박지영 ... 661
신동엽 시 연구 - 물질적 상상력과 歸數性의 시학 / 오윤정 ... 693
추모 논문집을 내면서 ... 3
화보 - 시인의 한때, 그 후
제1부
살아있는 신동엽 / 백낙청 ... 11
역사의식과 순수언어 - 신동엽의 시에 대해서 / 신경림 ... 31
김수영과 신동엽 / 염무웅 ... 39
신동엽의 道家的 想像力 / 김종철 ... 51
신동렵론 / 구중서 ... 75
신동엽론 / 조태일 ... 95
신동엽 연구 / 강은교 ... 123
민족시인 申東曄 / 채광석 ... 151
민중적 자기긍정의 시 - 신동엽의 시세계 / 성민엽 ... 191
신동엽 문학과 '중립'의 사상 / 김윤태 ... 199
제2부
신동엽의 「금강」에 대하여 / 김우창 ... 221
申東曄論 / 홍기삼 ... 239
詩에서의 참여 문제 - 申東曄의 「錦江」을 중심으로 / 김주연 ... 253
만남과 同情 - 신동엽에 있어서의 '歸鄕'의 의미 / 이기림 ... 271
「금강」의 서술양식과 역사의식 / 최유찬 ... 283
신동엽의 서사시세계와 서사정신 / 민병욱 ... 299
신동엽 시의 텍스트 연구 -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大地」를 중심으로 / 강형철 ... 367
제3부
알맹이의 역사를 위하여-신동엽의 시 / 김영무 ... 407
신동엽론 / 조남익 ... 433
申東曄論 - 역사관과 여성관 / 이동하 ... 449
申東曄論 / 신익호 ... 461
申東曄의 시세계와 휴머니즘 - 시적 감수성과 역사의식을 중심으로 / 서익환 ... 481
신동엽 시의 형식과 이미지 / 김완하 ... 503
신동엽 시의 장르적 특성 / 김응교 ... 599
전쟁 체험과 신동엽의 시 / 조해옥 ... 629
유기체적 세계관과 유토피아 의식 / 박지영 ... 661
신동엽 시 연구 - 물질적 상상력과 歸數性의 시학 / 오윤정 ... 693
책머리에
제1부
현대시의 장르 패러디와 담론 연구
Ⅰ. 서론 ... 13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3
2. 연구 범위 및 전개 과정 ... 20
Ⅱ. 연구 방법론의 체계 ... 25
1. 장르 패러디의 체계 ... 25
1) 장르 패러디의 개념 ... 25
2) 장르 패러디의 양면 가치성 ... 26
3) 장르 패러디의 의사소통 ... 27
4) 장르 패러디와 대화적 이데올로기 ... 28
2. 장르 패러디와 담론 관계 ... 30
3. 장르 패러디와 장르 모델 ... 39
1) 격상모델 ... 40
2) 변형모델 ... 40
4) 반대모델 ... 41
Ⅲ. 장르 패러디 유형과 담론 양상 ... 42
1. 민요시조의 담론 양상 ... 42
1) 익명화 전략과 의식의 공유 ... 42
2) 반대형식과 풍자성 ... 44
3) 주체 뒤집기와 대항 이데올로기 ... 52
2. 민요시의 담론 양상 ... 54
1) 문화적 민족주의 민요시 ... 54
2) 분열적인 민요시 ... 73
3) 계급주의 민요시 ... 81
4) 계급적 민족주의 민요시 ... 94
3 .판소리의 담론 양상 ... 112
1) 풍자정신과 영향의 의도적 굴절 ... 112
2) 판소리의 패러디와 풍자적 거리 ... 115
3) 반동일화 담론과 변용형식 ... 125
4) 담론의 이중성과 갈등 해소 구조 ... 128
5) 주체성 확립과 탈식민주의 전략 ... 133
4. 굿시의 담론 양상 ... 137
1) 이중의 패러디와 변용형식 ... 137
2) 연희성과 운동지향성 ... 145
3) 내면화된 부채의식과 삶의 역설적 인식 ... 148
4) 이원적 세계 인식과 감상적 태도 ... 153
5. 대중문화시의 담론 양상 ... 156
1) 대중문화 장르의 부각과 포스트모더니즘 ... 156
2) 대중문화시의 제양상 ... 158
3) 패러디 형식과 담론의 다양성 ... 170
Ⅳ. 장르 패러디의 특성 및 의의 ... 174
1. 민요시의 특성 및 의의 ... 175
2. 민요시의 특성 및 의의 ... 177
3. 판소리시의 특성 및 의의 ... 180
4. 굿시의 특성 및 의의 ... 182
5. 대중문화시의 특성 및 의의 ... 184
Ⅴ. 결론 ... 188
제2부
1920년대 민요시의 구조 연구
Ⅰ. 서론 ... 199
Ⅱ. 방법론적 전제 ... 203
1. 민요와 민요시 ... 203
2. 우리 민요에서의 병치구조 ... 205
1) 병치구조의 언어학적 기반 ... 205
2) 기본구조와 변형규칙 ... 207
3) 율격과의 관계 ... 213
Ⅲ. 1920년대 민요시의 구조 분석 ... 217
1. 주요한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17
1) 기본구조 (2)와 그 변형규칙 ... 217
2) 기본구조 (1)·(2)의 결합과 그 변형규칙 ... 218
3) 주요한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26
2. 김억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27
1) 기본구조 (1)와 그 변형규칙 ... 227
2) 기본구조 (2)와 그 변형규칙 ... 228
3) 기본구조 (1)·(2)의 결합과 그 변형규칙 ... 232
4) 김억 민요시의 구조적 특징 ... 238
3. 김소월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39
1) 기본구조 (1)와 그 변형규칙 ... 239
2) 기본구조 (2)와 그 변형규칙 ... 239
3) 기본구조 (1)·(2)의 결합과 그 변형규칙 ... 241
4) 새로운 기본구조와 그 변형규칙 ... 251
5) 김소월 민요시의 구조적 특징 ... 255
4. 김동환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57
1) 기본구조 (1)와 그 변형규칙 ... 257
2) 기본구조 (2)와 그 변형규칙 ... 260
3) 기본구조 (1)·(2)의 결합과 그 변형규칙 ... 262
4) 김동환 민요시의 구조적 특징 ... 268
Ⅳ. 1920년대의 민요시의 의의와 한계 ... 269
Ⅴ. 결론 ... 273
개화 시가의 사상적 유형과 장르의 연구
Ⅰ. 머리말 ... 279
1. `개화기' 용어 문제 ... 280
2. 개화기 시대구분 ... 280
3. `개화기' 시가와 `개화' 시가 ... 282
Ⅱ. 기존의 연구 성과 검토 ... 284
Ⅲ. 개화 시가의 사상적 유형과 장르 선택 ... 291
Ⅳ. 맺음말 ... 299
참고문헌
책머리에
제1부
현대시의 장르 패러디와 담론 연구
Ⅰ. 서론 ... 13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3
2. 연구 범위 및 전개 과정 ... 20
Ⅱ. 연구 방법론의 체계 ... 25
1. 장르 패러디의 체계 ... 25
1) 장르 패러디의 개념 ... 25
2) 장르 패러디의 양면 가치성 ... 26
3) 장르 패러디의 의사소통 ... 27
4) 장르 패러디와 대화적 이데올로기 ... 28
2. 장르 패러디와 담론 관계 ... 30
3. 장르 패러디와 장르 모델 ... 39
1) 격상모델 ... 40
2) 변형모델 ... 40
4) 반대모델 ... 41
Ⅲ. 장르 패러디 유형과 담론 양상 ... 42
1. 민요시조의 담론 양상 ... 42
1) 익명화 전략과 의식의 공유 ... 42
2) 반대형식과 풍자성 ... 44
3) 주체 뒤집기와 대항 이데올로기 ... 52
2. 민요시의 담론 양상 ... 54
1) 문화적 민족주의 민요시 ... 54
2) 분열적인 민요시 ... 73
3) 계급주의 민요시 ... 81
4) 계급적 민족주의 민요시 ... 94
3 .판소리의 담론 양상 ... 112
1) 풍자정신과 영향의 의도적 굴절 ... 112
2) 판소리의 패러디와 풍자적 거리 ... 115
3) 반동일화 담론과 변용형식 ... 125
4) 담론의 이중성과 갈등 해소 구조 ... 128
5) 주체성 확립과 탈식민주의 전략 ... 133
4. 굿시의 담론 양상 ... 137
1) 이중의 패러디와 변용형식 ... 137
2) 연희성과 운동지향성 ... 145
3) 내면화된 부채의식과 삶의 역설적 인식 ... 148
4) 이원적 세계 인식과 감상적 태도 ... 153
5. 대중문화시의 담론 양상 ... 156
1) 대중문화 장르의 부각과 포스트모더니즘 ... 156
2) 대중문화시의 제양상 ... 158
3) 패러디 형식과 담론의 다양성 ... 170
Ⅳ. 장르 패러디의 특성 및 의의 ... 174
1. 민요시의 특성 및 의의 ... 175
2. 민요시의 특성 및 의의 ... 177
3. 판소리시의 특성 및 의의 ... 180
4. 굿시의 특성 및 의의 ... 182
5. 대중문화시의 특성 및 의의 ... 184
Ⅴ. 결론 ... 188
제2부
1920년대 민요시의 구조 연구
Ⅰ. 서론 ... 199
Ⅱ. 방법론적 전제 ... 203
1. 민요와 민요시 ... 203
2. 우리 민요에서의 병치구조 ... 205
1) 병치구조의 언어학적 기반 ... 205
2) 기본구조와 변형규칙 ... 207
3) 율격과의 관계 ... 213
Ⅲ. 1920년대 민요시의 구조 분석 ... 217
1. 주요한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17
1) 기본구조 (2)와 그 변형규칙 ... 217
2) 기본구조 (1)·(2)의 결합과 그 변형규칙 ... 218
3) 주요한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26
2. 김억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27
1) 기본구조 (1)와 그 변형규칙 ... 227
2) 기본구조 (2)와 그 변형규칙 ... 228
3) 기본구조 (1)·(2)의 결합과 그 변형규칙 ... 232
4) 김억 민요시의 구조적 특징 ... 238
3. 김소월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39
1) 기본구조 (1)와 그 변형규칙 ... 239
2) 기본구조 (2)와 그 변형규칙 ... 239
3) 기본구조 (1)·(2)의 결합과 그 변형규칙 ... 241
4) 새로운 기본구조와 그 변형규칙 ... 251
5) 김소월 민요시의 구조적 특징 ... 255
4. 김동환 민요시의 구조적 특성 ... 257
1) 기본구조 (1)와 그 변형규칙 ... 257
2) 기본구조 (2)와 그 변형규칙 ... 260
3) 기본구조 (1)·(2)의 결합과 그 변형규칙 ... 262
4) 김동환 민요시의 구조적 특징 ... 268
Ⅳ. 1920년대의 민요시의 의의와 한계 ... 269
Ⅴ. 결론 ... 273
개화 시가의 사상적 유형과 장르의 연구
Ⅰ. 머리말 ... 279
1. `개화기' 용어 문제 ... 280
2. 개화기 시대구분 ... 280
3. `개화기' 시가와 `개화' 시가 ... 282
Ⅱ. 기존의 연구 성과 검토 ... 284
Ⅲ. 개화 시가의 사상적 유형과 장르 선택 ... 291
Ⅳ. 맺음말 ... 299
참고문헌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