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
Ⅰ 건국과 통일
弓裔王의 專制的 王權의 추구
1. 머리말 ... 3
2. 弓裔王 專制的 王權의 추구와 淸州人의 重用 ... 5
3. 弓裔王 專制的 王權의 확립 ... 13
4. 弓裔王 몰락 ... 20
5. 맺음말 ... 26
高麗 太祖 王建의 집권
1. 머리말 ... 28
2. 弓裔王의 말년의 政變의 성격 ... 29
3. 弓裔王의 말년의 政變의 의미 ... 36
4. 弓裔王의 말년의 政變과 - 王建의 執權의 의의 - ... 41
5. 맺음말 ... 45
後三國의 분열과 王建에 의한 통일
1. 머리말 ... 48
2. 반란과 분열 ... 49
3. 弓裔와 甄萱의 흥망 ... 55
4. 王建의 등장과 통일 ... 63
5. 맺음말 - 慶州에서 開京으로 - ... 70
高麗初期 政治와 風水地理
1. 머리말 ... 73
2. 風水地理說의 여러 原理 ... 74
3. 太祖와 四京遷都論 ... 82
4. 太祖와 後百濟地域勢力背逆論 ... 90
5. 맺음말 - 政治와 風水地理 - ... 96
Ⅱ 중앙과 지방
高麗前期의 事審과 鄕吏
1. 머리말 ... 103
2. 事審과 豪族 ... 106
1) 中央의 豪族支配 ... 106
2) 國王과 功臣 ... 109
3) 地方의 정치적 참여 ... 113
3. 事審과 鄕吏 ... 115
1) 事審制度의 재정비 ... 115
2) 國王과 門閥貴族 ... 118
3) 中央과 地方 - 事審制度의 政治的 意味 - ... 121
4. 맺음말 - 事審制度의 歷史的 意義 - ... 127
高麗後期 事審官制度의 運用과 鄕吏의 中央進出
1. 머리말 ... 132
2. 事審官의 기능변화와 鄕吏·事審官의 관계변화 ... 133
3. 事審官制度의 운용과 鄕吏의 중앙진출 ... 143
4. 맺음말 ... 152
Ⅲ 중앙군의 구성과 역할
高麗初期 中央軍의 조직과 역할 - 京軍의 성격 -
1. 京軍의 형성 ... 157
1) 建國 초기의 兵力 ... 157
2) 軍戶制의 시행과 軍人層의 형성 ... 175
2. 京軍의 편성 ... 182
1) 國初 - 주로 太祖·光宗代 - 의 京軍의 편성 ... 182
2) 二軍六衛制의 성립 ... 196
3) 二軍·六衛의 편성 ... 202
3. 京軍 소속 軍人의 성격 ... 206
1) 軍班氏族의 형성 ... 206
2) 軍人의 身分 ... 219
3) 選軍 ... 226
4. 京軍의 임무 ... 228
1) 國王의 侍衛와 開京의 수비 ... 228
2) 出征 ... 230
3) 防戍 ... 236
4) 力役 ... 239
5. 京軍의 경제적 토대 - 軍人田 ... 243
1) 軍人田의 지급 ... 243
2) 軍人田의 경영 ... 250
高麗初期 京軍의 二元的 構成論에 대하여
1. 머리말 ... 260
2. 京軍의 數와 軍人田支給額에 관한 문제 ... 262
1) 京軍의 數에 대한 문제 ... 262
2) 軍人田支給額 문제 ... 274
3. 二軍·六衛의 身分不同論 ... 277
4. 京軍·州縣軍의 保勝·精勇 同一論 ... 284
5. 名望軍·農民番上軍의 二元的 構成論 ... 292
6. 맺음말 ... 301
【附】 韓國 政治發展의 諸時期
1. 머리말 ... 305
2. 關聯論著의 검토 ... 306
3. 時期區分의 基準設定 ... 311
4. 時期區分의 모색 ... 316
1) 國家의 발생과 政治的의 본격적 전개 ... 316
2) 여러 時期의 설정 ... 321
(1) 部族長政治(城邑國家·聯盟王國) ... 322
(2) 王族政治(三國時代) ... 324
(3) 專制政治(統一新羅) ... 326
(4) 門閥貴族政治(高麗時代) ... 328
(5) 6曹體制下의 兩班政治(朝鮮前期) ... 330
(6) 黨派 중심의 兩班政治(朝鮮後期) ... 333
5. 맺음말 - 共和政治로의 긴 旅程 - ... 336
索引 ... 343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