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1. 사회학과『주역』이 만나는 자리 ... 23
1. 현실이란 무엇인가? ... 23
2. 현대 사회의 위기와 인문사회과학의 위기 ... 29
3. 학문의 위기와 정체성 ... 37
4. 『주역』의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 ... 44
(1) 『주역』연구의 동향과 관점 ... 45
(2) 『주역』의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 ... 54
2. 동양 사상과 서양 사상의 비교 기준 ... 63
1. 동서 사상의 비교 기준의 필요성과 인식의 3차원 ... 63
2. 도-존재적 인식 ... 72
3. 시물-현존재적 인식 ... 82
4. 음양상-표상적 인식 ... 93
5. 인식의 3차원의 관계 ... 97
3. 『주역』의 세계 인식 원리 ... 107
1. 『주역』의 성립과 괘의 구조 ... 107
(1) 『주역』의 성립과 구성 ... 109
(2) 괘의 구조 및 내용 ... 112
2. 『주역』의 자연관 ... 123
3. 『주역』의 인간관 ... 128
(1) 삼재의 하나인 인간 ... 128
(2) 성찰적 지식인으로서의 군자와 군자의 도로서의 시중 ... 132
4. 점 : 학의 방법 및 태도로서의 점의 재해석 ... 136
5. 대대 : 상관성과 동시성의 인식 원리 ... 144
6. 유행 : 생성적 순환론의 변역 원리 ... 151
4. 사회학 방법론의 주요 쟁점과『주역』의 인식 원리 ... 157
1. 존재론적 쟁점 ... 159
(1) 전통적 사회학의 인간관 ... 160
(2) 인간 본성의 재조명 ... 165
(3) 사회실재론과 사회유명론 ... 170
(4) 존재론적 쟁점에 대한 평가와 과제 ... 176
(5)『주역』의 존재론 ... 182
2. 인식론적 쟁점 ... 196
(1) 실증주의적 인식론 ... 198
(2) 해석적 방법의 인식론 ... 202
(3) 마르크스주의자의 사회학과 비판 이론 ... 205
(4) 인식론적 쟁점에 대한 평가와 과제 ... 208
(5)『주역』의 인식론적 함의 ... 213
3. 가치론적 쟁점 ... 241
(1) 사실과 가치, 이론과 실천, 사회학의 목표와 유용성 ... 241
(2) 가치론적 쟁점에 대한 평가와 과제 ... 247
(3)『주역』의 가치론적 함의 ... 250
5, 사회학의 새 지평 ... 267
1. 사회학적 인식 지평의 확대를 바라며 ... 267
2. 존재론·인식론·가치론의 결합 ... 272
3. 맺음말 ... 278
참고 문헌 ... 282
찾아보기 ... 288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