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당시(唐詩) 해제
1. 당시란 어떤 시인가? ... 19
2. 당대 정치사회상의 특징 ... 20
3. 당대 문학의 특징 ... 26
1) 초당(初唐) ... 29
2) 성당(盛唐) ... 30
3) 중당(中唐) ... 32
4) 만당(晩唐) ... 33
Ⅰ. 초당(初唐)의 시
왕적(王績, 585∼644) ... 37
들판을 바라보며(野望) ... 37
진자앙(陳子昻, 661∼702) ... 39
유주대에 올라(登幽州臺歌) ... 40
시세에 대한 감상(感遇詩) 제2수 ... 41
시세에 대한 감상(感遇詩) 제3수 ... 43
봄날 밤에 벗과 작별하며(春夜別友人) ... 44
송지문(宋之問, 656?∼712?) ... 46
님을 그리며(有所思) ... 46
이교(李嶠, 644∼713) ... 50
분음의 노래(汾陰行) ... 50
심전기(沈佺期, 656?∼713) ... 57
옛날 노래를 지어 보궐 교지지에게 드림(古意呈補闕喬知之) ... 57
Ⅱ. 성당(盛唐)의 시
장열(張說, 667∼730) ... 61
양양 길에서 한식을 만나(襄陽路逢寒食) ... 61
왕한(王翰, 687∼726) ... 63
옛 장성을 노래함(古長城吟) ... 63
양주의 노래(凉州詞) ... 67
최호(崔顥, 704?∼754) ... 68
황학루에 올라(登黃鶴樓) ... 68
왕창령(王昌齡, 698?∼757?) ... 71
변경의 요새를 나가며(出塞) ... 71
규방 여인의 한(閨怨) ... 73
부용루에서 신점을 전송하며(芙蓉樓送辛漸) ... 74
왕유(王維, 701∼761) ... 75
원이가 안서로 사신으로 가는 것을 전송함(送元二使安西) ... 76
녹채(鹿柴) ... 77
젊은이의 노래(少年行) ... 78
여러 날 비가 올 적에 망천에서 지음(積雨輞川作) ... 79
맹호연(孟浩然, 698∼740) ... 81
친구의 집 찾아가(過故人莊) ... 81
Ⅲ. 시선(詩仙)과 시성(詩聖)
이백(李白, 701∼762) ... 85
고향생각(靜夜思) ... 87
홀로 경정산 대하고 앉아(獨坐敬亭山) ... 88
왕소군(王昭君) ... 88
자야오가(子夜吳歌) ... 91
벗과 함께 묵으며(友人會宿) ... 93
달 아래 홀로 술 마시며(月下獨酌) ... 94
봄날 취중에 일어나 뜻을 말하다(春日醉起言志) ... 96
소무(蘇武) ... 98
홀로 술잔 기울이며(獨酌) ... 102
왕우군(王右軍) ... 104
술을 대하고 하지장을 생각하는 시 두 수(對酒憶賀監二首) ... 107
장사인이 강동으로 가는 것을 전송함(送張舍人之江東) ... 110
장난삼아 정율양에게 지어줌(戱贈鄭율陽) ... 112
왕역양이 술을 마시려 하지 않음을 조롱함(嘲王歷陽不肯飮酒) ... 114
자류마(紫류馬) ... 116
오지 않는, 사러간 술을 기다리며(待酒不至) ... 118
아미산의 달노래(峨眉山月歌) ... 119
산중에서 속인들에게 답함(山中答俗人) ... 121
산속에서 대작함(山中對酌) ... 122
우림 도장군을 전송하며(送羽林陶將軍) ... 123
연꽃 따는 노래(採蓮曲) ... 124
금릉의 봉황대에 올라(登金陵鳳凰臺) ... 125
이른 봄 왕한양에게 지어 보냄(早春寄王漢陽) ... 127
금릉성 서쪽 누각에서 달빛 아래 읊다(金陵城西樓月下吟) ... 128
동계공이 숨어사는 집에 제함(題東溪公幽居) ... 130
이옹에게 지어 올림(上李邕) ... 131
금릉의 술집에 지어 남겨두고 떠남(金陵酒肆留別) ... 133
변경을 생각함(思邊) ... 134
까마귀 밤에 우는데(烏夜啼) ... 135
남릉에서의 이별(南陵敍別) ... 137
야랑으로 귀양가며 신판관에게 드림(流夜郞贈辛判官) ... 139
정십팔이 시로써 내가 황학루를 쳐부순다고 한 것을 나무란 것에 술취한 뒤에 답함(醉後答丁十八以詩譏予추碎黃鶴樓) ... 142
술잔을 들고 달에게 물어봄(把酒問月) ... 145
술을 권하면서(將進酒) ... 147
원단구가 무산이 그려진 병풍 앞에 앉아있는 것을 보면서(觀元丹丘坐巫山屛風) ... 150
삼오칠언(三五七言) ... 154
양왕의 서하산 맹씨네 도원 가운데 올라(登梁王栖霞山孟氏桃園中) ... 155
촉도의 험난함(蜀道難) ... 157
양양가(襄陽歌) ... 163
초서의 노래(草書歌行) ... 168
까마귀 깃들일 때(烏棲曲) ... 172
두보(杜甫, 712∼770) ... 175
태산을 바라보며(望嶽) ... 177
절구(絶句) ... 179
여름날 이공이 내방하다(夏日李公見訪) ... 179
위팔처사에게 드림(贈衛八處士) ... 183
석호촌의 관리(石壕吏) ... 186
미인(佳人) ... 190
가난할 적 사귐의 노래(貧交行) ... 193
술취하여(醉歌行) ... 194
미인의 노래(麗人行) ... 198
오래된 측백나무 노래(古栢行) ... 203
병거의 노래(兵車行) ... 207
무기를 씻는 노래(洗兵行) ... 211
입주를 노래함(入奏行) ... 221
고도호의 총마 노래(高都護총馬行) ... 225
이호현 영감의 오랑캐 말 노래(李호縣丈人胡馬行) ... 228
총마의 노래(총馬行) ... 231
꿈에 이백을 만남(夢李白) 2수 ... 234
달밤에(月夜) ... 239
위좌상에게 올리는 20운의 시(上韋左相二十韻) ... 241
이백에게 보내는 시 20운(寄李十二白二十韻) ... 247
가서개부에게 올리는 20운의 시(投贈哥舒開府二十韻) ... 255
위좌승 영감님께 올리는 시 22운(奉贈韋左丞丈二十二韻) ... 263
뜰 앞의 감국화를 탄식함(歎庭前甘菊花) ... 269
가을비를 탄식함(秋雨歎) ... 270
용문의 봉선사에 노닐면서(遊龍門奉先寺) ... 272
정광문에게 장난삼아 보내면서 아울러 소사업에게도 드림(戱簡鄭廣文兼呈蘇司業) ... 274
남목이 비바람에 뽑힌 것을 탄식함(枏木爲風雨所拔歎) ... 276
강 물굽이에서 슬퍼함(哀江頭) ... 279
술 잘 마시는 여덟 신선의 노래(飮中八僊歌) ... 282
취했을 적의 노래(醉時歌) ... 286
서경의 두 아들을 노래함(徐卿二子歌) ... 290
왕재가 그린 산수화에 희제하며(戱題王宰畵山水歌) ... 292
초가집이 가을바람에 무너진 것을 노래함(茅屋爲秋風所破歌) ... 294
장난삼아 지은 화경의 노래(戱作花卿歌) ... 297
이존사의 소나무 병풍에 제시하며(題李尊師松樹障子歌) ... 299
장난삼아 위언이 그린 쌍송도를 노래함(戱韋偃爲雙松圖歌) ... 302
봉선 유소부가 새로 그린 산수병풍(奉先劉少府新畵山水障歌) ... 305
이조의 팔분 소전 노래(李潮八分小篆歌) ... 310
천육의 말 그림 노래(天育驃騎歌) ... 314
오늘 저녁은(今夕行) ... 318
의심하지 말게나(莫相疑行) ... 320
궁핍함의 노래(핍側行) ... 322
떠나가네(去矣行) ... 325
단청 노래(丹靑引) ... 326
도죽장 노래(桃竹杖引) ... 332
위풍 녹사댁에서 조장군이 그린 말 그림을 보고 노래함(韋諷錄事宅觀曹將軍畵馬圖歌) ... 335
Ⅳ. 중당(中唐)의 시
고적(高適, 702∼765) ... 343
인일에 두이 습유에게 붙임(人日寄杜二拾遺) ... 343
구곡사(九曲詞) ... 346
잠참(岑參, 715∼770) ... 348
봄의 꿈(春夢) ... 348
백설가로 무판관이 서울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함(白雪歌送武判官歸京) ... 350
위응물(韋應物, 737∼790?) ... 353
전초산 속의 도사에게 붙임(寄全椒山中道士) ... 353
한유(韓愈, 768∼824) ... 356
아들 부가 장안성 남쪽에서 독서함(符讀書城南) ... 357
동생을 한탄하는 노래(嗟哉董生行) ... 364
푸릇푸릇한 물속의 창포(靑靑水中蒲) 3수 ... 368
그윽한 정회(幽懷) ... 370
수주로 공부하러 가는 제갈각을 전송하며(送諸葛覺往隨州讀書) ... 372
취하여 장비서에게 지어 보냄(醉贈張秘書) ... 376
악착 같음(齪齪) ... 381
짧은 등잔대(短燈경歌) ... 384
석고의 노래(石鼓歌) ... 386
당구에게 드림(贈唐衢) ... 396
옛사람의 뜻(古意) ... 398
정병조에게 드림(贈鄭兵曹) ... 399
꿩이 화살에 맞다(雉帶箭) ... 401
도원 그림(桃源圖) ... 403
노동에게 붙임(寄盧仝) ... 409
맹교(孟郊, 751∼814) ... 419
다듬이질 소리 들으며(聞砧) ... 419
옛 이별 노래(古別離) ... 420
집 나가있는 자식의 노래(遊子吟) ... 421
유종원(柳宗元 : 773∼819) ... 423
강설(江雪) ... 423
농가(田家) 제2수 ... 424
농가(田家) 제3수 ... 427
낚시하는 노인(漁翁) ... 429
가도(賈島, 779∼843) ... 431
도사를 찾아갔다 만나지 못하고서(訪道者不遇) ... 431
검객(劍客) ... 432
장적(張籍, 768?∼830?) ... 434
가는 길 험난하네(行路難) ... 434
유우석(劉禹錫, 772∼843) ... 436
백설조를 읊음(百舌吟) ... 436
가수 하감에게 지어 줌(與歌者何戡) ... 439
양분(楊賁, 800년 전후) ... 441
시세에 대한 느낌(時興) ... 441
이하(李賀, 790∼816) ... 443
안문태수의 노래(雁門太守行) ... 443
젊은이를 비웃음(조少年) ... 445
소소소의 무덤(蘇小小墓) ... 448
술 권하는 노래(將進酒) ... 449
훌륭한 분이 찾아오다(高軒過) ... 451
노동(盧仝, 795?∼835) ... 454
그리운 님(有所思) ... 454
붓 가는대로 맹간의의 새 차에 감사드림(走筆謝孟諫議新茶) ... 457
Ⅴ. 신악부파(新樂府派) 시인들
백거이(白居易, 772∼846) ... 465
숯 파는 영감(賣炭翁) ... 466
상산 길에서의 느낌(商山路有感) ... 468
효성스런 까마귀가 밤에 울다(慈烏夜啼) ... 469
태행산 길(太行路) ... 472
칠덕무(七德舞) ... 476
강남에서 천보 연간의 악공이던 영감을 만난 노래(江南遇天寶樂수歌) ... 481
장한가(長恨歌) ... 487
비파행(琵琶行) 병서(幷序) ... 502
이웃 아가씨(隣女) ... 513
원진(元진, 779∼831) ... 515
농가의 노래(田家詞) ... 515
연창궁의 노래(連昌宮辭) ... 517
춤추는 여인의 허리(舞腰) ... 529
이신(李紳, 780∼846) ... 530
농부를 가엾게 여김(憫農) 2수 ... 530
Ⅵ. 만당(晩唐)의 시
두목(杜牧, 803∼852) ... 535
산행(山行) ... 535
하황(河湟) ... 536
이상은(李商隱, 812∼858) ... 539
금슬(錦瑟) ... 540
낙유원(樂遊原) ... 541
섭이중(섭夷中, 837?∼884?) ... 543
농가를 읊음(詠田家) ... 543
육구몽(陸龜蒙, ?∼881?) ... 546
이별(別離) ... 546
조업(曹업, 816∼875?) ... 548
이사전을 읽고(讀李斯傳) ... 548
관휴(貫休, 832∼912) ... 551
늘 이백을 생각함(常思李白) ... 551
왕곡(王곡, 900년 전후) ... 554
심한 더위를 노래함(苦熱行) ... 554
색인(索引) ... 55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