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4 제1장 암행어사란 무엇인가? 1. 우리 나라 고유의 지방감찰제도 ... 15 암행어사의 종류와 명칭 ... 17 중국 어사와의 비교 ... 18 2. 지방행정제도와 감사제도 ... 19 지방수령과 방백의 임기 ... 21 수령 고소금지와 수령에 대한 감찰방법 ... 22 도별 감사가 수령을 감독 ... 25 3. 사헌부의 지방관서 감시·감독 ... 26 토호들의 토지 착취를 감찰 ... 28 국경 밀무역을 규찰 ... 30 제방의 축조·관리를 규찰 ... 35 행대감찰 김종서의 활동 ... 37 4. 암행어사 파견의 유래와 평가 ... 40 암행어사 이전의 지방감찰관 ... 40 최초의 암행어사 파견 시기 ... 41 고종 때까지 시행된 능률적인 감찰제도 ... 46 5. 성춘향과 이몽룡은 과연 실존인물인가? ... 48 이몽룡과 변학도에 관한 기록 ... 49 남원에 다녀간 어사들의 행적 ... 50 『춘향전』의 암행어사와 실제 암행어사 제도와의 비교 ... 52 암행어사를 유명한 관직으로 만든 소설 ... 53 제2장 암행어사는 어떻게 임명했는가? 1. 파견 지역은 임금이 추첨에 의해 결정했다 ... 59 초기에는 재해발생시 등에 파견 ... 59 후기에는 파견이 정례화되고 추생에 의하여 파견 ... 60 생읍은 반드시 염찰 ... 61 마침내 생읍 이외의 지역도 염찰 ... 65 암행어사 파견에서 나타난 문제점들 ... 67 2. 과거에 급제한 당하관을 임명했다 ... 70 신진기예의 젊은 시종신을 임명 ... 71 당상관도 파견할 것을 건의 ... 72 과거 급제자가 아닌 자를 임명한 사례들 ... 74 3. 암행어사 선발 및 임명 절차 ... 75 봉서에 임명 사실과 주요 임무를 기록 ... 76 사목은 임무 수행 방법을 규정 ... 78 마패는 말 징발권을 표시 ... 81 유척은 표준이 되는 자 ... 85 제3장 암행어사는 어떤 임무를 수행했는가? 1. 각 지방의 비리와 폐해를 적발·처리 ... 89 관찰사도 규찰하기 시작 ... 92 장오죄를 관대하게 처벌 ... 93 삼정문란 등 부정비리의 만연 ... 97 암행어사가 탐오죄를 범한 사례들 ... 101 2. 백성의 고통을 살피고 왕의 통치방침을 전파 ... 105 민간의 고통을 탐문치 않아 처벌 ... 109 군포 징수 문란을 규찰 ... 110 기근 구제상황 등을 염찰 ... 112 고발자를 옥에 가둔 수령을 처벌 ... 116 3. 지방관리의 공과를 검토하여 포상 및 처벌 ... 118 수령의 임무와 고과 방법 ... 118 고려시대 수령의 주요 임무 ... 122 잘잘못을 잘못 보고한 어사들 ... 124 잘 보이려고 주민을 사주한 수령들 ... 128 4. 소송사건의 처리 및 죄수실태 점검 ... 130 백성들의 소송사건을 처리 ... 132 죄수와 형장 등을 조사 ... 136 5. 재야의 효자·열녀를 찾아내고 각종 정보를 수집 ... 141 숨은 선비를 찾지 못한 어사 ... 144 변경지방을 염찰한 사례 ... 145 연안에 출몰한 이양선에 대한 정보도 수집 ... 146 외국인의 눈에 비친 암행어사 ... 148 제4장 암행어사는 비밀리에 염찰했다 1. 비노출 염찰의 어려움과 한계 ... 153 2. 어사의 일을 방해하는 수령 등이 발생 ... 156 명종시대 ... 156 중종시대 ... 158 순조시대 ... 161 3. 암행어사를 사칭하는 사람의 발생 ... 162 광해군시대 ... 162 인조시대 ... 163 현종시대 ... 164 숙종시대 ... 164 영조시대 ... 165 정조시대 ... 166 고종시대 ... 167 암행어사로 착각해 일어난 소동 ... 167 4. 임무수행에 대한 미흡한 지원 ... 168 암행어사의 돌연한 사망 ... 168 불충분한 여비 지원 ... 170 5. 암행어사의 활동결과 보고와 사후처리 ... 172 임시조직으로서의 한계 ... 173 사후처리와 성과 확보의 어려움 ... 176 보고서의 사소한 잘못으로 처벌된 사례들 ... 181 제5장 실제 활동한 암행어사로는 누가 있는가? 1. 주요한 암행어사의 활동사례 ... 185 이황(李滉)(1501∼1570) ... 186 박세당(朴世堂)(1629∼1703) ... 189 박문수(朴文秀)(1691∼1756) ... 191 정약용(丁若鏞)(1762∼1836) ... 196 유의(柳誼)(1734∼?) ... 200 정만석(鄭晩錫)(1758∼1834) ... 203 김정희(金正喜)(1786∼1856) ... 209 박규수(朴珪壽)(1807∼1876) ... 211 2. 소설과 설화에 나타나는 암행어사 이야기 ... 215 3. 기록상으로 활동 사실이 확인되는 어사들 ... 218 참고문헌 ...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