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해설편
제1장 토양·지하수의 기능과 이용현황
1.1 토양의 기능과 이용현황 ... 11
1.1.1 토양이란 ... 11
1.1.2 토양의 기능 ... 11
1.1.3 토양의 오염물질정화 메카니즘 ... 13
1.1.4 토지이용현황 ... 14
1.2 지하수의 이용현황 ... 14
1.2.1 지하수란 ... 14
1.2.2 지하수 이용현황 ... 15
제2장 토양·지하수오염이란
2.1 토양·지하수의 오염특성과 건강피해 ... 17
2.1.1 토양오염과 오염토양 ... 17
2.1.2 토양오염의 특징 ... 18
2.1.3 지하수오염의 특징 ... 19
2.1.4 토양·지하수오염에 의한 건강피해 ... 20
2.2 환경문제로서의 토양·지하수오염 ... 21
2.2.1 지질(지층·지하수·지하공기)은 물질의 교차점 ... 21
2.2.2 토양생물의 보호 ... 22
2.2.3 땅속에서의 화학물질의 분해 ... 24
2.3 토양·지하수오염의 원인과 메카니즘 ... 25
2.3.1 중금속 및 유기염소계화합물 등에 의한 토양·지하수오염 ... 25
2.3.2 토양·지하수오염의 메카니즘 ... 27
제3장 토양·지하수오염의 현상과 사례
3.1 우리나라의 실태 ... 29
3.1.1 토양·지하수오염 현황 ... 29
3.1.2 토양·지하수오염 사례 ... 34
3.1.3 토양·지하수오염의 업종별 분류 ... 42
3.2 외국의 실태 ... 43
3.2.1 일본 ... 43
3.2.2 독일 ... 49
3.2.3 네델란드 ... 50
3.2.4 핀란드 ... 51
3.2.5 미국 ... 51
제4장 토양·지하수 오염과 리스크
4.1 토양·지하수오염과 기업리스크 ... 53
4.1.1 정화·복원책임 ... 53
4.1.2 자산·담보가치에의 영향 ... 55
4.1.3 사업장으로의 영향과 신용·사회적 이미지의 실추 ... 55
4.2 토양·지하수오염 리스크의 관리 및 대응방안 ... 56
제5장 토양·지하수오염문제의 동향
5.1 토양·지하수오염대책의 현상과 과제 ... 59
5.1.1 현상과 문제점 ... 59
5.1.2 해결을 위한 제언 ... 60
5.2 부동산가치와 토양·지하수오염 ... 61
5.2.1 현상과 문제점 ... 61
5.2.2 부동산 취득·인도시 전제로서 토양·지하수오염조사 실시 ... 62
5.3 건강진단으로서 토양·지하수오염조사의 실시 ... 63
제6장 토양·지하수오염 조사기술
6.1 토양·지하수오염 진단기술 ... 65
6.1.1 자료 등 조사 ... 65
6.1.2 표층조사 ... 66
6.1.3 토양(표층) 가스조사 ... 67
6.1.4 지중 가스조사 ... 67
6.1.5 보링조사 ... 68
6.1.6 지하수조사 ... 70
6.2 토양오염조사 공정시험방법 ... 74
6.2.1 조사방법 ... 74
6.3 토양·지하수 오염물질 분석방법 ... 79
6.3.1 오염물질 측정방법 ... 79
6.3.2 오염물질 분석개요 ... 83
제7장 토양·지하수 오염 정화·복원
7.1 정화·복원기술의 개요 ... 89
7.2 토양 ... 92
7.2.1 원위치 처리기술(in-situ) ... 92
7.2.2 굴착후 처리기술(ex-situ) ... 110
7.3 지하수 ... 140
7.3.1 원위치 처리기술(in-situ) ... 140
7.3.2 양수후 처리기술(ex-situ) ... 161
7.4 배출가스 ... 171
제8장 국내외 토양·지하수오염 관련법령
8.1 우리나라 ... 183
8.1.1 토양환경보전법 ... 183
8.1.2 지하수법 ... 186
8.1.3 폐기물관리법 ... 189
8.1.4 환경농업육성법 ... 190
8.1.5 비료관리법 및 농약관리법 ... 191
8.1.6 광산보안법 ... 192
8.2 외국 ... 192
8.2.1 미국 ... 192
8.2.2 네덜란드 ... 194
8.2.3 독일 ... 195
제2편 자료편
제1장 토양·지하수오염관련기준 등
1.1 토양오염기준 ... 201
1.2 지하수환경기준 ... 203
1.3 토양관련전문기관의 지정기준(시행규칙 제28조, 제1항 관련) ... 205
1.3.1 토양오염조사기관 ... 205
1.3.2 누출검사분야 ... 206
1.4 토양관련전문기관의 준수사항(시행규칙 제31조 제1항 관련) ... 207
1.5 토양오염유발시설관리 ... 211
1.6 토양오염검사수수료(제31조제2항관련) ... 214
1.7 토양관련전문기관의 행정처분의 기준 ... 215
제2장 토양환경보전법 관련질의 모음
2.1 토양오염유발시설 ... 217
2.1.1 토양오염유발시설 변경신고 ... 217
2.1.2 토양오염유발시설신고필증 발급 ... 218
2.1.3 토양오염유발시설 폐쇄 ... 219
2.2 토양오염도 검사 ... 219
2.2.1 차기 토양오염도검사주기 산정 ... 219
2.2.2 차기 토양오염도검사일 ... 220
2.2.3 토양오염도검사주기 ... 221
2.2.4 과거 쓰레기매립지에 대한 토양오염도 검사 ... 222
2.2.5 주식회사 합병에 따른 토양오염도검사 실시 여부 ... 222
2.2.6 천재지변에 의한 피해시 토양오염도 검사 실시 ... 223
2.2.7 개정된 토양환경보전법 시행령 부칙 제2항 ... 224
2.2.8 토양환경보전법시행령 부칙 제2항 ... 224
2.2.9 토양오염도검사 면제절차 ... 225
2.2.10 토양오염도검사 면제여부 ... 225
2.3 누출검사 ... 226
2.3.1 누출검사 시험방법 관련질의 ... 226
2.3.2 옥외저장탱크의 누출검사 실시 여부 ... 227
2.4 기타 ... 227
2.4.1 시정명령관련 ... 227
2.4.2 건설폐재류에서 분류 선별된 토사처리 ... 228
2.4.3 오염토양 처리 ... 229
2.4.4 토양환경보전법 관련 벌칙조항 적용질의 ... 230
제3장 토양·지하수오염사례
3.1 국내사례 ... 231
3.1.1 토양오염사례 ... 231
3.1.2 지하수오염사례 ... 243
3.2 외국의 사례 ... 246
3.2.1 일본 ... 246
3.2.2 미국 ... 251
3.2.3 네델란드 ... 252
제4장 토양·지하수오염조사기술의 소개
4.1 토양정밀조사지침 ... 255
4.1.1 적용범위 ... 255
4.1.2 조사절차 ... 255
4.1.3 정밀조사결과 조치 ... 263
4.2 토양오염실태조사지침 ... 266
4.2.1 적용범위 ... 266
4.2.2 실태조사방법 ... 266
4.2.3 실태조사결과 조치방법 ... 269
4.2.4 토양오염실태조사 결과보고 ... 270
4.2.5 토양오염실태조사 추진 절차도 ... 271
4.3 토양환경평가지침 ... 275
4.3.1 적용범위 ... 275
4.3.2 평가방법 및 절차 ... 275
4.4 일본 ... 286
4.4.1 오거 보링(auger boring : 보링조사, 굴삭기술) ... 286
4.4.2 기계간이보링 ... 287
4.4.3 로타리 보링(rotary boring : 보링조사, 굴삭기술) ... 288
4.5 토양가스탐지기술 ... 289
4.5.1 고감도분석법(토양가스조사, 토양가스분석) ... 289
4.5.2 중감도분석법(토양가스조사, 토양가스분석) ... 290
4.5.3 저감도분석법(간이토양가스조사) ... 291
제5장 수도권(일본) 부동산감정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
5.1 토양오염의 조사·정화사업과 현재 업무와의 관련성 ... 293
5.2 토양오염의 조사·정화사업과 장래 업무와의 관련성 ... 296
5.3 기타 ... 30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