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序論 - 花潭 哲學 論究의 視覺 ... 13
1. 花潭 哲學 硏究에 대한 검토 ... 13
2. 硏究 方法과 範圍 ... 19
제1부 花潭 哲學의 形成과 特質
제1장 性理學의 發達과 花潭 學派 ... 33
1. 性理學의 深化와 非程朱學에 대한 관심 ... 33
2. 花潭의 隱士的 生涯와 門人의 形成 ... 38
1) 讀書와 窮理의 隱士的 生涯 ... 38
2) 多樣한 門人層의 形成 ... 41
제2장 花潭 哲學의 形成과 宋學的 背景 ... 49
1. 邵雍의 以物觀物과 花潭의 忘吾 ... 50
1) 道가 內在된 物과 人의 位相 ... 51
2) 認識 主體로서의 心과 '間(中)'의 認識 ... 54
3) 花潭의 忘吾 ... 60
2. 張載의 神化合一과 花潭의 虛卽氣 ... 63
1) 世界의 두 軸으로서의 氣와 神 ... 65
2) 神化合一로서의 相感之性 ... 74
3) 花潭의 虛卽氣 ... 77
3. 朱子의 理氣論과 花潭의 理氣元不離 ... 80
1) 重層的 理氣 關係 ... 81
2) 道德準則으로서의 理 ... 86
3) 花潭의 理氣元不離 ... 90
제3장 花潭 哲學의 構造 및 特質 ... 93
1. 理氣元不離와 存在의 實相 ... 94
1) 虛卽氣와 理氣無先後 ... 97
2) 氣之宰로서의 理 ... 106
3) 一氣의 恒存과 自能의 世界 ... 111
2. 觀物과 眞理의 體認 ... 121
1) 觀物과 知化·破玄 ... 122
2) 忘吾와 '復의 理致'의 認識 ... 126
3. 大中至正의 主體的 體現 ... 131
1) 主體의 定立과 自得工夫 ... 131
2) 特敬과 主靜御動 ... 136
3) 天地之心과 吾心의 自通 ... 141
4. 時中의 價値 實現 ... 144
1) 價値의 根源으로서의 本性과 天地之心 ... 145
2) 價値의 實現과 時中之道 ... 149
3) '止'의 實踐的 意味와 人倫의 成就 ... 151
제2부 花潭 哲學의 繼承과 變容
제4장 花潭 理氣論의 繼承과 展開 ... 159
1. 李球의 理氣元不離와 心無體用 ... 160
1) 理氣元不離와 太極陰陽圖 ... 163
(1) 程復心의 理氣觀과 李球 學問의 脈絡 ... 163
(2) 李球의 太極陰陽圖와 退溪의 批判 ... 166
2) 認識의 方法으로서의 體用 - 心無體用 ... 176
2. 朴淳의 太虛·太極의 竝立 ... 182
1) 文運의 橋梁者로서의 生涯 ... 183
2) 極本窮源으로서의 太虛 - 沖漠無朕 論爭 ... 187
(1) 沖漠無朕 論爭의 內容 ... 187
(2) 論爭의 核心處 - 沖漠無朕 ... 191
제5장 花潭 學風의 學問的 多樣性과 開放性 ... 199
1. 張可順의 隱士的 삶과 後天用事 ... 199
1) 鄕士로서의 生涯 ... 199
2) 『人事尋緖目』의 天人一理的 構造 ... 203
3) 經世濟民의 實踐 ... 215
2. 洪仁석의 學的 編歷과 學問的 多樣性 ... 221
1) 開放的 學問 交遊 ... 221
2) 『恥齋遺稿』를 통해 본 學的 遍歷의 多樣性 ... 224
3. 南彦經의 學的 交遊와 陽明學的 性向 ... 229
1) 生涯와 交遊 關係 ... 229
2) 退溪의 「靜齋記」와 南彦經의 理氣合一 ... 232
3) 退溪의 「書」를 통해 본 南彦經의 無意無欲 工夫 ... 235
結論 - 花潭 哲學의 意義 및 現代的 眺望 ... 245
1. 花潭 哲學의 哲學史的 位相 ... 245
2. 花潭 哲學의 現代的 意義 ... 251
참고문헌 ... 259
찾아보기 ... 26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