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제1장 서론 ... 11
1. 문제제기 ... 12
1) 교육에 있어서 전통적 세계관 이해의 필요성 ... 12
2) 교육에 있어서 종교성 회복의 필요 ... 13
2. 선행연구의 현황과 검토 ... 19
제2장 동학사상의 기본구조 ... 31
1. 동학의 한울님과 三敎的 연맥 ... 31
1) 儒佛仙 합일로서의 한울님 이해 ... 31
2) 수운의 神觀 이해 ... 54
2. 동학의 천주와 서학의 천주 ... 59
제3장 東學의 전통철학적 연맥 ... 63
1. 불교사상과 동학 ... 65
1) 화엄의 세계관과 동학 ... 65
2) 보조 지눌의 '定慧雙修'와 수운의 '誠敬信' ... 70
3) 득통 함허의 삼교합일과 허응당 보우의 人卽天 전통 ... 77
2. 敬天의 교육전통과 동학 ... 84
1) 퇴계의 이기체용의 理發과 事天 ... 84
2) 수운의 가계적 사상연맥 ... 99
3. 傳統氣學과 동학의 至氣 ... 104
1) 氣철학의 전통 ... 104
2) 율곡의 '理通氣局'과 '矯氣質'의 수양론 ... 108
3) 녹문 임성주의 '理氣妙合的 鬼神論과 敬개념의 변화 ... 126
4. 수운의 심학과 양명학 ... 145
1) 양명학의 심학 ... 147
2) 하곡 정제두의 심학 ... 151
5. 동학의 실학적 전통 ... 167
1) 다산 정약용의 '性嗜好說'과 '知天'의 수행론 ... 171
2) 혜강 최한기의 '推測之理' 공부론 ... 188
제4장 동학·천도교 교육사상의 전개 ... 223
1. 동학의 교육철학적 기초 ... 225
1) '侍天(인간성-무궁)'의 인간관과 교육이념 ... 226
2) '無往不復'의 역사관과 교육목적 ... 237
3) '不然其然'의 세계관과 교육내용 ... 249
4) '誠敬信'의 수행론과 공부방법 ... 262
2. '인간성-무궁' 사상의 계승과 천도교 교육론의 전개 ... 298
1) 동학에서 천도교로의 개칭 ... 299
2) 의암 손병희의 '心卽天'과 '自心自拜'의 교육 ... 308
3) 야뢰 이돈화의 '인간성-무궁'과 心告의 수행론 ... 322
4) 오성 김형준의 현대사상비판과 '한울我'의 인간관 ... 338
5) 소춘 김기전의 '인간건축'으로서의 교육론 ... 352
제5장 천도교의 교육실천과 운동 ... 359
1. 천도교와 시대사조의 상호작용 ... 360
1) 道器論의 전개와 東道의 변혁 ... 361
2) 서구 사회진화론의 영향 ... 366
3) 사회주의의 대두와 천도교와의 사상논쟁 ... 372
2. 천도교의 근대교육사상과 민족교육운동 ... 401
1) 천도교 신문화운동의 성격과 교육 ... 405
2) 조선인 본위 교육운동 ... 407
3) 민족문화공동체에 기초한 교육 : 자연, 언어, 역사 ... 410
4) 인간한울의 자각과 교육의 의미 ... 414
5) 물심일원의 세계관과 사회변혁의 교육 ... 419
3. 조선농민운동과 사회교육 ... 426
1) 朝鮮農民社의 성격 ... 428
2) 조선농민교육의 전개 ... 439
4. 소년교육운동 ... 452
1) 소년운동의 역사적 배경 ... 452
2) 소년교육운동의 특징 ... 457
3) 소파 방정환의 아동교육 ... 469
4) 『학생』지에 나타난 교육의 방향 ... 477
5. 여성운동과 교육 ... 481
제6장 결론 : 현대교육에의 전망 ... 485
참고문헌 ... 499
찾아보기 ... 51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