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문화예술총서를 발간하며 ... 5
우리 미술 100년의 길 ... 8
개관
1. 근대적 시점과 근대화 과정 ... 16
2. 서양 미술의 도입과 한국화의 과정 ... 29
3. 한국 근·현대 미술의 성격 ... 37
Ⅰ. 도입과 정착(1900∼1944)
1. 고희동과 화단 형성 ... 48
2. 서양화의 도입과 그 내용 ... 53
3. 김관호와 나체화 ... 56
4. 미술 단체 ... 59
5. 이종우와 나혜석 ... 63
6. 조선미술전람회 ... 68
7. 아카데미즘의 화가 ... 77
8. 인상파의 토착화 ... 82
9. 변모하는 동양화 ... 88
10. 신감각의 예술 ... 93
11. 서화와 미술 ... 102
12. 프로 미술 논쟁 ... 104
13. 향토색 논란 ... 109
14. 김중현과 김종태 ... 116
15. 전통미의 재발견 ... 121
16. 근대기의 비평 활동 ... 128
Ⅱ. 갈등과 혼미(1945∼1956)
1. 해방 공간 ... 139
2. 신사실파 ... 143
3. 50년미술협회와 피난지에서의 활동 ... 151
4. 전후 미술의 과제 ... 159
5. 4인전 ... 164
Ⅲ. 모던 아트와 뜨거운 추상의 전개(1957∼1966)
1. 모던아트협회 ... 175
2. 창작미협, 신조형파, 앙가주망, 신상회 ... 178
3. 현대미술가협회 ... 183
4. '60년미술가협회', '벽' 동인 ... 199
5. '현대미협', '60년미술가협회' 연립전 ... 206
6. 백양회, 묵림회, 청토회, 신수회, 한국화회 ... 210
7. 국제 무대 진출 ... 232
Ⅳ. 실험과 모색(1967∼1974)
1. 국전과 아카데미즘의 활동 ... 242
2. 아카데미즘 계열과 그 주변 작가들 ... 249
3. 청년작가연립전 ... 257
4. 청년작가연립전 이후 ... 262
5. 민전과 국제전 ... 269
6. 모더니즘 계열의 작가들 ... 274
Ⅴ. 단색화와 사경 산수(1975∼1979)
1. 일본에서의 한국전 ... 288
2. 사경 산수의 열기 ... 296
3. 주요 회고전 ... 303
4. 이중섭, 박수근의 재평가 ... 305
5. 단색파와 새로운 형상의 예술 ... 308
Ⅵ. 현대 미술의 반성(1980∼1989)
1. '손의 회복' ... 319
2. '메타복스'와 '난지도' ... 326
3. 설치 작가들 ... 334
4. 수묵화 운동과 그 이후 ... 338
5. 현실과 발언 그리고 그 이후 ... 342
6. 민족미술협의회와 민중 미술 2세대 ... 347
Ⅶ. 미술의 저변 확대, 국제화, 다변화(1990∼1999)
1. 평면 회화 ... 361
2. 새로운 회화 경향 ... 364
3. 설치 작가들 ... 372
4. 수묵과 채색 ... 374
참고 문헌 ... 380
주석 ... 382
찾아보기 ... 39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