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 xi
제1장 이끄는 말 ... 1
1.1 언어와 문화의 관계 ... 1
1.2 이 책의 논술 범위 ... 2
제2장 어휘의 어원과 변천으로 본 과거문화의 흔적 ... 5
2.1 문화의 발전단계를 반영한 어휘 의미의 변천 ... 5
2.2 외국어휘에서의 예 ... 5
'pen' ... 5
'wall' ... 6
'window' ... 7
'fee' ... 8
'Lade' ... 8
'dollar'와 'money' ... 10
'style' ... 11
'needle' ... 12
'장갑' ... 13
'부싯대' ... 14
2.3 중국어휘에서의 예 ... 15
'貝' ... 15
'紙' ... 16
'노' ... 17
'安' ... 18
'斬' ... 18
'家' ... 18
제3장 어휘창조의 심리적 관점에서 본 문화 수준 ... 21
3.1 어휘창조의 심리적 과정과 민족의 문화 수준 ... 21
3.2 중국 서남지역 소수민족의 예 ... 21
3.3 북미 누트카(Nootka) 어에서의 예 ... 27
3.4 목축에 관련된 현대영어 어휘 ... 30
3.5 목축에 관련된 중국 고대어휘의 소멸 ... 31
제4장 차용어로 본 문화의 접촉 ... 35
4.1 차용어의 정의 ... 35
4.2 중국의 차용어에 반영된 중·서 문화교류 ... 36
'사자(獅子)' ... 36
'사비(師比)' ... 40
'벽유리(璧流離)' ... 45
'포도(葡萄)' ... 48
'목숙(목숙)' ... 50
'빈랑(檳랑)' ... 52
'자지무(자枝舞)' ... 53
'참(站)' ... 55
'팔가(八哥)' ... 55
'몰약(沒藥)' ... 56
'호로파(胡盧巴)' ... 57
'조모록(祖母綠)' ... 58
4.3 근대 중국어에서 보이는 차용어의 네 가지 방식 ... 59
(1) 소리의 대체(Phonetic substitution) ... 59
(2) 새로운 해성자(new phonetic-compound) ... 61
(3) 차용번역어(loan-translation) ... 63
(4) 묘사형(descriptive form) ... 63
4.4 중국어에 빌려 준 어휘보다 빌려 온 어휘가 많은 네가지 원인 ... 65
4.5 외국어에 남아 있는 중국어휘의 연구 ... 68
4.6 차용어의 잘못된 환원 ... 70
4.7 차용어 연구의 어려운 점 ... 72
(1) 어음상의 타협 ... 72
(2) 고대음과 현재음의 차이 ... 76
(3) 방언의 분기 ... 78
4.8 영어에 남아 있는 중국어휘 ... 80
(1) 'silk'와 'china'와 'tea' ... 80
'silk(비단)' ... 80
'china(도자기)' ... 83
'tea(차)' ... 86
(2) 식물에 관련된 어휘 ... 90
(3) 상업과 해상활동에 관련된 어휘 ... 92
(4) 관직제도와 풍속 습관에 관련된 어휘 ... 94
4.9 언어 연구에서 차용어의 중요성 ... 100
제5장 지명으로 본 민족이동의 경로 ... 103
5.1 지명 연구에서의 역사·고고학자들의 공헌 ... 103
5.2 켈트 어의 지명군 ... 103
5.3 스칸디나비아 인들의 영국 이민 흔적 ... 105
5.4 북미 인디언 어의 지명 ... 107
5.5 중국 지명에 나타난 고대 민족교류의 흔적 ... 107
(1) 여간현(驪간縣)·구자현(龜玆縣)·온숙국(溫宿國) ... 107
(2) '지명을 옮겨 놓은[僑置]' 군·현과 민족의 이동 ... 109
(3) 주앙[壯] 어 지명에 나타난 고금 민족분포의 차이 ... 118
(4) 운남성과 미얀마 경계 지역의 몇몇 지명들 ... 124
제6장 성씨와 별호로 본 민족의 내원과 종교 신앙 ... 127
6.1 성씨에 반영된 민족의 내원 : 위지(尉遲)·백(白)·강(康)·미(米)·조(曹)·안(安)·용(容)·모(慕)씨 ... 127
6.2 성씨와 별호에 반영된 종교 신앙 ... 130
(1) 순수 이슬람 족 성씨와 준(準) 이슬람 족 성씨 ... 130
(2) 이슬람 족 살(薩)·정(丁)·합(哈)·납(納)·새(賽)씨등의 연원 ... 131
(3) 살보(薩保)와 조로아스터교 ... 135
(4) 마합랍석(馬合拉昔)과 불교 ... 137
(5) 원대의 활리길사(闊里吉思)·마조상(馬祖常)·조세연(趙世延) 등과 기독교 ... 138
(6) 근대의 이름에 반영된 기독교적 색채 ... 142
6.3 티베트-미얀마 족의 특징인 '부자연명제' ... 143
(1) 부자연명제의 네 가지 방식 ... 143
(2) 남즈(南詔)가 태국 민족이 아닌 증거 ... 144
(3) 민쟈[民家] 족과 티베트-미얀마 족의 관계 ... 149
제7장 친족 호칭으로 본 혼인제도 ... 153
7.1 친족 호칭이 원시사회에서 가지는 중요성 ... 153
7.2 헤이이[黑夷] 족의 친족 호칭에 반영된 '교차 사촌혼' 제도 ... 154
7.3 '교차 사촌혼' 제도의 분포지역 ... 156
(1) 산토우[山頭, Kachin]족, 차샨[茶山, A-chit] 족, 랑수[浪速, Maru], 량산(凉山) 루어루어 족들의 '교차 사촌혼' 제도 ... 158
7.4 친족 호칭에 반영된 기타의 혼인제도 ... 160
(1) 마자테코(Mazateco)족의 '같은 성씨라도 사촌만 아니면 결혼이 허용되는' 혼인제도 ... 160
(2) 트로브리안드(Trobriand) 섬의 족외혼에 대한 제한 ... 160
(3) 아프리카의 통가(Thonga)와 미워커(Miwok)의 혼인제도 ... 162
7.5 친족 호칭제도에 근거한 혼인제도 연구에서 가져야 할 태도 ... 163
제8장 맺음말 ... 169
8.1 언어는 사회의 진전을 따라 변화한다 ... 169
8.2 언어학의 유기적 관계 ... 171
8.3 언어학에서의 고생물학적 분석법 ... 172
8.4 문화의 변천이 발음과 언어형식에 미치는 영향 ... 176
8.5 중국 언어학의 새로운 방향 ... 180
(1) 전통적 훈고학을 묵수한 의미연구는 안 된다 ... 181
(2) 어휘를 수집하고 어법체계를 새로이 만든 현대방언연구가 되어야 한다 ... 182
(3) 중국 내 소수민족 언어연구의 중요성 ... 185
부록 1. 티베트-미얀마 족의 부자연명제 ... 193
Ⅰ. 미얀마계 ... 199
(1) 미얀마[Burma]인 ... 199
(2) 챠산[茶山, A-chit]인 ... 200
Ⅱ. 서번(西番)계 ... 202
(1) 모시에[마些, Moso] 혹은 나시[那喜, Na-khi]족 ... 202
Ⅲ. 루어루어[라라]계 ... 207
(1) 루어루어[Lolo]족 ... 207
(2) 워니[窩尼, Wo-ni]족 ... 213
(3) 아카[阿관, A-ka]족 ... 214
Ⅳ. 첨부 : 오건(吳乾)이 기록한 '부자연명제' 관련 자료2종 ... 229
(1) 「선사양승묘지병명(善士楊勝墓志幷銘)」 ... 229
(2) 「태화용관조씨족보서(太和龍關趙氏族譜序)」 ... 234
부록 2. 챠산 가[茶山歌] ... 239
부록 3. 객가족의 이동 흔적으로부터 객감(客감)방언의 관계를 논함 ... 253
Ⅰ. 객가어와 강서어의 유사점 ... 253
Ⅱ. 객가족 이동의 원인 ... 255
Ⅲ. 세 번에 걸친 객가족의 이동과 강서성의 관계 ... 257
Ⅳ. 결론 ... 269
부록 4. 운남에서의 언어학 ... 271
Ⅰ. 한어 연구 ... 272
(1) 「곤명 말과 표준어의 차이[昆明話和國語的異同]」 ... 273
(2) 「보산 말의 어음 기록[保山話記音]」 ... 273
(3) 「이해 연안의 4개 현의 방언 조사[이海沿岸四縣方言調査]」 ... 274
(4) 「몽자 지역의 동음 어휘[蒙自同音字彙]」 ... 274
(5) 「운남성 전체의 방언 조사[雲南全省方言調査]」 ... 274
Ⅱ. 타이[台] 어 연구 ... 276
(1) 「정동 바이이 어의 연구[整董擺夷語硏究]」 ... 276
(2) 「박애 토착어의 조사[剝隘土語照査]」 ... 277
(3) 「영강 바이이 어의 어휘[盈江擺夷語詞彙]」 ... 277
(4) 「연산 바이이 어문 초탐[蓮山擺夷語文初探]」 ... 277
(5) 「운남 나평현 지역 내의 타이 어[雲南羅平境內台語]」 ... 278
(6) 「막사 토착어 조사[漠沙土語調査]」 ... 279
(7) 「원강 수이 바이이 어 조사[元江水擺夷語調査]」 ... 279
Ⅲ. 티베트-미얀마 어군 연구 ... 279
(1) 「몽자 부근의 루어루어 어 연구[蒙自附近的-種라라語硏究]」 ... 279
(2) 「리포 어 연구[利波語硏究]」 ... 280
(3) 「곤명 부근의 일종의 산민 어[昆明附近的一種散民語]」 ... 280
(4) 「사니 루어 어 어법[撒尼라語語法] 」 ... 280
(5) 「심전·녹권 두 현의 헤이이 어문 조사[尋甸祿勸兩縣黑夷語文調査]」 ... 281
(6) 「곤명 헤이이 어 연구[昆明黑夷語硏究]」 ... 282
(7) 「신평 양무패 나수 어 조사[新平揚武패納蘇語調査]」 ... 282
(8) 「신평 양무패 부근의 워니 어[新平揚武패附近的窩尼語]」 ... 283
(9) 「아산 워니 어 초탐[峨山窩尼語初探]」 ... 283
(10) 「리수 어음의 기록과 수위 리수 문자에 대한 논의[記栗粟語音兼論所謂栗栗文]」 ... 284
(11) 「복공 리수 어 초탐[福貢栗粟語初探]」 ... 285
(12) 「여강 모시에 어 조사[麗江마些語調査] 」 285
(13) 「유서 모시에 어 연구[維西마些語硏究]」 ... 285
(14) 「공산 치우 어의 초보적 채록[貢山구語初探]」 ... 286
(15) 「공산 누 어 어휘[貢山怒語詞彙]」 ... 286
(16) 「챠산 어 조사[茶山語調査]」 ... 287
(17) 「랑수 어 조사[浪速語調査]」 ... 287
(18) 「산토우 어 조사[山頭語調査]」 ... 287
Ⅳ. 민쟈 어 연구 ... 288
(1) 「난평 라마 어 조사[蘭坪拉馬語調査]」 ... 288
(2) 「대리 민쟈 어 조사[大理民家語調査]」 ... 289
(3) 「빈천 민쟈 어 조사[賓川民家語調査]」 ... 290
(4) 「등천 민쟈 어 조사[鄧川民家語調査]」 ... 290
(5) 「이원 민쟈 어 조사[이源民家語調査]」 ... 290
(6) 「학경 민쟈 어 조사[鶴慶民家語調査]」 ... 290
(7) 「검천 민쟈 어 조사[劍川民家語調査]」 ... 291
(8) 「검천 민쟈 고사 어음 기록[劍川民家故事記音]」 ... 291
(9) 「운룡 민쟈 어 조사[雲龍民家語調査] ... 291
(10) 「여수 민쟈 어 조사[濾水民家語調査]」 ... 292
Ⅴ. 먀오[苗] 어 연구 ... 292
(1) 「아사 칭먀오 어 조사[峨山靑苗語調査]」 ... 292
부록 5. 나상배 선생 전기 ... 295
보충 기록[補記] ... 320
추가 기록[追記] ... 330
부록 6. 나상배 선생 저작 연표 ... 333
Ⅰ. 저서 ... 333
Ⅱ. 논문 ... 335
Ⅲ. 첨부 목록 ... 349
Ⅳ. 편집 후기 ... 351
부록 7. 사회와 연계한 언어 연구 : 나상배의 『언어와 문화』다시 읽기 ... 353
부록 8. 원서에 실린 서문들 ... 365
Ⅰ. 형공원(邢公원)의 재판 서문 ... 365
Ⅱ. 저자 서문(초판) ... 372
Ⅲ. 육지위(陸志韋) 서문(초판) ... 374
Ⅳ. 재판 머리말 ... 376
찾아보기 ... 37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