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 3
서문 ... 8
총론 - 창조된 고전 : 정전 형성의 패러다임과 비평적 전망 / 하루오 시라네(Haruo Shirane)
1. 정전 형성의 여러 문제들 ... 17
2. 장르 및 경합하는 정전 ... 23
3. 젠더와 정전 형성 ... 33
4. 정전과 국민 형성 ... 39
5.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 ... 45
제1부 근대국민국가와 문학 장르의 구축
제1장 국민시가집으로서의『만요슈[萬葉集]』 / 시나다 요시카즈(品田悅一) ... 55
1. 『만요슈』의 국민적 가치 ... 55
2. 국민적 시가(詩歌)로의 꿈 ... 59
3. 국민시가집화(化)의 전사(前史) ... 71
4. '민요' 개념의 도입과 국민시가집관의 확립 ... 78
5. 국민시가집관의 완성 형태 ... 88
제2장 장르·젠더·문학사 서술 : '여류 일기문학'의 구축을 중심으로 / 스즈키 토미(鈴木登美) ... 93
1. 일본문학사의 탄생 - 국어·국문학, 젠더 그리고 장르 ... 96
2. 20세기 초두에서의 헤이안문학 ... 108
3. 일기문학의 등장과 1920년대 ... 115
4. '여류 일기문학'의 계보 ... 122
5. 근대·전통·문학 - 은유로서의 '여류 일기문학' ... 127
제3장 국민적 서사시의 발견 : 근대의 고전『헤이케 이야기[平家物語]』 / 데이빗 바이어록(David Bialock) ... 135
1. '역사'에서 '문학'으로 ... 137
2. 『헤이케 이야기』를 읽다 - 미학에서부터 윤리로 ... 145
3. '민중의 고전?' - 전전의『헤이케 이야기』수용 양상 ... 155
4. 국민적 서사시 ... 167
5. 전후 부활된 서사시 ... 177
제2부 문학·구전·기원 이야기
제4장 천황 신화의 구축 : 『고사기』와『일본서기』 / 고노시 다카미쯔(神野志隆光) ... 185
1. 율령국가와 다원적 천황 신화 ... 187
2. 신화의 일원화 ... 193
3. 중세적 담론 속의『고사기』와『일본서기』 ... 198
4. 모토오리 노리나가에 의한 중세적 패러다임의 전환 ... 202
5. 근대국민국가에서의『고사기』와『일본서기』 ... 206
제5장 한학 : 글쓰기·생성·권위 / 구로즈미 마코토(黑住眞) ... 211
1. 한어의 지배와 가나의 발생 ... 212
2. 훈과 훈독, 일본화[和化] 현상의 배경 ... 220
3. 권위의 복수화와 한학 ... 227
4. 근세 한학의 확산과 혼효성 ... 235
5. 한학의 성격과 역할 ... 242
6. 근대 한학의 운명 ... 246
제6장 멸망의 담론 공간 : 민족·국가·구전성 / 무라이 오사무(村井紀) ... 253
1. 야나기타 구니오와 '일본 민속학' ... 258
2. 멸망의 담론 공간 - '산인'의 멸망 ... 263
3. 멸망의 담론 공간 - '민족'의 멸망과 '왕국'의 멸망 ... 268
4. '단카'의 멸망과 '국민'의 창출 ... 273
5. 오리쿠치 시노부와 '서사시' ... 282
6. 음성 중심주의와 파시즘 ... 290
제3부 미학, 내셔널리즘, 전통의 구축
제7장 미술관으로서의 역사 : 오카쿠라 덴신과 페놀로사 /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 ... 299
1. 상품으로서의 일본 미술 ... 300
2. 오카쿠라와 페놀로사 - '대표'의 문제 ... 306
3. 동양의 동일성(oneness) - 박물관으로서의 일본 ... 310
4. 미술관으로서의 미국 ... 319
제8장 근대의『이세 이야기』 : '미야비'와 젠더 / 조슈아 모스토(Joshua Mostow) ... 322
1. 근대국민국가 형성 이전의 『이세 이야기』 ... 324
2. 메이지시대의『이세 이야기』와 헤이안시대 ... 328
3. 다이쇼시대의『이세 이야기』 ... 338
4. 쇼와 초기부터 전시의 『이세 이야기』 ... 343
5. 전후의 『이세 이야기』 ... 352
6. 『이세 이야기』와 근대 일본 ... 361
제9장 '하이쿠 성인 바쇼'상의 탄생과 그 추이 / 호리키리 미노루(堀切實) ... 366
1. '해묵은 연못'의 개구리 전설 ... 367
2. 전통 속의 바쇼, 바쇼에서 시작되는 전통 ... 372
3. 쇼문 일파의 성립, 부손[蕪村]과 바쇼 부흥운동 ... 376
4. 초무[蝶夢]와『바쇼옹 회사전[芭蕉翁繪詞傳]』, 그리고 바쇼 신격화로의 길 ... 380
5. 근대의 바쇼 숭배와 시키[子規] 이후의 바쇼관 ... 385
6. 『오로지 가는 길』과 정전화로의 길 ... 392
제4부 교육제도와 정전
제10장 교과과정의 역사적 변천과 경합하는 정전 / 하루오 시라네(Haruo Shirane) ... 399
1. 나라·헤이안시대 - 교과과정과 '가문[家]'의 전통 ... 402
2. 중세의 교과과정 - 승려, 무사 그리고 귀족 ... 405
3. 에도시대의 교과과정 - 데라코야[寺子屋]에서 번교(藩校)까지 ... 416
4. 근대의 교과과정 - 국어교육과 국민 형성 ... 423
5. 전후의 교과과정 - 정전의 비군사화 ... 433
편자 후기 ... 445
원주 ... 457
옮기면서 ... 497
필자 소개 ... 505
찾아보기 ... 507
한국의 독자들에게 ... 3
서문 ... 8
총론 - 창조된 고전 : 정전 형성의 패러다임과 비평적 전망 / 하루오 시라네(Haruo Shirane)
1. 정전 형성의 여러 문제들 ... 17
2. 장르 및 경합하는 정전 ... 23
3. 젠더와 정전 형성 ... 33
4. 정전과 국민 형성 ... 39
5.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 ... 45
제1부 근대국민국가와 문학 장르의 구축
제1장 국민시가집으로서의『만요슈[萬葉集]』 / 시나다 요시카즈(品田悅一) ... 55
1. 『만요슈』의 국민적 가치 ... 55
2. 국민적 시가(詩歌)로의 꿈 ... 59
3. 국민시가집화(化)의 전사(前史) ... 71
4. '민요' 개념의 도입과 국민시가집관의 확립 ... 78
5. 국민시가집관의 완성 형태 ... 88
제2장 장르·젠더·문학사 서술 : '여류 일기문학'의 구축을 중심으로 / 스즈키 토미(鈴木登美) ... 93
1. 일본문학사의 탄생 - 국어·국문학, 젠더 그리고 장르 ... 96
2. 20세기 초두에서의 헤이안문학 ... 108
3. 일기문학의 등장과 1920년대 ... 115
4. '여류 일기문학'의 계보 ... 122
5. 근대·전통·문학 - 은유로서의 '여류 일기문학' ... 127
제3장 국민적 서사시의 발견 : 근대의 고전『헤이케 이야기[平家物語]』 / 데이빗 바이어록(David Bialock) ... 135
1. '역사'에서 '문학'으로 ... 137
2. 『헤이케 이야기』를 읽다 - 미학에서부터 윤리로 ... 145
3. '민중의 고전?' - 전전의『헤이케 이야기』수용 양상 ... 155
4. 국민적 서사시 ... 167
5. 전후 부활된 서사시 ... 177
제2부 문학·구전·기원 이야기
제4장 천황 신화의 구축 : 『고사기』와『일본서기』 / 고노시 다카미쯔(神野志隆光) ... 185
1. 율령국가와 다원적 천황 신화 ... 187
2. 신화의 일원화 ... 193
3. 중세적 담론 속의『고사기』와『일본서기』 ... 198
4. 모토오리 노리나가에 의한 중세적 패러다임의 전환 ... 202
5. 근대국민국가에서의『고사기』와『일본서기』 ... 206
제5장 한학 : 글쓰기·생성·권위 / 구로즈미 마코토(黑住眞) ... 211
1. 한어의 지배와 가나의 발생 ... 212
2. 훈과 훈독, 일본화[和化] 현상의 배경 ... 220
3. 권위의 복수화와 한학 ... 227
4. 근세 한학의 확산과 혼효성 ... 235
5. 한학의 성격과 역할 ... 242
6. 근대 한학의 운명 ... 246
제6장 멸망의 담론 공간 : 민족·국가·구전성 / 무라이 오사무(村井紀) ... 253
1. 야나기타 구니오와 '일본 민속학' ... 258
2. 멸망의 담론 공간 - '산인'의 멸망 ... 263
3. 멸망의 담론 공간 - '민족'의 멸망과 '왕국'의 멸망 ... 268
4. '단카'의 멸망과 '국민'의 창출 ... 273
5. 오리쿠치 시노부와 '서사시' ... 282
6. 음성 중심주의와 파시즘 ... 290
제3부 미학, 내셔널리즘, 전통의 구축
제7장 미술관으로서의 역사 : 오카쿠라 덴신과 페놀로사 /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 ... 299
1. 상품으로서의 일본 미술 ... 300
2. 오카쿠라와 페놀로사 - '대표'의 문제 ... 306
3. 동양의 동일성(oneness) - 박물관으로서의 일본 ... 310
4. 미술관으로서의 미국 ... 319
제8장 근대의『이세 이야기』 : '미야비'와 젠더 / 조슈아 모스토(Joshua Mostow) ... 322
1. 근대국민국가 형성 이전의 『이세 이야기』 ... 324
2. 메이지시대의『이세 이야기』와 헤이안시대 ... 328
3. 다이쇼시대의『이세 이야기』 ... 338
4. 쇼와 초기부터 전시의 『이세 이야기』 ... 343
5. 전후의 『이세 이야기』 ... 352
6. 『이세 이야기』와 근대 일본 ... 361
제9장 '하이쿠 성인 바쇼'상의 탄생과 그 추이 / 호리키리 미노루(堀切實) ... 366
1. '해묵은 연못'의 개구리 전설 ... 367
2. 전통 속의 바쇼, 바쇼에서 시작되는 전통 ... 372
3. 쇼문 일파의 성립, 부손[蕪村]과 바쇼 부흥운동 ... 376
4. 초무[蝶夢]와『바쇼옹 회사전[芭蕉翁繪詞傳]』, 그리고 바쇼 신격화로의 길 ... 380
5. 근대의 바쇼 숭배와 시키[子規] 이후의 바쇼관 ... 385
6. 『오로지 가는 길』과 정전화로의 길 ... 392
제4부 교육제도와 정전
제10장 교과과정의 역사적 변천과 경합하는 정전 / 하루오 시라네(Haruo Shirane) ... 399
1. 나라·헤이안시대 - 교과과정과 '가문[家]'의 전통 ... 402
2. 중세의 교과과정 - 승려, 무사 그리고 귀족 ... 405
3. 에도시대의 교과과정 - 데라코야[寺子屋]에서 번교(藩校)까지 ... 416
4. 근대의 교과과정 - 국어교육과 국민 형성 ... 423
5. 전후의 교과과정 - 정전의 비군사화 ... 433
편자 후기 ... 445
원주 ... 457
옮기면서 ... 497
필자 소개 ... 505
찾아보기 ... 507
한국의 독자들에게 ... 3
서문 ... 8
총론 - 창조된 고전 : 정전 형성의 패러다임과 비평적 전망 / 하루오 시라네(Haruo Shirane)
1. 정전 형성의 여러 문제들 ... 17
2. 장르 및 경합하는 정전 ... 23
3. 젠더와 정전 형성 ... 33
4. 정전과 국민 형성 ... 39
5. 엘리트문화와 민중문화 ... 45
제1부 근대국민국가와 문학 장르의 구축
제1장 국민시가집으로서의『만요슈[萬葉集]』 / 시나다 요시카즈(品田悅一) ... 55
1. 『만요슈』의 국민적 가치 ... 55
2. 국민적 시가(詩歌)로의 꿈 ... 59
3. 국민시가집화(化)의 전사(前史) ... 71
4. '민요' 개념의 도입과 국민시가집관의 확립 ... 78
5. 국민시가집관의 완성 형태 ... 88
제2장 장르·젠더·문학사 서술 : '여류 일기문학'의 구축을 중심으로 / 스즈키 토미(鈴木登美) ... 93
1. 일본문학사의 탄생 - 국어·국문학, 젠더 그리고 장르 ... 96
2. 20세기 초두에서의 헤이안문학 ... 108
3. 일기문학의 등장과 1920년대 ... 115
4. '여류 일기문학'의 계보 ... 122
5. 근대·전통·문학 - 은유로서의 '여류 일기문학' ... 127
제3장 국민적 서사시의 발견 : 근대의 고전『헤이케 이야기[平家物語]』 / 데이빗 바이어록(David Bialock) ... 135
1. '역사'에서 '문학'으로 ... 137
2. 『헤이케 이야기』를 읽다 - 미학에서부터 윤리로 ... 145
3. '민중의 고전?' - 전전의『헤이케 이야기』수용 양상 ... 155
4. 국민적 서사시 ... 167
5. 전후 부활된 서사시 ... 177
제2부 문학·구전·기원 이야기
제4장 천황 신화의 구축 : 『고사기』와『일본서기』 / 고노시 다카미쯔(神野志隆光) ... 185
1. 율령국가와 다원적 천황 신화 ... 187
2. 신화의 일원화 ... 193
3. 중세적 담론 속의『고사기』와『일본서기』 ... 198
4. 모토오리 노리나가에 의한 중세적 패러다임의 전환 ... 202
5. 근대국민국가에서의『고사기』와『일본서기』 ... 206
제5장 한학 : 글쓰기·생성·권위 / 구로즈미 마코토(黑住眞) ... 211
1. 한어의 지배와 가나의 발생 ... 212
2. 훈과 훈독, 일본화[和化] 현상의 배경 ... 220
3. 권위의 복수화와 한학 ... 227
4. 근세 한학의 확산과 혼효성 ... 235
5. 한학의 성격과 역할 ... 242
6. 근대 한학의 운명 ... 246
제6장 멸망의 담론 공간 : 민족·국가·구전성 / 무라이 오사무(村井紀) ... 253
1. 야나기타 구니오와 '일본 민속학' ... 258
2. 멸망의 담론 공간 - '산인'의 멸망 ... 263
3. 멸망의 담론 공간 - '민족'의 멸망과 '왕국'의 멸망 ... 268
4. '단카'의 멸망과 '국민'의 창출 ... 273
5. 오리쿠치 시노부와 '서사시' ... 282
6. 음성 중심주의와 파시즘 ... 290
제3부 미학, 내셔널리즘, 전통의 구축
제7장 미술관으로서의 역사 : 오카쿠라 덴신과 페놀로사 /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 ... 299
1. 상품으로서의 일본 미술 ... 300
2. 오카쿠라와 페놀로사 - '대표'의 문제 ... 306
3. 동양의 동일성(oneness) - 박물관으로서의 일본 ... 310
4. 미술관으로서의 미국 ... 319
제8장 근대의『이세 이야기』 : '미야비'와 젠더 / 조슈아 모스토(Joshua Mostow) ... 322
1. 근대국민국가 형성 이전의 『이세 이야기』 ... 324
2. 메이지시대의『이세 이야기』와 헤이안시대 ... 328
3. 다이쇼시대의『이세 이야기』 ... 338
4. 쇼와 초기부터 전시의 『이세 이야기』 ... 343
5. 전후의 『이세 이야기』 ... 352
6. 『이세 이야기』와 근대 일본 ... 361
제9장 '하이쿠 성인 바쇼'상의 탄생과 그 추이 / 호리키리 미노루(堀切實) ... 366
1. '해묵은 연못'의 개구리 전설 ... 367
2. 전통 속의 바쇼, 바쇼에서 시작되는 전통 ... 372
3. 쇼문 일파의 성립, 부손[蕪村]과 바쇼 부흥운동 ... 376
4. 초무[蝶夢]와『바쇼옹 회사전[芭蕉翁繪詞傳]』, 그리고 바쇼 신격화로의 길 ... 380
5. 근대의 바쇼 숭배와 시키[子規] 이후의 바쇼관 ... 385
6. 『오로지 가는 길』과 정전화로의 길 ... 392
제4부 교육제도와 정전
제10장 교과과정의 역사적 변천과 경합하는 정전 / 하루오 시라네(Haruo Shirane) ... 399
1. 나라·헤이안시대 - 교과과정과 '가문[家]'의 전통 ... 402
2. 중세의 교과과정 - 승려, 무사 그리고 귀족 ... 405
3. 에도시대의 교과과정 - 데라코야[寺子屋]에서 번교(藩校)까지 ... 416
4. 근대의 교과과정 - 국어교육과 국민 형성 ... 423
5. 전후의 교과과정 - 정전의 비군사화 ... 433
편자 후기 ... 445
원주 ... 457
옮기면서 ... 497
필자 소개 ... 505
찾아보기 ... 50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