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고찰 : 강의 제목에 대한 일반적 설명을 단초로 삼아 강의의 과제와 강의의 근본의도를 소개함 제1장 철학(형이상학)의 본질을 규정하기 위해 둘러갈 만한 에움길들과 형이상학을 직시해야 하는 불가피성 ... 19 제1절 철학의 비교불가능성 ... 19 가. 철학은 학문도 세계관의 선포도 아니다 ... 19 나. 철학의 본질규정은 예술과 종교와의 비교라는 에움길을 가지 않는다 ... 21 다. 철학의 본질규정을 위한 역사학적 방향잡이의 해법은 착각 ... 22 제2절 노발리스의 싯말 하나를 실마리로 삼아 철학을 그 자체로부터 규정함 ... 23 가. 인간의 활동으로서의 형이상학(철학함)이 인간 본질의 어둠 속으로 빠져나감 ... 23 나. 철학함의 근본기분으로서의 향수 그리고 세계, 유한성, 개별화에 대한 물음들 ... 25 제3절 형이상학적 사유란 곧 총괄적 사유, 즉 전체에로 나아가면서 실존을 꽉 휘어잡는 사유 ... 29 제2장 철학(형이상학)의 본질에서 드러나는 애매성 ... 32 제4절 철학함 일반에서 내보여지는 애매성 : 철학은 과연 학문인가 세계관의 선포인가 하는 데에 대한 불확실성 ... 34 제5절 바로 지금 여기 이 자리에서 우리가 철학하고 있는 가운데 들으미와 선생의 자세에서 내보여지고 있는 애매성 ... 35 제6절 철학의 진리와 그 애매성 ... 38 가. 누구에게든 와 닿으며 누구에게든 파고드는 그런 어떤 것으로서 간주되는 철학 ... 40 나. 궁극적인 것이며 가장 지고한 것으로 간주되는 철학 ... 41 (ㄱ) 절대적으로 확실한 진리라는 가상 속의 철학적 진리 ... 41 (ㄴ) 형식적 모순에 관한 논거는 공허하고 구속력이 없다. 철학의 진리는 현존재의 운명 속에 뿌리내리고 있다 ... 44 (ㄷ) 데카르트와 근세철학에서 내보여지고 있는 비판적 태도의 애매성 ... 48 제7절 자신의 극복할 수 없는 본질의 애매성에 맞선 철학함의 투쟁, 현존재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근본사건으로서의 철학함의 독자성 ... 49 제3장 세계, 유한성, 개별화에 대한 총괄적 물음을 형이상학이라고 특징짓는 데에 대한 정당화. '형이상학'이라는 낱말의 근원과 역사 ... 53 제8절 '형이상학'이라는 낱말. 피지카(○)의 뜻 ... 54 가. 피지카(○)라는 낱말에 대한 해명. 피지스(○)란 곧 전체에서의 존재자가 제 스스로를 형성하면서 전개해나감 ... 55 나. 로고스란 곧 전체에서의 존재자의 전개를 숨겨져 있음에서부터 빼내오는 것 ... 57 다. 로고스(○)란 숨겨져 있지 않은 것(○)에 관해 말함임. 숨겨져 있음에서부터 잡아채어야 할 빼앗음으로서의 알레테이아(○, 진리) ... 59 라. 피지스의 두 가지 뜻 ... 63 (ㄱ) 피지스의 근본 뜻인 '전개됨 속에서 전개되고 있는 것'에 대한 이중의 해석가능성. 피지스의 첫 번째 뜻 : 영역개념으로서의(테크네 온타〔○〕에 대립되는) 피제이 온타(○) ... 63 (ㄴ) 피지스의 두 번째 뜻 : 사태의 본질과 내적인 법칙으로서의 전개됨 그 자체 ... 64 제9절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피지스라는 낱말이 가지는 두 가지 뜻. 프로테 필로 소피아(○, 제일철학)의 두 겹의 물음방향으로서 전체에서의 존재자에 대한 물음과 존재자의 본질성(존재)에 대한 물음 ... 65 제10절 본래적인 철학함이 쇠퇴하면서 논리학, 자연학, 윤리학이 강단분과로 형성됨 ... 70 제11절 '형이상학(메타피직)'이라는 낱말에서의 '메타'의 기술적인 뜻이 내용적인 뜻으로 전환됨 ... 73 가. '메타'의 기술적인 뜻 : 다음(post). 프로테 필로소피아를 마주하고 생겨난 당혹스러움을 지칭하기 위한 기술적인 칭호로서의 형이상학(메타피직) ... 73 나. '메타'의 내용적인 의미 : 너머로(trans). 프로테 필로소피아에 대한 내용적인 지칭과 해석으로서의 형이상학 : 초감각적인 것에 관한 학문. 강단분과로서의 형이상학 ... 75 제12절 형이상학이라는 전승된 개념의 내적인 견지불가능성 ... 78 가. 전승된 형이상학 - 개념의 피상화 : 형이상학적인 것(신, 죽지 않는 영혼)은 지고하긴 해도 눈앞에 있는 존재자 ... 80 나. 전승된 형이상학 - 개념의 혼란스러움 : 두 가지 상이한 양식들인 초감각적 존재자가 넘어서 놓여 있는 양식과 존재자의 무감각적 존재 성격들이 넘어서 놓여 있는 양식이 한데 뒤엉켜붙음 ... 83 다. 전승된 형이상학 개념이 안고 있는 무문제성 ... 85 제13절 전승된 형이상학 - 개념의 세 가지 계기들에 대한 역사적 전거로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개념 ... 85 제14절 프란시스코 수아레스의 형이상학 - 개념과 근세 형이상학의 근본성격 ... 93 제15절 형이상학 자체의 근본문제를 지칭하기 위한 칭호로서의 형이상학. 예비고찰의 성과와 다음과 같은 요구, 즉 형이상학 내에서의 행동을 형이상학적 물음의 사로잡혀 있음에서부터 시작하라는 요구 ... 101 제1부 우리 철학함의 한 근본기분을 일깨움 제1장 하나의 근본기분을 일깨워야 할 과제와 그리고 오늘날 우리 현존재의 한 숨겨진 근본기분을 내보임 ... 105 제16절 하나의 근본기분을 일깨운다고 하는 의미에 대한 예비적 이해 ... 105 가. 일깨움이란 어떤 눈앞의 것을 확인함이 아니고, 오히려 잠자고 있는 이를 깨어나게 해줌임 ... 105 나. 기분의 '거기에-있음'과 '거기에-있지-않음'은 '의식을 가지고 있음'과 '의식하고 있지 않음'의 구별을 통해서는 파악될 수 없음 ... 107 다. '거기에-존재함'과 '떠나-있음'(부재하고 있음)으로서의 인간의 존재에 바탕을 둔 기분의 '거기에-있음'과 '거기에-있지-않음' ... 111 제17절 기분이라는 현상에 대한 잠정적인 특징규정 : 기분이란 곧 현존재의 근본 방식, 즉 현존재에게 존립과 가능성을 부여하는 것. 기분을 일깨움이란 곧 현-존재를 현-존재로서 사로잡음 ... 116 제18절 오늘날 우리의 처지와 이 처지를 두루 지배하고 있는 근본기분을 확보하는 것이 이러한 근본기분을 일깨우기 위한 전제임 ... 120 가. 오늘날 우리의 처지에 대한 네 가지 해석들 : 오스발트 슈펭글러, 루드비히 클라게스, 막스 셸러, 레오폴트 치글러에게서 삶(영혼)과 정신의 대립 ... 120 나. 니체가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을 근본적으로 맞세운 것이 오늘날의 우리의 처지에 대한 네 가지 해석들의 원천 ... 124 다. 우리의 처지를 문화철학적으로 해석해 놓은 것들 속에 숨겨진 근본기분으로서의 깊은 권태 ... 128 제2장 권태의 첫 번째 형태 : 어떤 것에 대해서 지루하게 됨 ... 134 제19절 권태가 가지는 의문스러움. 이러한 근본기분을 일깨운다 함은 곧 깨어 있도록 해줌, 즉 잠들지 않게 지켜줌 ... 134 제20절 권태라는 근본기분과 이러한 근본기분이 시간과 맺고 있는 관계 그리고 세계, 유한성, 개별화에 대한 세 가지 형이상학적 물음 ... 137 제21절 지루한 것을 출발점으로 삼아 권태를 해석해보기. 지루한 것이란 곧 '잡고 있는 것'이자 '공허 속에 놔두는 것'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통속적 해석도식들이 지닌 의문스러움 : 원인-작용-관계, 영혼에 내재한 것, 옮겨 씌우기 ... 140 제22절 지루해짐의 해석을 위한 방법적 지침 : 의식분석적 태도를 피하고 일상적 현존재의 직접성을 유지할 것 : 권태를 그것에 대한 직접적 행동관계인 시간죽이기에서부터 해석해내기 ... 151 제23절 지루해짐과 시간죽이기 ... 159 가. 시간죽이기란 곧 시간을 채근하면서 권태를 쫓아버리기임 ... 159 나. 시간죽이기와 시계를-들여다-보기. '지루해짐'이란 '머무적거리는 시간흐름이 마비시키며 맞닥쳐 있음'임 ... 164 다. 머무적거리는 시간에 의해서 붙잡혀 있음 ... 169 라. '스스로를 거부하는 사물들에 의해서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 그리고 이것이 '머무적거리는 시간에 의해서 붙잡혀 있음'과 맺고 있는 가능적인 연관 안으로 눈길을 던져봄 ... 173 제3장 권태의 두 번째 형태인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과 그것에 딸린 시간 죽이기 ... 182 제24절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과 이에 속한 시간죽이기의 양식 ... 182 가. '붙잡혀 있음'과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사이의 이음새를 이해하기 위해 권태를 좀더 근원적으로 파악할 것을 요구함 ... 182 나.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과 시간죽이기의 달라진 양식인 시간죽이기로서의 지루해함의 자리 ... 185 제25절 '붙잡혀 있음'과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이라는 두 본질계기들 쪽으로 눈길을 던지면서 권태의 두 번째 형태를 그 첫 번째 형태와 비교하여 부각시킴 ... 194 가. 지루한 것의 관점 아래서 권태의 두 형태들을 일반적으로 서로 맞대어 부각시킴 : 특정한 권태와 막연한 권태. 권태의 두 번째 형태에서는 '붙잡혀 있음'과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이 결여되어 있는 것처럼 보임 ... 195 나. 지루하게 하고 있는 그것에 의한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의 더욱 깊어진 방식은 곧, '발묶고 있는 느긋함'임. '공허함이 형성되는 가운데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 ... 198 다. '우리의 시간으로부터 풀려나 있지 않음'은 곧 '멈춰 서 있는 시간에 붙잡혀 있음'임 ... 205 제26절 내준 시간을 마주 대하게 하면서 멈춰 서 있게 함에 바탕을 둔 지루해함의 두 구조계기들의 구조론적인 통일성. 스스로 시간화하는 현존재의 시간성에서부터 권태가 솟아나옴 ... 216 제27절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에 대한 결론적 성격규정 : 지루하게 하고 있는 그것이 현존재 자신에서부터 피어오름은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에 딸린 시간죽이기의 독특함임 ... 219 제28절 권태의 두번째 형태가 첫번째 형태에 비해 더욱 깊어짐 ... 221 제4장 권태의 세번째 형태 '아무튼 그냥 지루해'로서의 권태 ... 226 제29절 권태와 시간의 본질 속으로 파고 들어가기 위한 전제들 : 인간을 의식으로서 파악하는 견해를 물음에 부침, 권태의 본질이 그 깊이를 스스로 열어보임 ... 226 제30절 시간죽이기가 더 이상-허용되어 있지 않음은 곧, 깊은 권태를 그 우세함에서 이해함임. 깊은 권태를 이해하도록 내주고 있는 바로 그것에 귀기울이도록 강요되어 있음 ... 229 제31절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과 붙잡혀 있음'을 실마리로 삼아 깊은 권태를 구체적으로 해석해보임 ... 233 가.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이란 곧 전체에서 자신을 거부하고 있는 존재자에게 현존재가 넘겨져 있음임 ... 234 나. '붙잡혀 있음'이란 곧 현존재를 하나의 그 자체로서 근원적으로 가능케 해주는 데에로 밀쳐져 있음임. 전체에서 자신을 거부하고 있는 존재자의 폭과 현존재를 가능케 해주는 그것의 유일한 '날끝', 이 둘의 통일성이 곧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과 '붙잡혀 있음'의 구조론적인 통일성임 ... 239 제32절 깊은 권태의 시간성격 ... 246 가. 하나이면서 동시에 세 겹으로 된 시간의 지평에 의해서 옭아 매여 있음이 곧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의 시간성격임 ... 247 나. 옭아매는 시간에 의해서 순간에로 밀쳐져 있음이 곧 '붙잡혀 있음'의 시간성격임.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과 '붙잡혀 있음'의 시간차원적인 통일성 ... 252 제33절 '권태'라는 낱말이 띠고 있는 본질적인 뜻 : 깊은 권태 속에서 겨를이 길어 지고 있음은 곧 시간지평의 폭이 넓혀져가고 있음이며 한 순간의 날끝이 사라져버리고 있음임 ... 259 제34절 권태의 해석을 위한 날카로워진 지침으로서 그리고 오늘날의 우리 현존재를 사로잡고 있는 특정한 깊은 권태에 대한 물음을 위한 예비로서 깊은 권태에 대한 종합 요약적인 '정의' ... 261 제35절 하나의 특정한 방식으로 시간화하고 있는 시간성이 곧, 권태에서 본디 지루하게 하고 있는 그것임 ... 268 제36절 권태에 대한 통속적인 평가 및 이 평가가 깊은 권태를 억누르고 있음 ... 269 제5장 오늘날의 우리 현존재를 근본기분으로서 조율하고 있는 하나의 특정한 깊은 권태에 대한 물음 ... 271 제37절 우리 현존재의 근본기분으로서의 깊은 권태에 대한 물음을 다시 던져봄 ... 271 제38절 특수한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과 특수한 '붙잡혀 있음'을 방향삼아 특정한 깊은 권태에 대해서 물음을 던져봄 ... 275 가. 전체에 걸친 본질적인 절박함, 즉 오늘날 우리 현존재의 본질차원적인 압박의 부재(자신을 거부하고 있음)가 곧 특정한 깊은 권태의 '공허 속에 버려져 있음'임 ... 275 나. 압박의 부재 속에서 함께 알려지고 있는 현존재 그 자체의 극단적인 요구(함께 알려지고 있는 순간)가 곧 특정한 깊은 권태의 '붙잡혀 있음'임 ... 278 제2부 깊은 권태라는 근본기분에서부터 전개시켜 내와야 할 형이상학적 물음들을 실제로 물음. '세계란 무엇인가?'라는 물음 제1장 깊은 권태라는 근본기분에서부터 전개시켜 내와야 할 형이상학적 물음들 ... 285 제39절 오늘날의 우리 현존재의 깊은 권태라는 근본기분이 우리에게 물음을 던지도록 내주고 있는 바로 그것으로서 세계, 개별화 그리고 유한성에 대한 물음들. 이 세 가지 물음들의 뿌리로서 시간의 본질 ... 285 제40절 그 세 가지 물음을 물어야 하는 방식 ... 291 제41절 이 세 가지 물음들을 건전한 인간지성과 전통이 에워싸고 있음 ... 293 제2장 세계에 대한 물음을 가지고 형이상학적 물음을 던지기 시작함. 탐구의 길과 그 길에서 봉착하게 될 여러 어려움들 ... 296 제42절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도적인 논제들을 비교해가는 고찰의 길 : '돌은 세계 없음 속에 존재한다', '동물은 세계 빈곤 속에 존재한다', '인간은 세계형성 속에 존재한다' ... 296 제43절 생명의 본질을 규정하는 것과 관련된 그리고 생명에 대한 접근가능성과 관련된 내용적이고 방법적인 근본 어려움 ... 300 제44절 방학 후 기억을 위한 종합요약 : 총괄적 물음으로서의 형이상학, 깊은 권태라는 근본기분을 일깨움, 근본기분에서부터 전개시켜 내와야 할 형이상학적 물음들. 철학함의 근본기분에 관한 이야기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방향지침들 ... 303 제3장 중간 논제인 '동물은 세계 빈곤 속에 존재한다'로부터 출발하여 비교하는 고찰을 시작함 ... 308 제45절 논제의 명제적 성격 그리고 형이상학과 실증과학과의 관계 ... 310 가. '동물은 세계 빈곤 속에 존재한다'라는 논제는 동물학을 위한 본질발언이며 전제임. 철학의 원운동 ... 310 나. 우리의 철학하는 물음던짐이 동물학 및 생물학과 맺고 있는 관계 ... 313 제46절 '동물은 세계 빈곤 속에 존재한다'는 논제를 '인간은 세계형성 속에 존재한다'는 논제와의 관계에서 봄. 세계빈곤과 세계형성이 맺고 있는 관계는 결코 우열적인 단계질서가 아님. '세계빈곤'이란 곧 '세계 없이 지냄'임 ... 319 제47절 '동물은 세계 빈곤 속에 존재한다'는 논제를 '돌은 세계 없음 속에 존재한다'는 논제와의 관계에서 봄. '세계가 없음'은 '존재자에 이르는 접근통로가 없음'임. 세계를 존재자의 접근가능성으로서 잠정적으로 성격규정함 ... 325 제48절 동물이 세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세계를 가지고 있지 않음 : 세계개념의 해명을 시작하기 위한 자리를 획득함 ... 330 제4장 동물이 띠고 있는 세계빈곤의 본질을 동물성, 생명 일반, 유기체 등의 본질에 대해서 물음을 던져나가는 길 위에서 규명함 ... 331 제49절 하나의 다른 존재자(동물, 돌, 인간)속으로 '자신을 옮겨 앉혀볼 수 있음'에 대한 방법적인 물음이 곧, 동물이라는 존재자의 존재양식에 대한 사태 물음임 ... 331 제50절 세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가지고 있지 않음이란 곧 '옮겨 앉혀져 있음'을 들어줄 수 있음이며 '함께 같이 가기'를 거부해야 함임. '가질 수 있으면서 가지고 있지 않음'으로서 빈곤(없이 지냄) ... 345 제51절 유기체의 본질을 밝혀 보이기 시작 ... 349 가. 기관을 작업도구로서, 유기체를 기계로서 보는 견해의 의문스러움. 도구, 작업도구, 기계를 본질적으로 구별해놓은 데에 대한 대략적인 해명 ... 349 나. 생명의 움직임을 기계역학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대한 의문스러움 ... 356 제52절 동물의 능력이 지닌 가능성의 성격에 대한 물음으로서 기관의 본질에 대한 물음. 도구의 유용성은 '어떤 것을 위한 완숙성'이고 기관의 유용성은 '어떤 것을 해낼 수 있음'임 ... 357 제53절 '해낼 수 있음'과 이에 속한 '기관'사이의 구체적인 연관이 곧 도구의 유용성과는 구별되는 '일 맡고 있음'임 ... 364 제54절 완숙한 도구가 하나의 방침 밑에 놓여 있는 것과는 다르게 '해낼 수 있는 것'은 규칙을 지니고 온다. 자기가 무엇을 할 수 있는 데에로 자신을 앞으로 몰고 나아감이 곧 해낼 수 있는 능력의 충동성격임 ... 374 제55절 일을 맡고 있는 해낼 수 있는 능력으로 미루어 일 맡겨진 기관의 수행에 관해서 물어봄 ... 376 제56절 지금까지 해명된 해낼 수 있는 능력의 본질을 유기체의 본질(전체성의 성격)에 대한 규정을 위해 더욱 깊숙이 파고들어 밝혀보임 : 동물이 '자신을-자기것으로-만들 수-있음'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양식으로서 자기것다운 면모 내지는 자기것다움 ... 379 제57절 유기체란 곧 기관을 조달해낼 수 있는 능력에로 자신을 분절시킬 수 있는 능력이 부여된 존재임 - 즉 기관을 조달해낼 수 있는 능력이 부여된 자기것다움의 존재양식임 ... 382 제58절 동물의 댓거리와 얼빠져 있음 ... 386 가. 동물의 해낼 수 있음이 능력을 발휘할 바로 그러한 데(Wozu)로서 댓거리를 앞서 가리켜 보임. '행동'이라는 인간의 자기 행동관계와는 구별되는 '몰아댐'으로서의 동물의 맞댓거리 ... 386 나. 동물이 자기 안에 자리잡고 있음은 곧 얼빠져 있음임. 얼빠져 있음(유기체의 자기것다움의 본질)은 곧 댓거리의 내적인 가능성임 ... 389 제59절 동물적인 댓거리의 '∼에 관련되어 있음'을 인간적인 행동의 '∼에 관련되어 있음'과 구별해나아가는 구체적인 길 위에서 댓거리의 구조를 밝혀내보임 ... 392 가. 동물시험에서부터 댓거리의 구체적인 보기를 들어봄 ... 393 나. 댓거리에 대한 보편적인 성격규정 : 얼빠져 있음은 곧 어떤 것을 어떤 것으로서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이 박탈되어 있음이며 그리고 무엇인가에 의해 압도되어 있음임. 존재자의 개방성에서부터 동물은 제외되어 있음 ... 402 제60절 댓거리와 얼빠져 있음의 열려 있음 그리고 동물이 자신을 무엇인가에 관련짓는 '그 무엇에로' ... 406 가. 댓거리가 띠고 있는 제거의 성격 ... 407 나. 동물의 댓거리가 일종의 들뜸테를 가지고 자신을 휘둘러쌈 ... 413 제61절 마지막으로 유기체의 본질개념을 한정지어봄 ... 419 가. 유기체란 곧 얼빠져 있음의 단일성 안에서 댓거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임. 주위환경에 매여 있음(들뜸들에 열린 채 자신을 휘둘러쌈)은 댓거리의 본질구조임 ... 419 나. 생물학 내에서 이행되어온 두 본질적인 발걸음 : 한스 드리슈, 야콥 요한 폰 윅스퀼 ... 424 다. 지금 다루고 있는 유기체의 본질해석이 띠고 있는 불완전성 : 살아 있는 것의 움직임에 대한 본질해석이 빠지고 없음 ... 430 제5장 '동물은 세계 빈곤 속에 존재한다'라는 주도 논제를 앞에서 얻어낸 유기체의 본질해석에서부터 펼쳐보임 ... 434 제62절 얼빠져 있으면서 열려 있음은 곧, 들뜨게하고 있는 그것을 가지고 있으면서 세계는 가지고 있지 않음임 ... 434 제63절 동물의 없이 지냄과 동물의 빈곤한 채로 있음으로서의 '세계를 가지고 있지 않음'에 대한 이의 제기와 그에 대한 논박 ... 437 제6장 '인간은 세계 형성 속에 존재한다'라는 논제를 논의해나아가는 길 위에서 세계문제를 주제적으로 설명해들어감 ... 442 제64절 세계현상이 첫번째로 띠고 있는 성격들 : 존재자가 존재자로서 개방되어 있음 그리고 '로서'. 존재자에 대한 관련이란 곧, '〔만나게 되는 바로 그것을〕 존재하게 해주고-존재하게 해주지 않음'임(무엇과도 행동관계, 태도, 자기성) ... 442 제65절 여러 상이한 양식의 존재자가 구별 없이 눈앞의 것으로서 개방되어 있음 그리고 존재자에 대한 현존재의 근본관계가 일상성 안에서 잠자고 있음 ... 444 제66절 살아 있는 자연의 고유한 개방성 그리고 현존재가 살아 있는 것의 포위망의 맥락 안으로 그 살아 있는 것에 대한 독특한 근본관계로서 옮겨앉혀져 있음 그리고 세계의 문제 ... 446 제67절 개방성의 일어남에 대한 물음은 세계에 대한 물음을 위한 출발점임. 세계형성에 대한 물음과 세계에 대한 물음을 깊은 권태에 대한 해석에 의해서 열려진 방향에로 되돌림 ... 450 제68절 세계개념에 대한 잠정적인 제한규정 : 세계란 곧 존재자가 그 자체로서 전체에서 개방되어 있음임. 세계형성에 대한 일반적인 해명 ... 455 제69절 개방성의 한 구조계기인 '로서'에 대한 첫 번째 형식적 해석 ... 462 가. 관련 및 그 관련 마디의 전체구조틀인 '로서'가 발언문장과 맺고 있는 연관 ... 462 나. 형이상학이 세계문제를 비근원적으로 전개한 데에 대한 이유는 형이상학이 로고스에 그리고 논리학에 방향잡음임 ... 464 제70절 일체의 모든 형이상학적 문제들과 개념들의 이해를 위한 원칙적인 방법적 고려. 그러한 방법적인 고려가 범하고 있는 오해의 두 가지 근본형태들 ... 468 가. 첫 번째 오해 : 철학적 문제를 넓은 의미에서 어떤 눈앞의 것으로서 논의함. 철학 개념들의 근본성격으로서 형식적 지시 ... 468 나. 두 번째 오해 : 철학 개념들의 거꾸로 뒤바뀐 연관과 이 철학 개념들의 고립화 ... 478 제71절 발언문장의 구조에 대한 하나의 해석으로부터 출발하여 '로서'의 근원 차원 안으로 소급해들어가야 하는 과제 ... 482 제72절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발언문장(로고스 아포판티코스〔○]에 대한 성격규정 ... 488 가. 로고스를 일반적인 어법에서 보자면 그것은 곧, '뜻함(○)' 및 '이해할 수 있게 내줌'으로서의 말이다. 함께 모아 간직하면서 일치에 이르는 사건(○- ○)이 곧 말의 가능조건임 ... 489 나. 제시하는 말(로고스 아포판티코스〔○〕)을 그것이 띠고 있는 '탈은폐함-은폐함(알레테우에인〔○〕 - 프세위데스타이〔○〕)'의 가능성에서 살펴봄 ... 495 다. '통일성을 형성하면서 어떤 것을 어떤 것으로서 받아들임'(신테시스 노에마톤 호르페스 헨 온톤〔○〕, 즉 '로서'-구조란 곧 제시하는 로고스의 탈은폐-은폐의 가능성을 위한 본질근거임 ... 500 라. 긍정하면서 부정하는 발언이 통일성을 형성하면서 어떤 것을 어떤 것으로서 인지함이란 곧 일종의 따로따로 떼어내면서 한데에 함께 붙잡아들임임(신테시스-디아이레시스) ... 504 마. 발언의 제시(아포판시스)란 곧, 존재자를 그것이 무엇인 바로 그것으로서 그리고 어떠하게 그것인 바로 그것으로서 보이게 해줌임 ... 509 바. 단순 발언에 대한 종합 요약적인 본질규정과 단순 발언의 개별적인 구성성분들에 대한 규정(오노마〔○〕, 레마〔○〕) ... 513 사. 발언에서 '이다'가 뜻하고 있는 것으로서 '결합되어 있음(신테시스)' ... 516 아. 연계사에 대한 가능적인 해석들로서 '무엇임', '사실임', '참임'. 이러한 뜻들의 나뉘어지지 않은 다양성이 곧 연계사의 일차적 본질임 ... 524 제73절 발언-구조 전체의 가능근거에로 소급해올라감 ... 535 가. 주도적인 세계문제와 소급물음이 맺고 있는 연관에 대한 지시 ... 535 나. 발언의 내적인 본질골격으로부터 소급해서 물어나아가는 물음의 출발점 : 승인'도' 하고 부인'도' 하는 가운데, 제시하면서, 존재를 표명하면서, 탈은폐'하거나 아니면' 은폐하거나 할 수 있는 능력 ... 539 다. '자유로이 있음', '로고스 이전에 존재자 그 자체에 대해서 열려 있음', 그리고 '구속력에 대해서 자신을 맞댐' 등이 곧 발언의 가능조건임 ... 543 라. 로고스 이전에 존재자에 대해서 열려 있음은 곧 아우름('전체에서'를 선행적으로 형성함)이며 존재자의 존재를 드러냄임. 현존재에서 일어나고 있는 세 겹으로 구조잡힌 근본적 일어남이 곧 발언의 근원차원임 ... 550 제74절 세계 형성은 현존재에서의 근본적 일어남. 세계의 성함으로서의 세계의 본질 ... 561 제75절 세계로서의 '전체에서'와 그리고 존재와 존재자의 구별이라는 수수께끼 ... 566 제76절 세 겹으로 성격규정된 세계 형성의 근본적 일어남의 원초구조로서의 기획투사. 성하도록 해주는 세계 기획투사에서 세계가 전체에서 존재자의 존재로서 성함 ... 578 부록 : 60회 생일을 맞는 오이겐 핑크에게 ... 589 펴낸이의 말 ... 593 옮긴이의 주 ... 599 옮긴이의 말 ... 613 내용 찾기 ... 619 이름 찾기 ... 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