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가장 단순한 침술과 혈
1.1 De la Fuye에 의한 침술의 정의 ... 3
1.2 원시적인 침 또는 통증점 刺針 ... 4
1.3 중요한 혈의 분류 ... 4
1.3.1 主人穴(master point) ... 4
1.3.2 대증 혈(symptomatic points) ... 5
1.3.3 The Energetic Pilot Points ... 6
제2장 氣와 경락
2.1 氣의 근원 ... 8
2.1.1 생명 氣 ... 8
2.1.2 영양, 호흡, 외적인 영향 ... 9
2.1.3 우주 氣 ... 9
2.1.4 이성간 氣 ... 9
2.2 경락(meridians) ... 10
2.2.1 氣의 순환 ... 10
2.2.2 氣의 第1循環路 ... 11
2.2.3 氣의 第2循環路 ... 12
2.2.4 氣의 第3循環路 ... 13
2.2.5 경락의 연구 ... 13
2.2.6 경락의 기능 ... 15
제3장 혈의 여러 유형
3.1 主穴과 특수穴 ... 17
3.1.1 主穴 ... 17
3.1.1.1 The Tonification Point(補穴(母穴)) ... 17
3.1.1.2 The Sedation Point(瀉穴(子穴)) ... 18
3.1.2 요혈(要穴) ... 18
3.1.2.1 The Source Point(原穴) ... 18
3.1.2.2 The Passage or Lo Point(絡穴, 通過穴) ... 19
3.1.2.3 The Alarm or Herald Point(警告 또는 豫告穴, 募穴) ... 19
3.1.2.4 Associated or Concurring("Assentiment")Points(聯合또는同時穴, 兪穴) ... 19
3.1.3 특수 혈 ... 20
3.1.3.1 The Reuinion Point(再結合 穴) ... 20
3.1.3.2 The Cardinal Point(交會穴) ... 21
3.1.3.3 경락 밖의 혈과 개인별 혈 ... 21
3.2 여러 침술 현상에 대한 연구 ... 22
3.2.1 피부 혈의 전기 저항 측정 ... 22
3.2.2 피부의 전기 우세 반응점(Electrically superior points) ... 23
3.2.2.1 피부의 구조와 기능 ... 24
3.2.2.2 혈의 조직학적 소견 ... 25
3.2.2.3 피부의 기능에 대하여 ... 26
3.2.3 각 혈의 특수한 기능에 대한 증거 ... 27
3.3 조절에 대한 보편적인 언급 ... 28
3.3.1 특수 조절 ... 29
제4장 맥진(脈診)
4.1 맥의 위치 ... 31
4.2 진맥(診脈) ... 33
4.3 맥진과 정확한 진단 ... 34
4.4 맥진상의 오류의 원인 ... 35
4.5 복잡한 맥진 ... 36
4.5.1 夫婦의 법칙 ... 37
4.5.2 母子의 법칙 ... 38
4.5.3 正午-子正의 법칙 ... 38
4.6 세 법칙의 진단적 합성 ... 39
4.7 세 법칙의 치료적 합성 ... 40
4.8 요약 ... 41
제5장 침술의 手技와 반응
5.1 刺針 手技 ... 45
5.1.1 특수한 刺針 手技 ... 45
5.1.2 Ou-Rou 방법 ... 45
5.1.3 "영구적" 혹은 잠금 침 ... 46
5.1.4 여러 가지 침의 종류 ... 46
5.1.4.1 금침과 은침 효과의 비교 ... 47
5.2.1 침술 치료의 합병증 ... 49
5.2.2 침이 미리 빠져 버릴 때 ... 51
5.2.3 비정상적 반응과 후출혈 ... 51
5.3 치료 후 반응 ... 52
5.4 치료 간격 ... 53
5.4.1 전형적인 치료 간격 ... 55
5.4.2 비전형적인 치료 간격 ... 56
5.4.3 치료 기간 ... 57
5.4.4 금기증 ... 58
제6장 침술의 적응증
6.1 머리 영역의 통증 ... 60
6.1.1 두통 ... 60
6.1.2 편두통(偏頭痛) ... 61
6.2 눈, 코, 목구멍의 질환 ... 63
6.2.1 건초열 ... 63
6.2.2 이명(耳鳴) ... 63
6.2.3 현훈(眩暈) ... 64
6.3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과 안면(顔面) 마비(痲痺) ... 64
6.4 눈병 ... 65
6.5 호흡기계 ... 65
6.5.1 감기 ... 65
6.5.2 인두염 ... 66
6.5.3 기관지 천식 ... 66
6.5.3.1 기관지 경련 ... 67
6.5.3.2 심리적인 영향 ... 67
6.5.3.3 제거 순서 ... 68
6.5.3.4 알레르기 요인 ... 68
6.5.3.5 맺음말 ... 69
6.6 통증 ... 69
6.6.1 일반적인 통증 관리 ... 70
6.6.2 치통 ... 70
6.6.3 늑간신경통 ... 71
6.6.4 상지통 ... 71
6.6.4.1 팔의 통증 ... 71
6.6.4.2 팔 관절 ... 72
6.6.4.3 마비(팔) ... 72
6.6.5 하지통 ... 73
6.6.5.1 다리 전체에 대한 혈 ... 73
6.6.5.2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 74
6.6.5.3 관절의 염증 ... 75
6.6.5.4 다리의 마비 ... 75
6.6.5.5 다리의 순환 장애 ... 76
6.6.5.6 정맥류(靜脈瘤) ... 77
6.7 소화기 장애 ... 77
6.7.1 위 십이지장 ... 78
6.7.1.2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 ... 78
6.7.1.3 입덧 ... 79
6.7.1.4 가슴앓이 ... 79
6.7.1.5 딸꾹질 ... 79
6.7.1.6 식욕 부진 ... 79
6.7.2 장(腸) 질환 ... 80
6.7.2.1 장염(腸炎)과 설사 ... 80
6.7.2.2 변비 ... 81
6.7.2.3 치질 ... 81
6.7.2.4 대장염 ... 82
6.7.2.5 간(肝)과 췌장(膵臟)의 질환 ... 82
6.7.2.6 담낭염(膽囊炎) ... 83
6.7.2.7 보충 ... 83
6.8 심혈관계 ... 84
6.8.1 심장병 ... 84
6.8.2 혈관 질환 ... 84
6.8.2.1 고혈압, 저혈압 ... 84
6.9 혈액병 ... 85
6.10 피부병 ... 85
6.10.1 만성 피부 질환 ... 86
6.10.2 대상포진 ... 86
6.10.3 다리의 궤양 ... 87
6.11 비뇨생식기계 ... 87
6.11.1 월경 장애 ... 87
6.11.2 신장병 ... 88
6.12 정신병 ... 88
6.12.1 성적(性的)인 질환 ... 89
6.12.2 정신적인 불안정 ... 90
6.13 불면증 ... 91
6.14 강직성 질환 ... 91
6.15 대사혈(代謝穴) ... 92
6.16 맺음말 ... 92
제7장 중요한 혈의 위치와 적응 증상(適應 症狀)
7.1 心經(手少陰) ... 94
7.2 小腸經(手太陽) ... 97
7.3 膀胱經(足太陽) ... 101
7.4 腎經(足少陰) ... 112
7.5 心包經(手厥陰) ... 117
7.6 三焦經(手少陽) ... 118
7.7 膽經(足少陽) ... 123
7.8 肝經(足厥陰) ... 129
7.9 肺經(手太陰) ... 132
7.10 大腸經(手陽明) ... 135
7.11 胃經(足陽明) ... 139
7.12 脾-膵經 ... 146
7.13 임맥(任脈) ... 150
7.14 독맥(督脈) ... 154
7.15 맺음말 ... 159
7.16 덧붙이는 말 ... 160
제8장 침술에 대한 연구
8.1 침 마취에 대한 연구 ... 161
8.1.1 침에 의한 신경전달물질의 조절 ... 163
8.2 레이저를 이용한 침술 치료 연구 ... 164
8.3 조절 치료로서의 침술 치료 연구 ... 165
8.4 침과 심혈관계 ... 166
8.5 침과 피부 온도 ... 166
8.6 전망 ... 16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