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Ⅰ. 序言 ... 7
1. 연구의 필요성 ... 7
2. 연구 목적과 방법 ... 12
3. 연구의 범위 ... 22
Ⅱ. 男性毁節小說의 形成基盤 ... 27
1. 類型의 定立過程 ... 28
1) 유형 형성의 사회적 배경 ... 28
2) 유형의 형성과정 ... 33
2. 說話의 實相과 類型的 意味 ... 63
1) 유형구조와 설화의 양상 ... 64
2) 유형적 의미와 웃음의 기능 ... 82
3. 판소리 「梅花타령」·「裴裨將타령」과의 관련성 ... 98
Ⅲ. 男性毁節小說의 構造와 變異樣相 ... 105
1. 類型構造의 小說化 樣相과 웃음의 性格 ... 105
1) 훼절대상자의 성격 변화와 「丁香傳」 ... 107
2) 훼절음모자의 의도 강화와 「鍾玉傳」·「烏有蘭傳」 ... 119
3) 훼절음모수행자의 역할 증대와 「裴裨將傳」 ... 144
2. 小說의 새로운 指向과 類型的 變異 ... 172
1) 훼절음모수행자의 주체화와 「芝峯傳」 ... 173
2) 훼절음모자의 퇴화 과정과 「三仙記」 ... 195
3) 훼절대상자의 소멸과 「柳綠傳」 ... 214
Ⅳ. 男性毁節小說의 史的 性格과 意義 ... 227
1. 유형의 사적 전개 방향 ... 227
2. 작품내적 갈등의 사회적 토대와 性道德觀 ... 243
3. 소설사적 의의 ... 252
Ⅴ. 結言 ... 257
참고문헌 ... 265
찾아보기 ... 27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