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序文
제1부 한국근현대의 理解와 爭點
Ⅰ. 한국근현대사 總說 ... 3
1.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 개혁의 시련 ... 7
2. 일제의 한반도 강점과 독립운동 ... 44
3. 해방정국과 현대사의 전개 ... 77
Ⅱ. 光武農民運動과 申乭石 義兵 ... 91
1. 머리말 ... 91
2. 光武農民運動의 성격 ... 94
3. 전기의병과 광무농민운동 시기 신돌석의 행적 ... 101
4. 신돌석의병(寧陵義陣)의 기병과 그의 역사적 위치 ... 106
5. 맺음말 ... 111
Ⅲ.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의 전개 : 식민지 부정론과 절대독립론의 맥락 ... 115
1. 3·1운동 후 민족운동의 위상 ... 116
2. 1920년대 식민통치의 특성 ... 120
3. 독립군의 분포와 독립전쟁의 전개 ... 123
4. 의열투쟁의 전개와 특징 ... 128
5. 상해시기의 대한민국임시정부 ... 130
Ⅳ. 李奉昌 의거의 歷史性과 現在性 ... 137
1. 머리말 ... 137
2. 의열투쟁의 독립운동사적 의의 ... 139
3. 이봉창의사가 남긴 역사적 유산 ... 142
4. 한인애국단, 1932년의 작전 ... 147
5. 맺음말 - 역사의 현재성 규명을 위하여 ... 148
Ⅴ. 통일시대 남북의 독립운동사 인식 ... 153
1. 통일시대란? ... 153
2. 초기의 독립운동사 간행 ... 155
3. 분단정부 수립직후의 독립운동사 ... 157
4. 냉전 후기의 독립운동사 연구 ... 159
5. 통일을 위한 독립운동사 연구의 방향 ... 164
제2부 儒家 義理의 근대적 발전
Ⅰ. 儒家의 민족의식과 민족운동 ... 173
1. 머리말 ... 173
2. 근대 民族主義의 대두 ... 175
3. 독립운동 思想과의 관계 ... 179
4. 儒林의 독립운동 團體 ... 183
5. 반성과 과제 ... 187
Ⅱ. 韓末 의병전쟁의 변천과 敎訓 ... 191
1. 의병전쟁의 변천 ... 192
2. 의병전쟁의 역사적 의의 ... 203
Ⅲ. 白凡의 청소년기 생활과 의병운동 ... 207
1. 머리말 ... 207
2. 2백여년의 상민가정에서 태어나도 꿈은 잃지 않고 ... 208
3. 개구장이 어린이가 과거장에 나가기까지 ... 210
4. 관상과 풍수지리를 구명하다가 동학에 입문하고 ... 213
5. 성리학을 배우고 의병을 일으키고 ... 216
6. 맺음말 - 백범사상의 뿌리 ... 221
Ⅳ. 傳統 名家의 근대적 變容과 독립운동 事例 : 安東 川前門中의 경우 ... 225
1. 머리말 ... 225
2. 구한말 義兵戰爭과 川前門中 ... 233
3. 協東學校의 설립과 구국 계몽운동 ... 247
4. 大韓帝國의 종말과 西間島 亡命 ... 260
5. 3·1운동 후 독립군 단체의 明滅과 川前人 ... 289
6. 三府의 정립과 一松의 唯一黨運動 ... 303
7. 聚源昶 이주와 月松의 민족교육 ... 313
8. 國內人士의 항일운동 ... 323
9. 맺는말 - 역사적 의의와 교훈 ... 334
Ⅴ. 安東 역사의 儒家 중심적 전개 : 조선시대 이후 안동 역사의 개관 ... 341
1. 머리말 ... 341
2. 조선전기의 안동과 안동지방 ... 343
3. 성리학을 꽃피운 조선중기의 안동 ... 354
4. 조선후기에는 정치에서 밀리고 ... 364
5. 구한말 근대화의 시도도 남달랐던 안동 ... 375
6. 독립운동을 통해 근대화를 열고 ... 384
7. 맺음말 - 안동의 역사를 반성하며 ... 401
제3부 現代 韓國史學의 성장
Ⅰ. 1945∼1950년대의 韓國史學 ... 407
1. 8·15 해방과 歷史學者의 動向 ... 408
2. 한국사 연구 學會의 창립과 學會誌 ... 411
3. 한국사의 著述 ... 430
4. 解放 前 연구성과의 受容 ... 463
5. 方法論의 정비와 과제 ... 494
6. 맺는말 - 해방 후 한국사학의 意義 ... 512
Ⅱ. 20세기 韓國史學의 類型과 21세기 역사연구의 方向 ... 517
1. 20세기 전반기의 韓國史學 ... 518
2. 20세기 후반기의 韓國史學 ... 520
3. 한국사학에 영향한 외국 역사학자들 ... 526
4. 21세기 역사학을 위하여 ... 528
Ⅲ. 南北韓 역사학자의 平壤 學術大會 參觀記 ... 531
1. 평양의 전시회와 학술발표회 ... 533
2. 평양의 역사학자들 ... 540
3. 역사유적 기행 ... 544
4. 못다한 이야기 ... 558
Ⅳ. 南北 역사학의 學術交流論 序說 ... 561
1. 해방 후 학술교류의 추세 ... 562
2. 1990년대 민족주의의 부상과 역사학의 남북교류 ... 564
3. 2000년 이후의 남북교류 ... 567
4. 반성과 전망 ... 574
제4부 補說
Ⅰ. 한국과 몽골의 歷史的 友誼 ... 581
1. 전통시대의 양국 관계 ... 583
2. 한국독립운동과 몽골 ... 584
3. 한몽관계의 발전을 위하여 ... 590
Ⅱ. 경기도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의 역사적 성격 ... 593
찾아보기
인물편 ... 603
일반편 ... 628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