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국어교육의 미래
제1장 국어교육의 영역 구분과 교과서 ... 25
Ⅰ. 서언 ... 25
Ⅱ. 국어교육 영역 구분의 전제 ... 27
1. 국어교육 영역 구분과 정체성 확보 ... 27
2. 국어교육 영역 구분의 기저 ... 28
Ⅲ. 국어교육 영역 구분의 방법과 변천 ... 31
1. 국어교육 영역의 구분의 방법 ... 31
2. 국어교육 영역 구분의 변천 ... 33
3. 영역 구분의 이론적 양상 ... 36
4. 외국에서의 교육 영역 구분 ... 39
Ⅳ. 국어교육의 영역 구분과 교과서 체제 ... 41
1. 영역 구분과 교과서 체제의 변화 ... 41
2. 영역 구분과 교과서 개발 전략 ... 44
Ⅴ. 21세기 교과서 개발의 방향 ... 51
Ⅵ. 결론 ... 52
제2장 국어과 수준별 敎育課程의 편성·운영 ... 54
Ⅰ. 서언 ... 54
Ⅱ.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징 ... 55
1.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징 ... 55
2.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 57
Ⅲ. 수준별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방법 ... 63
1. 국어과 교수·학습의 변인 ... 63
2. 교수·학습 계획과 실천 ... 67
Ⅳ. 수준별 교수·학습과 평가 ... 69
1. 평가방법의 설계 ... 69
2. 평가방법과 운용 ... 70
Ⅴ. 심화·보충과 교과용도서의 구조 ... 71
1. 초등학교 ... 71
2. 중·고등학교 ... 75
Ⅵ.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 79
1. 편성·운영의 지침 체계 ... 79
2.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천과 완성 ... 80
3. 운영상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 81
Ⅶ. 결어 ... 83
제3장 국어과 교수·학습 평가 개선 ... 85
Ⅰ. 서언 ... 85
Ⅱ. 21세기를 주도할 국어교육의 방향 ... 86
1. '국어교육 능력'의 개념 ... 86
2. '국어능력'과 '국어교육 능력' 신장 ... 88
Ⅲ. '국어교육 능력' 평가의 구조와 방향 ... 90
1. '국어교육 능력' 평가의 구조 ... 90
2. '국어교육 능력' 평가의 방향 ... 92
Ⅳ. 지식·정보 사회에서의 평가 과제와 개선 ... 93
Ⅴ. 결어 - 미래 예측이 가능한 국어교육 ... 95
제4장 민족 正體性 확립과 국어교육 ... 98
Ⅰ. 서언 ... 98
Ⅱ. 21세기와 민족 정체성 확립의 의의 ... 99
1. 21세기 언어 地形圖와 韓民族 ... 99
2. 민족 정체성 확립과 언어의 역할 ... 101
Ⅲ. 국어교육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 교육 ... 103
1. 국어교육의 정체성 ... 103
2. 정체성 확립과 국어교육 ... 111
Ⅳ. 정체성 확립과 국어교육 정책의 기본 방향 ... 114
1. 문자(교육) 정책과 정체성 확립 ... 114
2. 국어교육 정책의 방향과 전망 ... 116
Ⅴ. 결어 ... 118
제5장 교과서 개발과 '편수용어' ... 121
Ⅰ. 서언 ... 121
Ⅱ. 편수용어의 개념과 분류 ... 123
1. 편수용어의 의미 범주 ... 123
2. 편수용어의 성격과 분류 ... 125
Ⅲ. 편수용어 선정 방법과 교육적 확대 ... 129
1. 편수용어 선정 방법 ... 129
2. 편수용어 제시 방법 ... 132
3. 편수용어의 교육적 확대 ... 135
Ⅳ. 편수용어와 교과서 개발 ... 138
1. 교과서 개발과 편수용어 정립의 의의 ... 138
2. 편수용어와 교과서의 구조화 ... 140
Ⅴ. 결어 ... 142
제6장 '좋은 교과서' 개발과 정책수립의 방향 ... 144
Ⅰ. 서론 ... 144
Ⅱ. '좋은 교과서' 개발 변인과 정책수립 ... 145
1. '좋은 교과서'의 내재적 변인 ... 145
2. '좋은 교과서'의 외재적 변인 ... 146
Ⅲ. 교과서 정책 수립의 기본 방향 ... 147
1. 정책 수립의 전제와 방향 ... 147
2. '편찬제도의 역동성' 확보와 교과서 정책 ... 150
Ⅳ. 미래의 교과서와 정책적 대비(對備) ... 152
Ⅴ. 결어 ... 153
제7장 국어교육과 문자교육 정책 ... 155
Ⅰ. 서언 ... 155
Ⅱ. 어문정책의 변천과 양상 ... 156
1. 어문정책과 어문 교육정책 ... 156
2. 어문정책의 전개와 변천 ... 158
Ⅲ. 전용론과 혼용론 내용과 문제점 ... 160
1. 논쟁의 내용 ... 160
2. 논쟁의 문제점 ... 162
Ⅳ. 어문정책의 발전적 모색과 방향 ... 165
1. 동북아 문화 중심권 성립과 어문정책 ... 165
2. 21세기 어문정책의 방향 모색 ... 167
Ⅴ. 결어 ... 169
제2부 <B><FONT color ... #0000
제1장 '龍飛御天歌'의 감화적 표현 ... 177
Ⅰ. 서언 ... 177
Ⅱ. 감화적 표현의 개념 ... 178
Ⅲ. 용비어천가의 성격과 感化的 표현 ... 180
1. 용비어천가의 일반적 성격 ... 180
2. 감화적 표현의 諸樣相 ... 182
3. 감화적 표현의 복합적 양상 ... 193
Ⅳ. 감화적 표현의 국어교육적 활용 ... 195
Ⅴ. 결론 ... 198
제2장 '동물 속담'의 發想과 표현교육의 원리 ... 200
Ⅰ. 서언 ... 200
Ⅱ. 동물 속담의 형식과 발상적 특징 ... 201
1. 속담의 형식과 표현 특징 ... 201
2. 동물 속담의 의미와 발상적 특징 ... 207
Ⅲ. 동물 속담의 발상과 표현의 유형 ... 213
1. 발상과 표현의 원리 ... 213
2. 의미 체계와 연상 원리 ... 218
3. 파생과 의미 확장의 원리 ... 222
Ⅳ. 발상과 표현교육의 실제 ... 228
1. 발상과 사고력·창의력 신장 ... 228
2. 발상과 표현교육의 실제 ... 231
Ⅴ. 결론 ... 237
제3부 문학교육의 구조
제1장 文學敎育의 구조와 본질 ... 241
Ⅰ. 서언 ... 241
Ⅱ. 문학교육의 구조와 그 力動性 ... 242
1. 문학교육의 개념과 範疇 ... 242
2. 문학 교수·학습의 力動的 구조 ... 244
Ⅲ. 문학교육의 본질과 非本質 ... 247
1. 문학교육의 文法 ... 247
2. 문학교육의 本質 ... 251
Ⅳ. 문학교육의 과제와 展望 ... 255
Ⅴ. 결론 ... 258
제2장 교육과정과 문학교사의 역할 ... 260
Ⅰ. 서언 ... 260
Ⅱ. 문학교사의 의미와 역할 ... 261
1. 문학교사의 의미 ... 261
2. 문학교사의 임무와 役割 ... 269
Ⅲ. 문학 교육과정·교재와 문학교사 ... 275
1. 교육과정과 문학교사 ... 275
2. 교재와 문학교사 ... 281
Ⅳ. 결론 ... 282
제4부 문학교육과 교재
제1장 문학 敎育課程 내용의 교재화 ... 287
Ⅰ. 서언 ... 287
Ⅱ. 문학 敎育課程 내용과 교재 구성 ... 288
1. 교육과정 내용과 교재의 내용 ... 288
2.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교재화 ... 294
Ⅲ. 교재 구성의 조건과 변인 ... 296
1. 문학교재 구성의 요구적 조건 ... 296
2. 문학교재 구성의 구성자 變因 ... 301
Ⅳ. 교재화의 절차 探索 ... 304
1. 교재화의 절차 구조 ... 304
2. 교재화의 절차 원리 ... 305
Ⅴ. 교재화의 원리 摸索 ... 307
1. 교재 구성의 一般原理 ... 307
2. 문학교육적 교재 구성의 원리 ... 317
3. 교재 구성의 창조적 원리 ... 319
4. 교재 구성의 총합 원리 ... 321
Ⅵ. 결론 ... 324
제2장 문학 교수·학습과 문학 교재 편수 ... 326
Ⅰ. 서언 ... 326
Ⅱ. 교수·학습과 문학 교재 ... 328
1. 교수·학습과 문학 교재 상호 작용의 전제 ... 328
2. 교수·학습과 문학 교재의 위상 ... 335
Ⅲ. 교수·학습과 문학 교재의 창조적 구조화 ... 340
1. 문학 교재 구성의 거시 구조 ... 340
2. 문학 교재 구성의 미시 구조 ... 342
3. 전자(다) 매체 문학 교재의 구조 ... 344
Ⅳ. 교수·학습과 문학 교재의 편수 ... 346
1. 문학교육과 교재 편수의 의미 ... 346
2. 교수·학습과 교재 편수의 역할 ... 351
3. 교재 편수의 행정적 패러다임 ... 353
Ⅴ. 결론 ... 356
제3장 문학 敎育課程의 특성과 문학교재 개발 ... 358
Ⅰ. 서언 ... 358
Ⅱ. 7차 교육과정의 이념과 특성 ... 359
1. 7차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과 특징 ... 359
2. 문학 영역 개정의 방향과 특성 ... 361
Ⅲ. 문학 교재 개발의 전략과 설계 ... 366
1. 문학 교재 설계의 기저 ... 366
2. 교수·학습 설계와 교재 개발 ... 371
Ⅳ. 문학 교재 개발의 기본 원리와 실제 ... 372
1. 교육과정과 문학 교재 개발 ... 372
2. 문학교재 구성의 실제 ... 375
Ⅴ. 문학 교재 개발의 방향과 주안점 ... 382
Ⅵ. 결론 ... 386
제4장 開化期 교과서에 나타난 문학교육 ... 388
Ⅰ. 서언 ... 388
Ⅱ. 개화기 문학교육의 일반적 특징 ... 389
Ⅲ. 개화기 文學思想 교육의 실태와 방향 ... 391
1. 교과서에 나타난 문학사상 교육의 실태 ... 391
Ⅳ. 개화기 문학교육의 시대적 의미 ... 401
1. 문학사상 교육의 방향 ... 401
2. 문학교육의 시대적 의미 ... 404
Ⅴ. 결론 ... 405
제5부 문학교육의 실천
제1장 '龍飛御天歌' 문학사상의 발상과 교육 ... 409
Ⅰ. 서언 ... 409
Ⅱ. 문학사상의 발상 양상과 층위 구조 ... 410
1. 訓民正音과 龍飛御天歌 ... 410
2. 사상의 발상 양상 ... 412
3. 사상의 층위구조와 示顯方法 ... 421
Ⅲ. 문학사상의 교육적 적용 ... 425
1. 사상교육과 가치관 교육 ... 425
2. 사상의 교육적 受容과 방법 ... 426
Ⅳ. 결론 ... 429
제2장 '춘향전'의 'PUN' 양상과 교육 ... 431
Ⅰ. 서언 ... 431
Ⅱ. 'PUN'의 의미역 ... 432
Ⅲ. 춘향전의 'PUN'의 양상 ... 435
Ⅳ. 'PUN'의 교육적 활용과 방법 ... 441
1. 'pun'의 존재 방식과 교육적 활용 ... 441
2. 'pun'의 작용 구조와 교육적 확장 ... 445
Ⅴ. 결론 ... 447
제3장 '전우치전'의 '敎育素' 발견과 그 의미 ... 450
Ⅰ. 서언 ... 450
Ⅱ. 敎育素의 개념과 교육적 활용 ... 451
Ⅲ. '전우치전'의 敎育素 설정 ... 455
Ⅳ. '전우치전'의 도술과 상상력 교육 ... 463
1. 문학교육과 상상력 ... 463
2. 도술과 상상력 교육의 의미 ... 467
Ⅴ. 결론 ... 475
제4장 '관동별곡'의 '思想素' 분석과 의미 구조 ... 478
Ⅰ. 서언 ... 478
Ⅱ. 사상소의 개념과 존재 방식 ... 479
1. 사상소의 의미역 ... 479
2. 思想素의 존재 방식 ... 482
Ⅲ. 문학사상 교육의 범위·방식과 사상소 분석 절차 ... 487
Ⅳ. '관동별곡' 사상소 분석과 의미 파악 ... 490
1. 거시적 사상 習合 분석 ... 490
2. 사상소 분석의 실제 ... 496
Ⅴ. 결론 ... 498
제6부 문학교육과 철학
제1장 한국문학의 전통과 그 變容 ... 503
Ⅰ. 서언 ... 503
Ⅱ. 전통의 개념과 문학의 特質 ... 504
1. 전통의 力動的 의미 ... 504
2. 문학의 특질과 전통 ... 509
Ⅲ. 전통 계승의 실체와 창조적 변용 ... 512
1. 전통의 실체와 변용 ... 512
2. 自然과 인간의 의미작용 ... 517
Ⅳ. 결론 ... 524
제2장 四溟大師와 도교사상 ... 526
Ⅰ. 서언 ... 526
Ⅱ. 문학사상 형성의 배경 ... 527
1. 사상 형성의 배경 ... 527
2. 道家·道敎 典籍의 博覽 ... 530
Ⅲ. 도교사상의 문학적 昇華 ... 532
1. 長命意識 志向의 辨證法 ... 532
2. 爲仙의 욕망과 현실적 距離 ... 534
3. 仙鄕에 대한 동경 ... 538
Ⅳ. 三敎思想의 習合 양상과 원리 ... 543
1. 삼교사상의 습합 양상 ... 543
2. 三敎思想의 습합 원리 ... 546
Ⅴ. 결론 ... 548
제3장 한국 戰後 단편소설에 나타난 애정관 ... 551
Ⅰ. 서언 ... 551
Ⅱ. 문학과 인간교육 ... 554
1. 애정 양상과 문학연구 ... 554
2. 애정, 도덕, 문학의 관계 ... 558
Ⅲ. Eroticism의 제양상 ... 561
1. Sadism ... 562
2. Masochism ... 565
3. Freudism ... 568
4. Animality ... 572
5. 작품에 나타난 애정 양상 ... 575
Ⅳ. 愛情의 통시적 양상 ... 580
1. 인간 관계 ... 581
2. 행동성 ... 582
3. 애정의 위상 ... 584
Ⅴ. 결어 ... 587
제4장 '삶'을 창조하는 독서와 국어교육 ... 591
Ⅰ. 서언 ... 591
Ⅱ. 독서와 인간 존재 ... 592
Ⅲ. 삶의 창조와 독서 효과 ... 596
1. 발상의 전환과 독서 ... 596
2. 삶의 태도와 독서 ... 599
Ⅳ. 삶의 창조와 독서 방법 ... 604
1. 무엇을 읽을 것인가. ... 604
2. 어떻게 읽을 것인가 ... 606
Ⅴ. 독서교육과 국어교육 ... 610
Ⅵ. 결어 ... 612
부록
[1] 龍飛御天歌 ... 617
[2] 俗談 속의 동물 ... 646
찾아보기 ... 66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