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김승옥 소설과 근대성 담론
Ⅰ. 서론 ... 13
1. 연구 목적 및 방법 ... 13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 16
Ⅱ. 인물의 근대 인식과 대응 양상 ... 24
1. 전쟁 체험과 대응 양상 ... 24
1) 외적 폭력성과 '자기 세계' ... 25
2) '자기 세계'와 현실 인식 ... 37
2. 근대적 일상성과 소외 ... 41
1) 도시 체험과 고향 상실 ... 42
2) 도시적 삶의 논리와 사물화 ... 46
3) 근대 사회의 제도성 ... 56
4)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 61
Ⅲ. 서술 상황에서 나타나는 미적 근대성 ... 68
1. 통사구조의 특성 ... 69
1) 겹문장의 활용과 인식의 복합성 ... 69
2) 어절의 확장과 일탈적 언술 ... 73
3) 의문문의 활용과 심리 표출 ... 77
2. 이미져리 구조의 특성 ... 81
1) 연쇄적 이미져리와 정서의 감각화 ... 81
2) 대립적 이미져리와 이원적 상징 구도 ... 83
3) 파편적 이미져리와 탈유기성 ... 89
3. 시·공간 구조의 특성 ... 93
1) 시간 구조의 유형과 특성 ... 94
(1) 직선적 시간과 전망의 상실 ... 95
(2) 역전적 시간과 전망의 부재 ... 100
(3) 순환적 시간과 전망의 거부 ... 111
(4) 무시간과 시간의 해체 ... 115
2) 공간 구조의 유형과 특성 ... 120
(1) 대립적 공간의 상징적 구도 ... 121
(2) 다층적 공간의 입체적 구조 미학 ... 125
4. 화자의 특성 ... 130
1) 유·소년 화자와 가치 중립성 ... 132
2) 성년 화자와 이념적 비정향성 ... 136
3) 동종 이야기 화자의 변용 ... 140
Ⅳ. 결론 ... 147
제2부 한국 소설과 소외 의식
1. 이호철 소설과 소외 의식 ... 159
Ⅰ. 서론 ... 159
Ⅱ. 본론 ... 161
1. 분단 상황과 소외 ... 161
1) 전란 상황과 소외 ... 161
2) 고향 상실과 소외 ... 171
3) 전망의 부재와 소외 ... 182
2. 정치·경제적 상황과 소외 ... 192
1) 정치적 억압과 소외 ... 192
2) 자본주의적 질서와 소외 ... 203
3. 극복 양식 ... 217
1) 분단의 쟁점 부각 ... 217
2) 분단 극복을 위한 화해 의식 ... 226
3) 건전한 시민 의식 ... 231
Ⅲ. 결론 ... 238
2. 최수철 소설의 언어적 병리학 - 〈말(馬)처럼 뛰는 말(言)〉을 중심으로 - ... 247
Ⅰ. 서론 ... 247
Ⅱ. 본론 ... 248
1. '랑그'(langue)와 '담론'(discourse) ... 248
2. '담론'(discourse)의 사회적 의미 ... 251
3. '담론 장애'와 소외 ... 253
4. '언어적 담론'과 '육체적 담론' ... 257
Ⅲ. 결론 ... 265
3.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예술관 연구 - 예술가의 소외와 예술의 진정성 - ... 271
Ⅰ. 서론 ... 271
Ⅱ. 본론 ... 274
1. 예술창작 과정의 제문제 ... 274
1) 대상에 있어 추상과 현실의 문제 ... 274
2) 에술창작의 현재성과 미래성 ... 278
3) 에술행위와 대상의 거리(距離) ... 281
2. 예술의 본질 ... 284
1) 예술행위의 자유와 초월성 ... 284
2) 예술의 法式과 미적 완전성 ... 291
3) 예술의 미적 자율성과 물신성 ... 295
4) 藝와 藝의 공간의 파괴 ... 300
Ⅲ. 결론 ... 304
찾아보기 ... 30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