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5
A. 연구 목적과 연구 의의 ... 19
B. 자료 개관 및 기존의 연구 ... 23
Ⅱ. <B><FONT color ... #0000
A. 記文의 著作背景 ... 33
B. 기문저작의 동기 ... 37
1. 청탁에 대한 能文人의 자부심 ... 38
2. 산수유람의 풍조와 樓亭, 書院의 증가 ... 41
3. 老年의 臥遊 목적 ... 44
Ⅲ. 사림기문의 유형분류와 서술상의 특색 ... 47
1. 山水, 山水遊記類의 산수유람관과 산수미의 서술 ... 49
2. 樓亭記類의 命名之說과 空間의 묘사 ... 88
3. 官해, 公廳記類의 能文의 顯示 ... 107
4. 鄕校, 書院記, (書堂記, 書齋記)類의 교술적 권계의식 ... 114
5. 其他類의 동기자 찬미와 서사적 假託 ... 151
Ⅳ. <B><FONT color ... #0000
1. 近畿士林의 言官意識 ... 162
2. 嶺南士林의 修己意識 ... 172
3. 湖南士林의 興趣意識 ... 179
Ⅴ. <B><FONT color ... #0000
A. 심성수양과 도체궁구의 관물공간 ... 195
1. 遊息과 이神養性의 공간 ... 195
2. 四序의 변화와 宇宙循環 이치의 體得空間 ... 202
3. 盈虛消息의 변환과 理氣體의 체득공간 ... 209
4. 存天理, 去人欲에 의한 平淡空間 ... 211
B. 儒家的 牧民意識의 발휘공간 ... 214
1. 觀風敎化와 使命外交의 空間 ... 214
2. 興廢治亂의 鑑戒的 空間 ... 220
C. 方外的 超越과 解鬱의 創作空間 ... 228
1. 時間과 空間槪念의 극대화 ... 230
2. 文氣學習의 創作空間 ... 238
Ⅵ. <B><FONT color ... #0000
A. 諸經典의 차용양상과 그 의미 ... 255
1. 산수, 산수유기류와 누정기류의『孟子』와『詩經』의 차용 ... 256
2. 누정기류의『春秋』, 『周易』의 차용 ... 264
3. 관해, 공청기류(官해, 公廳記類, 祠堂記類)와 『書經』, 『論語』의 차용 ... 269
4. 향교, 서원기(서재기)류의『論語』, 『孟子』와 性理書의 차용 ... 273
B. 情感의 절제와 朱子文學觀의 수용 ... 286
1. 五倫의 重視와 小學의 勸學 ... 297
2. 性理書의 학습과 보급중시 ... 305
3. 朱子文學觀의 受容 ... 307
Ⅶ. 결론 ... 333
참고문헌 및 논저 목록 ... 337
ABSTRACT ... 344
中文摘要 ... 350
찾아보기 ... 35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