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의 서문 ... 5
한국어판 엮은이 서문 ... 11
머리말 ... 13
엮은이 서문 ... 19
감사의 글 ... 23
제1장 사회 역학의 역사 ... 33
1. 사회 역학의 기본개념 ... 38
2. 인구집단적 관점 ... 39
3. 행동의 사회적 맥락(The Social Context of Behavior) ... 40
4. 맥락적 다수준분석(Contextual Multilevel Analysis) ... 41
5. 발달과 생애과정관점 ... 42
6. 질병에 대한 일반적 감수성 ... 43
7. 결론 ... 44
제2장 사회경제적 지위 ... 47
1. 사회학적 배경 ... 49
2. 사회경제적 지위의 측정 ... 53
3.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 틀의 구성 요소 ... 56
4. 교육, 직업, 소득을 넘어서 ... 58
5. 근린(neighborhood)과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지위 ... 68
6. 결론 ... 69
제3장 차별과 건강 ... 71
1. 미국에서의 차별 : 정의와 유형 ... 74
2. 인구집단 건강에 대한 차별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한 측정 ... 80
3. 어떻게 차별이 건강에 해를 주는가? ... 100
4. 밀접한 연관(intimate connections) : 역학과 우리 몸, 몸의 정치의 진실 ... 107
제4장 소득불평등과 건강 ... 109
1. 소득불평등과 건강의 연관성 : 이론과 증거 ... 110
2. 소득분포와 건강의 연관성 연구에 대한 비판 ... 117
3. 소득불평등이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 : 소득분포와 건강관련 이론 ... 124
4. 연구를 위한 주요과제 ... 127
5. 결론 ... 131
제5장 작업조건과 건강 ... 133
1. 모형의 개념적·이론적 발전 : 역사적 배경 ... 133
제6장 실업과 퇴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161
1. 실직 관련 연구에서의 개념적·방법론적 문제들 ... 162
2. 생태학적 분석과 경기변동 분석에 대한 소고(小考) ... 166
3. 사망에 대한 실업의 영향 ... 168
4. 신체적 질환(physical morbidity)에 대한 실업의 영향 ... 170
5. 생물학적 위험요인, 행동위험요인에 대한 실업의 영향 ... 172
6. 정신건강과 안녕에 대한 실업의 영향 ... 175
7. 직업 불안정성과 실직 위협의 영향 ... 178
8. 퇴직의 영향에 대한 소고(小考) ... 179
9. 실업의 영향에 대한 맺음말 ... 181
제7장 사회통합, 사회네트워크, 사회적 지지와 건강 ... 183
1. 이론적 동향 ... 184
2. 사회네트워크와 건강을 연결하는 개념적 모형 ... 191
3. 사회통합, 사회네트워크, 사회적 지지의 평가 ... 210
4. 사회네트워크와 사망, 상병, 장애 ... 215
5. 결론 ... 225
제8장 사회응집력, 사회적 자본과 건강 ... 227
1.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힘(social force)에 대한 탐색 ... 227
2. 사회응집력과 사회적 자본 ... 228
3.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와 개인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 232
4. 사회적 자본과 건강을 잇는 기전 ... 241
5. 사회적 자본의 정의와 개념과 관련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들 ... 244
6. 사회적 자본에 대한 접근성 ... 246
7.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어떤 활동을 할 수 있을까? ... 247
제9장 우울증과 신체질환 ... 249
1. 우울증의 정의 ... 249
2. 우울증과 신체질환의 관계 ... 251
3. 관상동맥질환에 동반된 우울증의 역학 ... 253
4. 우울증의 역효과 ... 256
5. 심장사건과 연관된 우울증의 특성 ... 258
6. 어떤 사람이 우울해지는가? ... 261
7. 우울증, 죽상경화 그리고 심장병의 최종결과 ... 262
8. 기전 ... 262
9. 기전들의 상호작용 ... 267
10. 우울증을 치료하면 관상동맥질환의 이환과 사망이 감소할 것인가? ... 268
11. 결론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 271
제10장 정동상태와 건강 ... 273
1. 정서와 사회적 맥락 ... 273
2. 정서와 건강 : 약사(略史) ... 274
3. 스트레스와 정서의 감별 ... 275
4. 정서이론 : 개관 ... 277
5. 정서와 건강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접근 ... 279
6. 정서와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역학적 증거 ... 283
7. 정서와 암(癌) ... 291
8. 정서와 감기 ... 292
9. 정서와 기타 건강결과들 ... 293
10. 정서 - 건강연구에서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 ... 294
11. 결론 ... 301
제11장 사회적 맥락에서의 건강행동 ... 303
1. 위험요인의 유병률 ... 304
2. 소득과 인종, 민족에 따른 위험의 불균형 : 위험군(risk pocket), 위험요인의 유병률 ... 305
3. 건강행동의 변화를 위한 보건사업 ... 306
4. 건강행동변화 연구의 이론적 문제들 ... 314
5. 사회생태적 모형 ... 315
6. 건강행동의 사회적 맥락을 대상으로 하는 보건사업 ... 319
7. 결론 ... 327
제12장 사회심리적 중재 ... 329
1. 사회심리적 중재란 무엇인가? ... 331
2. 사회심리적 중재의 유형 ... 332
3. 제안 1 : 이론을 분명히 하라 ... 349
4. 제안 2 : 구체적인 사회심리적 기전을 목표로 하라 ... 354
5. 제안 3 : 적절한 건강 혹은 기능결과를 찾아내라 ... 357
6. 제안 4 : 좋은 설계방법을 선택하라 ... 358
7. 요약 ... 366
8. 결론과 앞으로의 연구방향 ... 367
제13장 새로운 사회생물학을 향하여 ... 371
1. 이론적 틀 ... 372
2. 초기 생애 가설 ... 374
3. 생애과정관점 ... 375
4. 연구방법 ... 376
5. 건강 불평등의 사회적·심리적 요인들 ... 379
6. 신경내분비 경로 ... 382
7. 화이트홀 연구에서 얻은 증거 ... 391
8. 결론 ... 398
제14장 생태학적 접근 : 물리적·사회적 환경의 역할 재발견 ... 399
1. 생태학적 오류 ... 399
2. 생태학적 오류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된 지나친 일반화 ... 401
3. 개념, 방법 그리고 수준의 혼동 ... 403
4. 지역분석에 대한 관심의 부활 ... 405
5. 구성적(compositional) 설명과 맥락적(contextual) 설명 ... 408
6. 지역격차에 대한 설명 ... 413
제15장 사회적 결정요인의 이해를 위한 다수준 접근 ... 419
1. 서론 ... 420
2. 모형 ... 425
3. 수준의 통합 ... 429
4. 결론 ... 442
제16장 보건의료 및 사회정책 ... 445
1. 이 장에서 논의할 문제들을 성공적으로 다루기 위해서 필요한 일들 ... 447
2. 차이 만들기 ... 452
3. 결론 ... 459
4. 용어해설 ... 460
참고문헌 ... 467
찾아보기 ... 54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