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1
제1장 생활사 연구와 고문서 ... 25
1. 고문서의 사료적 가치 ... 26
2. 의성김씨 고문서의 구성 ... 27
3. 연구의 목적과 방법 ... 28
제2장 종족조직과 생활문화 ... 31
1. 양반으로서의 의성김씨 ... 32
2. 천전파의 형성과 분파과정 ... 33
1) 지역적 분포 ... 33
2) 종족형성 및 분파의 과정 ... 37
3) 종족형성과 분절의 원리 ... 51
3. 종족의 운영체제 ... 59
1) 종손과 종가의 지위 ... 59
2) 문중회의와 문장 ... 62
3) 소 ... 63
4. 종족의 재생산과 양반문화 ... 67
1) 과거급제와 관직 ... 67
2) 학문적 성취와 문집간행 ... 70
3) 문화경관 ... 71
4) 혼인과 사회적 연망 ... 75
5) 경제적 기반 ... 82
6) 보종과 입양 ... 86
7) 조상숭배와 제사 ... 90
5. 명문사족으로 남는 길 ... 94
제3장 가계계승의 다양성과 '종족전략' ... 103
1. 가계계승의 과정 ... 106
1) 적장자의 가계계승 ... 107
2) 양자의 가계계승 ... 110
2. 가계계승을 위한 종족전략 ... 133
3. 가계계승과정의 다양성 ... 136
제4장 의성김씨가 가족의 변화 ... 139
1. 가족변동에 대한 이해 ... 140
2. 의성김씨 각파의 가족구조의 변화 ... 142
1) 제1파 약봉 김극일의 후손(가) ... 142
2) 제1파 약봉 김극일의 후손(나) ... 143
3) 제1파 약봉 김극일의 후손(다) ... 148
4) 제1파 약봉 김극일의 후손(라) ... 151
5) 제2파 귀봉 김수일의 후손 ... 152
6) 제3파 운암 김명일의 후손(가) ... 163
7) 제3파 운암 김명일의 후손(나) ... 169
8) 제4파 학봉 김성일의 후손(가) ... 180
9) 제4파 학봉 김성일의 후손(나) ... 193
10) 제5파 남악 김복일의 후손(가) ... 198
11) 제5파 남악 김복일의 후손(나) ... 201
12) 제5파 남악 김복일의 후손(다) ... 202
3. 호적을 이용한 가족분석의 한계 ... 205
제5장 분재기를 통해 본 여성 재산상속권의 변화 ... 207
1. 재산상속의 원칙과 변화 ... 208
2. 자료에 대하여 ... 209
3. 여성 분재권의 변화 ... 213
4. 종법의식의 이념과 실제 ... 241
5. 여성의 지위와 종법사상의 관계 ... 265
제6장 관계의 망과 문화공동체 ... 267
1. 지방사회의 권력구조와 문화체계 형성 ... 268
2. 몇 가지 개념 ... 270
1) 통문과 공론 ... 270
2) '바깥출입'과 초종족적 연망 ... 274
3) 사회문화적 자원으로서의 서원 ... 276
3. 통문의 분석 ... 282
1) 서원 제향운동 ... 283
2) 학맥과 문중관계 ... 293
3) 동문 사이의 내부경쟁 ... 295
4) 송덕비 건립 ... 298
5) 문중간의 계회 ... 299
6) 유동적인 양반의 운명 ... 307
7) 역사 만들기 ... 308
8) 문집간행 ... 310
9) 신원처리 ... 313
4. 안동문화권 연계망의 내적 역동성 ... 318
부록 : 통문 ... 322
제7장 통합과 결속의 문화적 장치 ... 347
1. 종족집단의 통합과 결속 ... 348
2. 완의를 통해 본 사족의 생활세계 ... 354
1) 제사의 확립과 종가의 책임 ... 354
2) 내외손의 윤리적 의무와 결속 ... 359
3) 제사의 종류와 규범 만들기 ... 361
4) 공동재산의 관리 ... 365
5) 조상 찾기와 묘사(墓祀)기금 ... 366
6) 개호송과 종족의 상징 ... 371
7) 학업연마의 다짐 ... 381
8) 문집간행 ... 382
9) 편안하지만은 않은 양반 ... 388
10) 도덕공동체로서의 마을연합 ... 392
3. 문서작성의 정치학 ... 398
부록 : 완의·당약 ... 401
제8장 공정성의 개념과 실천 ... 421
1. 향촌사회의 법생활 ... 422
2. 분쟁해결의 방식 ... 423
1) 재판기구 ... 424
2) 소송의 당사자 ... 425
3) 소송제기 방식 ... 426
4) 소환 ... 426
5) 변론과 증거 ... 427
6) 재판에서 적용되는 법과 리 ... 427
3. 소지의 내용분석 ... 429
1) 강릉 소재 입안지의 추심에 관한 분쟁 : 양반과 궁방·상민간 ... 429
2) 김씨 선산의 소나무를 베고 화전을 일군 분쟁 : 양반과 상민간 ... 437
3) 묘지설치에 관한 분쟁 : 양반과 양반간 ... 442
4) 투장한 묘의 도굴에 관한 분쟁 : 양반과 관노간 ... 447
5) 투장한 묘의 도굴에 관한 분쟁 : 양반과 아전간 ... 450
6) 투장한 묘의 도굴에 관한 분쟁 : 양반과 상민간 ... 455
4. 공정성의 개념과 현실 ... 460
1) 대표적인 불공정 사례 ... 461
2) 반상간 재판에서의 공정성 ... 463
5. 법에 의한 분쟁해결의 방식 ... 464
참고문헌 ... 467
찾아보기 ... 471
머리말 ... 11
제1장 생활사 연구와 고문서 ... 25
1. 고문서의 사료적 가치 ... 26
2. 의성김씨 고문서의 구성 ... 27
3. 연구의 목적과 방법 ... 28
제2장 종족조직과 생활문화 ... 31
1. 양반으로서의 의성김씨 ... 32
2. 천전파의 형성과 분파과정 ... 33
1) 지역적 분포 ... 33
2) 종족형성 및 분파의 과정 ... 37
3) 종족형성과 분절의 원리 ... 51
3. 종족의 운영체제 ... 59
1) 종손과 종가의 지위 ... 59
2) 문중회의와 문장 ... 62
3) 소 ... 63
4. 종족의 재생산과 양반문화 ... 67
1) 과거급제와 관직 ... 67
2) 학문적 성취와 문집간행 ... 70
3) 문화경관 ... 71
4) 혼인과 사회적 연망 ... 75
5) 경제적 기반 ... 82
6) 보종과 입양 ... 86
7) 조상숭배와 제사 ... 90
5. 명문사족으로 남는 길 ... 94
제3장 가계계승의 다양성과 '종족전략' ... 103
1. 가계계승의 과정 ... 106
1) 적장자의 가계계승 ... 107
2) 양자의 가계계승 ... 110
2. 가계계승을 위한 종족전략 ... 133
3. 가계계승과정의 다양성 ... 136
제4장 의성김씨가 가족의 변화 ... 139
1. 가족변동에 대한 이해 ... 140
2. 의성김씨 각파의 가족구조의 변화 ... 142
1) 제1파 약봉 김극일의 후손(가) ... 142
2) 제1파 약봉 김극일의 후손(나) ... 143
3) 제1파 약봉 김극일의 후손(다) ... 148
4) 제1파 약봉 김극일의 후손(라) ... 151
5) 제2파 귀봉 김수일의 후손 ... 152
6) 제3파 운암 김명일의 후손(가) ... 163
7) 제3파 운암 김명일의 후손(나) ... 169
8) 제4파 학봉 김성일의 후손(가) ... 180
9) 제4파 학봉 김성일의 후손(나) ... 193
10) 제5파 남악 김복일의 후손(가) ... 198
11) 제5파 남악 김복일의 후손(나) ... 201
12) 제5파 남악 김복일의 후손(다) ... 202
3. 호적을 이용한 가족분석의 한계 ... 205
제5장 분재기를 통해 본 여성 재산상속권의 변화 ... 207
1. 재산상속의 원칙과 변화 ... 208
2. 자료에 대하여 ... 209
3. 여성 분재권의 변화 ... 213
4. 종법의식의 이념과 실제 ... 241
5. 여성의 지위와 종법사상의 관계 ... 265
제6장 관계의 망과 문화공동체 ... 267
1. 지방사회의 권력구조와 문화체계 형성 ... 268
2. 몇 가지 개념 ... 270
1) 통문과 공론 ... 270
2) '바깥출입'과 초종족적 연망 ... 274
3) 사회문화적 자원으로서의 서원 ... 276
3. 통문의 분석 ... 282
1) 서원 제향운동 ... 283
2) 학맥과 문중관계 ... 293
3) 동문 사이의 내부경쟁 ... 295
4) 송덕비 건립 ... 298
5) 문중간의 계회 ... 299
6) 유동적인 양반의 운명 ... 307
7) 역사 만들기 ... 308
8) 문집간행 ... 310
9) 신원처리 ... 313
4. 안동문화권 연계망의 내적 역동성 ... 318
부록 : 통문 ... 322
제7장 통합과 결속의 문화적 장치 ... 347
1. 종족집단의 통합과 결속 ... 348
2. 완의를 통해 본 사족의 생활세계 ... 354
1) 제사의 확립과 종가의 책임 ... 354
2) 내외손의 윤리적 의무와 결속 ... 359
3) 제사의 종류와 규범 만들기 ... 361
4) 공동재산의 관리 ... 365
5) 조상 찾기와 묘사(墓祀)기금 ... 366
6) 개호송과 종족의 상징 ... 371
7) 학업연마의 다짐 ... 381
8) 문집간행 ... 382
9) 편안하지만은 않은 양반 ... 388
10) 도덕공동체로서의 마을연합 ... 392
3. 문서작성의 정치학 ... 398
부록 : 완의·당약 ... 401
제8장 공정성의 개념과 실천 ... 421
1. 향촌사회의 법생활 ... 422
2. 분쟁해결의 방식 ... 423
1) 재판기구 ... 424
2) 소송의 당사자 ... 425
3) 소송제기 방식 ... 426
4) 소환 ... 426
5) 변론과 증거 ... 427
6) 재판에서 적용되는 법과 리 ... 427
3. 소지의 내용분석 ... 429
1) 강릉 소재 입안지의 추심에 관한 분쟁 : 양반과 궁방·상민간 ... 429
2) 김씨 선산의 소나무를 베고 화전을 일군 분쟁 : 양반과 상민간 ... 437
3) 묘지설치에 관한 분쟁 : 양반과 양반간 ... 442
4) 투장한 묘의 도굴에 관한 분쟁 : 양반과 관노간 ... 447
5) 투장한 묘의 도굴에 관한 분쟁 : 양반과 아전간 ... 450
6) 투장한 묘의 도굴에 관한 분쟁 : 양반과 상민간 ... 455
4. 공정성의 개념과 현실 ... 460
1) 대표적인 불공정 사례 ... 461
2) 반상간 재판에서의 공정성 ... 463
5. 법에 의한 분쟁해결의 방식 ... 464
참고문헌 ... 467
찾아보기 ... 47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