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ⅰ
Ⅰ. 범지구적 문제와 환경 위기 ... 2
1.1. 인구 ... 2
1.2. 빈곤과 불평등 ... 4
1.3. 식량과 농업 ... 6
1.4. 물 ... 8
1.5. 산림 ... 10
1.6. 에너지 ... 11
1.7. 기후변화 ... 14
1.8. 건강과 물 ... 15
1.9. 건강과 대기오염 ... 17
상자글 : 새천년 발전 목표 ... 19
상자글 : 지구문제와 환경위기 참고문헌 ... 23
Ⅱ. 지속가능발전의 태동과 흐름 ... 26
2.1. 지속가능발전의 출현과 변천 ... 26
2.1.1. 스톡홀름 인간 환경 회의 ... 26
2.1.2. 브룬트란트 보고서 : 우리의 공동 미래 ... 26
2.1.3. Agenda 21(의제 21) ... 27
2.1.4. 유엔의 후속회의와 지속가능발전의 변천 ... 28
2.1.5. 지속가능발전의 정의와 범위 ... 30
2.2. 요하네스버그 세계정상회의 ... 32
2.2.1. 요하네스버그 회의의 전반적 동향 ... 32
2.2.2. 정상회의 기조연설 ... 33
2.2.3. 요하네스버그 선언문 ... 35
2.2.4. 이행계획 ... 36
상자글 : 요하네스버그 정상회의 핵심 성과 ... 41
2.3. 제11차 유엔 지속가능발전위원회(UNCSD-11) ... 48
2.3.1. 회의의 개요 ... 48
2.3.2. 회의의 구성 ... 48
2.3.3. 회의의 결과 ... 49
2.3.4. 회의의 평가 ... 51
Ⅲ. 지속가능발전의 전략 ... 54
3.1.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개요 및 계획 ... 54
3.1.1.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필요성 ... 54
3.1.2. 지속가능발전의 일반 원칙 ... 54
3.1.3.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목적 ... 55
3.1.4.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기본방향 ... 56
3.2. 지속가능발전의 부문별 전략 ... 58
3.2.1. 물과 위생 ... 58
3.2.2. 에너지 ... 68
3.2.3. 건강 ... 75
3.2.4. 농업 ... 82
3.2.5. 생물다양성 ... 87
3.2.6. 빈곤 ... 93
상자글 : 빈곤과 지속가능발전 관련 단체 연락처 ... 98
3.2.7. 여성 ... 100
상자글 : 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를 위해 활동한 여성 NGO ... 114
3.2.8. 생태도시 ... 116
Ⅳ. 지속가능발전의 실행 ... 122
4.1. 지방행동 21 ... 122
4.1.1. 지방행동 21의 등장 배경과 개념 정립 ... 122
4.1.2. 지방행동 21의 필요성 및 목적 설정 ... 123
4.1.3. 지방행동 21의 전략 도출 ... 125
4.1.4. 지방행동 21의 실행 방안 ... 126
4.1.5. 지방행동 21의 준거틀 ... 128
상자글 : 지방정부선언문 ... 137
상자글 : 요하네스버그 요청 ... 142
상자글 : 지방행동 21 ... 144
4.2. 파트너십 ... 145
4.2.1. 파트너십의 이해 ... 145
4.2.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파트너십 ... 147
4.2.3. 파트너십의 신청과 절차와 내용 ... 152
상자글 : 한국에서 가능한 파트너십 ... 159
4.2.4. 향후 파트너십의 나아갈 방향 ... 161
Ⅴ.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및 건의 ... 166
5.1. 지속가능발전 관련 국제회의 이후의 전망 ... 166
5.2. WSSD의 결과에 따른 대응방안 및 건의 ... 169
5.2.1. PCSD 차원에서의 대응방안 및 건의 ... 169
5.2.2.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대응방안 및 건의 ... 170
5.2.3.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대응방안 및 건의 ... 170
5.2.4. 이행계획에 대한 국내 대응방안 및 건의 ... 172
5.3. UNCSD-11의 결과에 따른 대응방안 및 건의 ... 173
5.3.1. PCSD 차원에서의 대응방안 및 건의 ... 173
5.3.2. 중앙정부차원에서의 대응방안 및 건의 ... 174
5.3.3. 시민사회차원에서의 대응방안 및 건의 ... 174
5.3.4. 국회차원에서의 대응방안 및 건의 ... 175
상자글 : '지속가능발전법' 만들자 ... 176
상자글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 178
Ⅵ. 사례연구 : 평창 동계올림픽의 그린플랜 ... 182
6.1. Green Plan : 지속가능한 미래의 구축 ... 182
6.1.1. 지속가능발전과 Green Plan ... 182
6.1.2. Green Plan의 개요 ... 184
6.1.3. Green Plan의 구성 ... 186
6.2. 강원도의 주요 자연환경 ... 188
6.2.1. 일반환경특성 ... 188
6.2.2. 자연환경특성 ... 189
6.3. 대한민국의 지속가능발전 전략 ... 195
6.3.1.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구성과 내용 ... 195
6.3.2.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대한민국의 주요 환경정책 ... 196
6.4. 강원도 차원의 지속가능발전 전략 ... 197
6.4.1. 주요 지속가능발전 전략 ... 197
6.4.2. 강원도의 주요 환경정책 ... 197
6.4.3. 강원의제 21 ... 198
6.4.4. WSSD 이후의 강원의제 21의 방향 ... 199
6.5. 개최도시 차원의 지속가능발전전략 ... 200
6.5.1. 강릉의 지속가능발전전략 및 주요 환경정책 ... 200
6.4.2. 원주의 지속가능발전전략 및 주요 환경정책 ... 204
6.6. 평창의 지속가능발전전략 ... 209
6.6.1. 유치도시 및 입지 선정기준 ... 209
6.6.2. 개최지별 생태적 환경요소 및 경기시설 ... 210
6.7 지속가능성 우선의 2010 평창 동계올림픽 ... 220
6.7.1. 생물다양성 ... 220
6.7.2. 지형·지질 ... 221
6.7.3. 녹지·식생 ... 222
6.7.4. 수질·수자원 ... 223
6.7.5. 대기질(소음)·교통 ... 225
6.7.6. 에너지 ... 227
6.7.7. 폐기물 ... 227
6.7.8. 기타 : 문화유산 등 ... 229
6.8. 2010 평창 동계올림픽 의제 21과 행동 21 ... 231
6.8.1. 의제 21과 WSSD 행동 계획 ... 231
6.8.2. 올림픽 의제 21 ... 232
6.8.3. 2010 평창 동계올림픽 의제 21 ... 232
6.8.4. 2010 평창 동계올림픽 행동 21 ... 237
6.8.5. 모니터링과 환경이행지표 ... 240
찾아보기 ... 246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