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남북 이산가족 문제의 사회과학적 연구를 제창한다 ... 5
제1장 이산가족 연구 현황
1. '이산가족' 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22
2. 이산가족 연구 현황 ... 26
1) 제1기 : 이산가족 연구의 여명기(해방과 분단 이후 1980년대) ... 26
2) 제2기 : 물꼬 터진 이산가족 연구(1990년대) ... 31
3) 제3기 : 본 궤도에 오른 이산가족 연구(2000년 이후) ... 39
3. 이산가족 연구 특징과 한계 ... 46
제2장 이산가족의 범주
1. 누가 이산가족인가 ... 50
2. 이산가족의 범주별 분류 ... 55
1) 월남·월북인 ... 56
2) 피납치인 ... 61
3) 미송환 포로 ... 65
4) 미귀환 공작원 ... 68
5) 해외이산가족 ... 70
제3장 이산가족 연구방법론 : 구술사
1. 왜 지역조사와 구술사 방법론인가 ... 75
1) 우연과 필연으로 점철된 지역조사 ... 75
2) 구술사 방법론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 78
2. 예비단계 ... 88
1) 사전조사 ... 88
2) 사전답사 후 준비단계 ... 90
3) 지역 정착 후 준비단계 ... 91
3. 본조사 착수 ... 92
1) 누구와 면접할 것인가 ... 94
2) 면접장소의 결정 ... 97
3) 면접시간 결정 ... 98
4) 면접과정과 내용 ... 99
5) 질문하기 ... 101
6) 구술자에게 특정 지명이나 인명, 건물구조 등의 기록 부탁 ... 102
7) 연구일기의 작성 ... 102
8) 참여관찰자의 위치 ... 103
4. 조사의 원칙과 갈등 ... 105
1) 전문가 윤리 ... 105
2) 불일치 문제 ... 109
3) 친숙함과 낯설음 ... 110
5. 구술사 방법론과 다른 방법론의 관련 ... 111
6.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며 ... 112
제4장 북에서는 이산가족 문제를 어떻게 인식해왔는가
1. 월남 이산가족 인식과 정책 ... 118
2. 월북인 인식과 정책 ... 129
3. 진정한 인도적 접근을 위하여 ... 137
제5장 우리는 반공전사가 아니다 - 아래로부터 반공이데올로기 허물기
1. 반공이데올로기의 성립과 해체 ... 141
2. 신화로 남은 월남인 통념 ... 145
3. 사상누각 위에 세워진 통념 ... 150
1) 중상층·엘리트층 통념 ... 150
2) 7 : 3 통념 ... 154
3) 정치·사상적 월남동기 통념 ... 157
4) 군복무 통념 ... 160
5) 권토중래 통념 ... 163
4. 월남인의 이원화된 정체성 함의 ... 165
제6장 월북인 유가족의 반공적 억압과 '월북'의 의미체계
1. 월북에 나타난 금기의 의미체계 ... 170
2. 월북과 월북인 유가족에 대한 개념적 이해 ... 172
1) 월북 ... 172
2) 월북인 유가족 ... 175
3. 월북인 유가족의 기억의 서사구조 ... 177
1) 심층면접의 전개과정에 나타난 특성 ... 177
2) 월북 형태와 시기에 대한 기억 ... 179
3) 월북인에 대한 기억의 서사구조 ... 186
4) 망각의 방식 : 최명연의 사례 ... 190
4. 국가권력에 대한 경험과 대응방식 ... 197
1) 대한민국정부 수립 후 월북인 유가족들의 경험 ... 197
2) 전쟁 초기의 경험 : '세상이 바뀌었다'의 상반된 의미 ... 200
3) 전후 일상생활의 제약과 피해경험 ... 202
4) 월북인 유가족의 대응방식 ... 208
5. 금기의 상징화와 폭력적 질서 ... 210
제7장 월남인의 고향 - 서울 '해방촌'(용산2가동)의 형성과 해체
1. 해방촌의 형성과 변천 ... 215
1) 해방촌의 역사 ... 215
2) 해방촌 구성원의 변화와 직업 ... 221
2. 해방촌의 공동체와 정체성 ... 228
1) 관의 정책부재와 해방촌의 '지연공동체' ... 228
2) 교회를 중심으로 한 '종교공동체' ... 232
3)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공동체' ... 238
4) 공동체를 통해 본 해방촌의 정체성 ... 244
3. 화석화된 월남인 정착촌 : '해방촌' ... 248
제8장 전쟁과 공간, 인간의 사회학적 만남 - 속초 월남민공동체를 중심으로
1. 속초의 변모된 사회적 성격 ... 253
1) 한국전쟁 이전 ... 254
2) 한국전쟁 이후 ... 256
2. 속초의 공간적 성격변모 요인 ... 261
1) 거시구조적 요인 - 군정체제 ... 262
2) 미시행위적 요인 ... 267
3) 제3의 요인 : 토박이의 사회문화적 쇠퇴 ... 271
3. '실향민의 고향'을 넘어서 ... 274
맺음말 :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꿈꾸며 ... 277
참고문헌 ... 283
찾아보기 ... 30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