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 7 일러두기 ... 12 서론 : 사회와 이데올로기 ... 13 조선 후기의 사회상 ... 17 유교의 전래 ... 29 신유학의 초기 형성 ... 37 변화의 이데올로기로서의 신유학 ... 42 제1장 신유학 수용 전의 과거 ... 47 친족과 출계 ... 55 계승과 상속 ... 69 고려시대 혼인의 사회 정치적 측면 ... 89 고려시대 혼인의 제도적 측면 ... 101 상장례 ... 114 결론 : 다시 생각해 본 고려 사회 ... 122 제2장 신유학 ... 135 조선 왕조 건국 세력의 등장 ... 139 신흥 엘리트의 지적 형성 ... 148 고려 사회의 해체와 불교 문제 ... 153 새로운 사회 모델의 모색 ... 158 사회의 재편 ... 160 신유학자의 연구 전거와 제도 ... 164 고대 모델의 타당성 ... 173 동화와 갈등 ... 179 엘리트주의와 이데올로기 ... 184 제3장 종법과 제사 ... 187 신유학의 사회관 ... 188 제사의 도입 ... 193 종법 개념의 초기 형태 ... 195 승중(承重)과 제사 ... 199 제사와 서얼들 ... 213 제사와 여성들 ... 219 외손 봉사 ... 226 족보 : 출계 집단의 도해 ... 229 조상 의례의 경제적 측면 ... 234 조상 의례의 제도적 측면 ... 237 예서 ... 241 조상 의례의 종교적 측면 ... 244 장자 중심 제사의 정착 ... 246 제4장 상장례 ... 251 상례 개정의 전주곡 ... 253 오복제도의 변화 ... 254 의례적 측면 ... 268 장례식과 풍수지리 ... 275 제5장 상속 ... 283 국가와 사유재산 ... 284 종법과 상속 ... 289 상속에 영향을 미치는 유언과 규정 ... 298 상속과 여성 ... 306 장자 상속제의 정착 ... 310 제6장 유교에 기초를 둔 입법화와 여성에게 일어난 결과 ... 321 처첩의 제도화 ... 322 혼인 규정과 전략 ... 328 유교식 혼례식 ... 338 왕실의 혼례식 ... 341 한국의 혼례식 ... 347 여성에 대한 훈육과 교화 ... 355 시집살이 ... 357 기혼 여성의 법적·의례적 기능 ... 364 첩과 서얼 ... 368 혼인 관계의 해소 ... 375 과부와 재혼 ... 379 변하지 않는 유교적 여성 이미지 ... 384 결론 : 종족사회의 출현 ... 387 참고문헌 ... 417 부록1 : 친족 용어 풀이 및 개념 ... 445 부록2 : 나의 책을 말한다 ... 458 부록3 : 마르티나 도힐러의 연구 업적 ... 464 감사의 말 ... 471 역자 후기 ... 474 인명 및 씨족 찾아보기 ... 485 내용 찾아보기 ... 491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 7 일러두기 ... 12 서론 : 사회와 이데올로기 ... 13 조선 후기의 사회상 ... 17 유교의 전래 ... 29 신유학의 초기 형성 ... 37 변화의 이데올로기로서의 신유학 ... 42 제1장 신유학 수용 전의 과거 ... 47 친족과 출계 ... 55 계승과 상속 ... 69 고려시대 혼인의 사회 정치적 측면 ... 89 고려시대 혼인의 제도적 측면 ... 101 상장례 ... 114 결론 : 다시 생각해 본 고려 사회 ... 122 제2장 신유학 ... 135 조선 왕조 건국 세력의 등장 ... 139 신흥 엘리트의 지적 형성 ... 148 고려 사회의 해체와 불교 문제 ... 153 새로운 사회 모델의 모색 ... 158 사회의 재편 ... 160 신유학자의 연구 전거와 제도 ... 164 고대 모델의 타당성 ... 173 동화와 갈등 ... 179 엘리트주의와 이데올로기 ... 184 제3장 종법과 제사 ... 187 신유학의 사회관 ... 188 제사의 도입 ... 193 종법 개념의 초기 형태 ... 195 승중(承重)과 제사 ... 199 제사와 서얼들 ... 213 제사와 여성들 ... 219 외손 봉사 ... 226 족보 : 출계 집단의 도해 ... 229 조상 의례의 경제적 측면 ... 234 조상 의례의 제도적 측면 ... 237 예서 ... 241 조상 의례의 종교적 측면 ... 244 장자 중심 제사의 정착 ... 246 제4장 상장례 ... 251 상례 개정의 전주곡 ... 253 오복제도의 변화 ... 254 의례적 측면 ... 268 장례식과 풍수지리 ... 275 제5장 상속 ... 283 국가와 사유재산 ... 284 종법과 상속 ... 289 상속에 영향을 미치는 유언과 규정 ... 298 상속과 여성 ... 306 장자 상속제의 정착 ... 310 제6장 유교에 기초를 둔 입법화와 여성에게 일어난 결과 ... 321 처첩의 제도화 ... 322 혼인 규정과 전략 ... 328 유교식 혼례식 ... 338 왕실의 혼례식 ... 341 한국의 혼례식 ... 347 여성에 대한 훈육과 교화 ... 355 시집살이 ... 357 기혼 여성의 법적·의례적 기능 ... 364 첩과 서얼 ... 368 혼인 관계의 해소 ... 375 과부와 재혼 ... 379 변하지 않는 유교적 여성 이미지 ... 384 결론 : 종족사회의 출현 ... 387 참고문헌 ... 417 부록1 : 친족 용어 풀이 및 개념 ... 445 부록2 : 나의 책을 말한다 ... 458 부록3 : 마르티나 도힐러의 연구 업적 ... 464 감사의 말 ... 471 역자 후기 ... 474 인명 및 씨족 찾아보기 ... 485 내용 찾아보기 ... 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