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도시와 사회학
제1장 도시의 사회학 ... 17
1. 도시사회학의 의의 ... 17
2. 사회학에서 도시와 도시의 사회학 ... 19
1) 사회학 교과서에서 '도시' ... 19
2) 공동체로서 도시 ... 20
3) 도시주의로서 도시 ... 23
4) 도시사회학의 관심영역과 발전 ... 26
제2장 도시의 생성구조와 미래 ... 32
1. 도시의 생성 역사 ... 32
1) 도시생성의 의미 ... 32
2) 도시생성의 두 역사적 계기 - 농업혁명과 산업혁명 ... 32
3) 시민계급을 통한 근대도시의 형성 ... 34
4) 한국 도시생성의 특이성 ... 34
2. 도시의 기능과 구조 ... 36
1) 도시의 기능 ... 36
2) 도시의 물리공간적 구조 ... 37
3) 도시의 사회문화적 구조 ... 38
4) 한국 도시의 구조 ... 39
3. 도시의 변화와 미래 ... 40
1) 도시변화의 요인과 양상 ... 40
2) 미래사회와 도시의 미래 ... 41
3) 미래의 도시 ... 42
4) 한국 도시의 변화와 미래 ... 45
제2부 사회이론과 도시
제3장 고전이론가들의 도시론 ... 49
1. 서론 ... 49
2. 마르크스의 도시론 :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 구축되는 장으로서의 도시 ... 51
1) 방법론 ... 51
2) 도시론 ... 54
3. 베버의 도시론 : 근대적인 인간관계와 합리성이 구현되는 장으로서 도시 ... 57
1) 방법론 ... 57
2) 도시론 ... 59
4. 뒤르켐의 도시론 : 기계적 연대에서 유기적 연대로 사회결속이 변환되는 장으로서 도시 ... 62
1) 방법론 ... 62
2) 도시론 ... 65
5. 결론 ... 68
1) 비교와 공통적인 특성 ... 68
2) 한국적 적용함의 ... 69
제4장 생태주의 도시론 ... 72
1. 서론 : 시카고학파와 도시생태학의 등장 ... 72
2. 생태적 공동체로서 도시 : 인간생태학과 도시론 ... 73
1) 고전생태학 ... 73
2) 전후의 도시생태학 ... 82
3) 도시이론으로서 도시행태학의 한계 ... 87
3. 문화적 양식으로서 도시 ... 87
1) 배경 ... 87
2) 짐멜의 대도시와 정신생활 ... 88
3) 워스의 삶의 방식으로서 도시(와 농촌) ... 93
4) 정리 : 요점과 한국적 적용함의 ... 99
제5장 신베버주의 도시론 ... 101
1. 신도시사회학의 등장과 도시관리주의 ... 101
1) 신도시사회학의 등장배경 ... 101
2) 신베버주의 이론으로서 도시관리주의 ... 102
2. 렉스와 무어의 도시사회체제론 : 도시체계, 주택접근과 투쟁 ... 104
1) 생태주의 시각에서 베버주의 시각으로 ... 104
2) 일원적 신분 - 가치체제로서 도시와 도시의 계층 ... 105
3) 도시사회과정의 본질로서 주택의 배분과 갈등 ... 106
4) 렉스와 무어 이론의 중요성 ... 108
3. 팔의 관리주의 도시론 ... 108
1) '보상분배체계'로서 도시와 도시사회학의 쟁점 ... 108
2) 도시관리주의의 쟁점과 확대 ... 111
4. 손더스의 소비주의 도시론 ... 119
1) 배경 ... 199
2) 비공간적 도시사회학이론과 소비의 사회학 ... 120
3) 이중국가론과 소비주의 도시이론 ... 121
4) 손더스이론의 영향 ... 122
5. 비판과 한계 ... 123
6. 요약 및 적용함의 ... 125
제6장 신마르크스주의 도시론 ... 128
1. 배경 ... 128
2. 이데올로기로서 도시 : 르페브르의 (도시)공간생산론 ... 129
1)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로서 르페브르 ... 129
2) 르페브르의 도시관 ... 130
3. 노동력 재생산의 장으로서 도시 : 카스텔의 집합적 소비론 ... 133
1) 도시에 대한 구조주의적 인식 ... 133
2) 사회구성체와 도시체계 ... 137
3) 집합적 소비로서 도시론의 가능성과 한계 ... 139
4. 자본축적의 장으로서 도시 : 하비의 건조환경론 ... 143
1) 하비의 도시공간관 : 도시공간의 정치경제학적 이해 ... 143
2) 건조환경으로서 도시 ... 145
3) 건조환경의 형성 기제와 한계 ... 149
5. 정치경제학적 도시론의 적용함의 : 카스텔과 하비의 이론을 중심으로 ... 152
제7장 포스트모던 도시론 ... 156
1. 머리말 ... 156
2. 포스트모던 도래 : 시대, 지식, 사회과학 ... 158
1) 포스트모던 시대 : 급진적 성찰(radical reflexity)의 시대 ... 158
2) 포스트모던 지식 ... 164
3) 포스트모던 사회과학 ... 168
3. 포스트모던 전망으로서 도시 : 포스트모던 공간론 ... 170
1) 포스트모던 전망으로서 도시 ... 170
2) 구조주의 공간의 해체 : 개체, 차별, 지방의 공간성에 대한 주목 ... 171
3) 포스트모던 공간의 구성 : 개체의 공간으로부터 도시의 공간으로까지 ... 172
4) 포스트모던 도시공간의 구성 ... 174
4. 포스트모던 현실로서 도시 : 포스트모던 도시의 경제와 문화 ... 176
1) 포스트모던 도시의 실재 ... 176
2) 포스트모던 도시화 ... 177
3) 포스트모던 도시의 유연적 구성 ... 183
5. 포스트모던 실천으로서 도시 : 포스트모던 도시의 주체, 계급, 정치 ... 184
1) 포스트모던 실천으로서 도시 ... 184
2) 포스트모던 도시의 주체 ... 185
3) 포스트모던 도시의 계급과 불평등 구조 ... 187
4) 도시정치 ... 189
6. 포스트모던 도시론의 정식화와 한계 ... 191
1) 모던 도시이론 대 포스트모던 도시론 ... 191
2) 포스트모던 도시론의 패러다임적 성격 ... 194
3) 포스트모던 도시론의 한계와 비판 ... 197
7. 맺음말 : 한국의 포스트모던 도시사회론을 위해 ... 200
제8장 근대성과 도시 ... 206
1. 서론 ... 206
2. 근대성의 재조명 ... 208
1) 보편성으로서 근대성과 특수성으로서 근대성 ... 209
2) 근대성의 형성 : 근대성의 제도화 ... 211
3) 근대성의 명암 : 계몽의 변증법 ... 213
4) 근대성과 탈근대성의 대립을 넘어서 : 성찰적 근대성(reflexive modernity) ... 214
3. 근대성의 도시, 도시의 근대성 ... 216
1) 근대성의 도시 ... 216
2) 도시의 근대성 ... 218
3) (탈)근대도시의 탈인간주의 ... 220
4. (탈)근대도시론 ... 221
1) 근대성과 도시론 ... 222
2) 탈근대도시론의 가능성과 한계 ... 225
5. 한국의 근대성과 도시(론) ... 228
1) 특수성으로서 한국의 근대성 ... 228
2) 한국의 도시적 근대성 ... 231
3) 'Schizophrenic Modernity'와 도시의 탈인간주의 ... 233
4) 한국의 도시(담)론 : 성찰과 전망 ... 236
6. 맺음말 : '인간주의 도시론'을 위해 ... 238
제9장 탈산업도시의 구성과 미래 ... 243
1. 문제제기 ... 243
2. 탈산업도시론 : 검토와 재인식 ... 244
1) 탈산업화(혹은 탈산업사회)론의 전개 ... 244
2) 탈산업도시론의 내용 ... 246
3) 탈산업도시의 재인식 : 탈산업화의 정치경제(학)적 이해 ... 248
3. 탈산업도시의 구성 ... 250
1) 산업적 구성 ... 250
2) 사회관계적 구성 ... 252
3) 정치적 구성 ... 254
4) 공간적 구성 ... 256
5) 탈산업도시의 문제 : 도시적 삶의 해체 문제 ... 257
4. 서울의 탈산업화와 도시구성 ... 259
1) 서울의 탈산업화 ... 259
2) 유연적 도시로서 서울의 새로운 패러다임 ... 263
5. 탈산업도시의 미래 ... 263
1) 도시산업구조의 미래 ... 263
2) 탈산업도시의 미래 ... 265
6. 맺음말 ... 266
제3부 서울의 도시사회학
제10장 지역으로서 서울 ... 271
1. 사람이 사는 도시, 서울 ... 271
2. 자연과 역사 속의 서울 ... 274
3. 지방이 될 수 없는 서울 : 수도로서 지역성의 형성 ... 277
4. 근대화의 텃밭으로서 서울 ... 282
5. 메트로폴리탄 서울의 일상과 문화 ... 287
6. 지역으로서 서울의 미래 : 서울의 광역화 ... 293
제11장 서울의 정치경제학적 연구방법론 ... 296
1. 새로운 '서울 연구방법론'의 필요 ... 296
2. '서울문제(the Seoul Question)'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지식론적 조건 ... 298
1) 기존 서울론의 비판 : 공간분리적 사고와 권력화된 담론의 비판 ... 298
2) 서구 도시사회이론의 비판적 재구성 ... 300
3) 실재론적(realist) 이해와 실천(praxis)적 지향 ... 302
3. 정치경제학적 도시연구방법론 ... 304
1) 정치경제학적 도시연구 방법의 특성 ... 305
2) 정치경제학적 도시연구방법의 원칙들 ... 307
4. 정치경제학적 서울연구 틀의 구성 ... 313
5. 현단계 한국 자본주의와 서울 : 서울연구의 과제 ... 320
제12장 서울의 포스트모던 도시성 ... 338
1. 들어가는 말 ... 338
2. 모던 도시이론의 한계와 도시공간이론의 재구성 ... 339
1) 문제의식 : 도시의 딜레마와 포스트모던 도시의 삶 ... 339
2) 모던 도시이론의 한계 ... 341
3) 도시공간이론의 재구성 : 논의의 틀을 위해 ... 342
3. 서울의 재구조화 : 유연적 축적의 도시화와 새로운 도시사회구조 ... 346
1) 메트로폴리탄을 통한 유연적 축적 : 네트워크화, 서비스화, 중산층화 ... 346
2) 유연적 축적의 사회적 과정 : 분극적 사회구조의 출현 ... 349
3) 도시의 새로운 지배양식 : 문화적 담론과 자본지향적 도시정치 ... 351
4. 서울의 삶 : 탈코드화된 주체, 공간의 소비, 생활세계의 분열 ... 354
1) 대도시 생태환경, 유연적 축적, 탈코드화된 주체 ... 354
2) '공간의 소비'로서 일상생활 : 유연적 생활방식? ... 356
3) 생활공간의 계층별 분화와 생활세계의 식민지화 ... 358
5. 서울의 새로운 도시성과 공간적 실천 ... 361
1) 유연적 축적과 서울의 도시성 ... 361
2) 공간적 실천 : '서울의 새로운 담론'을 위하여 ... 362
제13장 대도시 발전의 딜레마와 전망 ... 370
1. 서론 ... 370
2. 대도시의 새로운 현실 : 전환기적 딜레마? ... 371
1) 대도시의 급성장과 새로운 현실 ... 371
2) 대도시 딜레마의 양상 ... 372
3. 발전주의 대도시 딜레마의 연원 : 발전 패러다임간의 긴장 ... 378
1) 발전주의 도시란? ... 378
2) 발전주의(developmentalism) : 근대적 발전 패러다임 ... 379
3) 반발전주의(anti-developmentalism) : 탈근대적 발전 패러다임 ... 380
4) 근대적 발전 패러다임으로부터 탈근대적 발전 패러다임으로 이행 ... 382
5) 발전 패러다임들간의 긴장 ... 383
4. 탈근대(postmodern) 도시로서 서울의 조건 ... 384
1) 탈근대화와 도시 ... 384
2) '포스트모던 도시(postmodern city)'로서 서울의 조건 ... 386
5. 대도시 관리의 새로운 접근과 과제 ... 391
1) 성찰적 도시관리(reflexive urban management) ... 391
2) 대도시 관리의 새로운 접근들 ... 392
6. 맺음말 : 열린 서울론을 위해 ... 397
제14장 진보적 도시담론의 위기 ... 400
1. 담론, 지식, 권력 ... 400
2. 도시의 담론, 도시담론의 주류 ... 401
3. 진보적 도시담론의 등장과 전화 ... 404
4. 진보적 도시담론의 지식론적 토대 : 비판사회과학적 인식론 ... 406
5. 진보적 도시담론의 실천성 : 계급적 실천 ... 409
6. 지배담론과 대항담론의 길항관계 ... 411
7. 진보적 도시담론의 딜레마와 전망 ... 413
8. 진보적 담론의 위기를 넘어서 ... 414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