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3
1 고난과 갈등, 그 서사적 행로의 기록 : 『죽천행록』
Ⅰ. 서론 ... 23
Ⅱ. 『죽천행록』ㆍ『됴텬녹』ㆍ『슈로됴텬녹』ㆍ『항해록』등과의 관계 ... 28
Ⅲ. 기록자 및 기록시기 ... 45
Ⅳ. 구성 및 내용 ... 57
1. 기록된 날짜와 노정 ... 57
2. 굴욕적 외교의 실상과 기록자의 의도 ... 67
Ⅴ. 서사적 성격 ... 70
Ⅵ. 『화포항해록』과의 차이 ... 94
Ⅶ. 결론 ... 106
2 화이 통합의 보편적 세계관, 그 현장의 기록 : 『을병연행록』
Ⅰ. 서론 ... 111
Ⅱ. 담헌의 사상적 바탕과 연행의 의미 ... 113
Ⅲ. 서지적 성격 ... 120
Ⅳ. 내용적 성격 ... 128
1. 내용의 전개와 짜임 ... 128
2. 세계관의 확장 ... 145
Ⅴ. 문학사적 위상 ... 160
Ⅵ. 결론 ... 164
3 관심ㆍ발견ㆍ놀라움, 그 지향성과 문화의식 : 『무오연행록』
Ⅰ. 서론 ... 169
Ⅱ. 편차와 노정 및 내용 ... 171
Ⅲ. 북경 체류 기간의 행적 ... 178
Ⅳ. 내용과 시대적 의미 ... 184
1. 중국의 문물제도 및 풍속에 대한 관심 ... 185
2. 언어와 문자에 대한 관심 ... 188
3. 천주교에 대한 관심 ... 190
4. 지리 및 지형에 대한 관심 ... 192
5. 옛 사신들의 발자취와 연행록에 대한 관심 ... 194
Ⅴ. 기록자의 자아인식 ... 195
Ⅵ. 기록문학사적 의의 ... 197
Ⅶ. 결론 ... 198
4. 사행가사의 해외체험과 세계관 : 〈일동장유가〉와 〈병인연행가〉
Ⅰ. 서론 ... 203
Ⅱ. 사행가사의 존재론적 근거 ... 205
Ⅲ. 두 작품의 관계 ... 209
Ⅳ. 〈일동장유가〉와 화이관 변질의 가능성 ... 213
Ⅴ. 〈병인연행가〉와 화이관 표출의 관습성 ... 226
Ⅵ. 결론 ... 237
5. 조선조 국문 사행록의 흐름
Ⅰ. 서론 ... 243
Ⅱ. 자료들의 성격 및 관계 ... 246
Ⅲ. 기록의 내용과 기록자의 현실인식 ... 250
1. 굴욕적 외교현장의 피맺힌 육성 ... 250
2. 자아각성을 통한 대청 적개심과 화이관의 극복 ... 253
3. 자아각성ㆍ화이관의 극복ㆍ북학의 당위성 고취 ... 262
4. 세계의 정밀한 묘사와 자아인식 ... 269
Ⅳ. 연행록 서술의 통시적 연관성 ... 274
Ⅴ. 결론 ... 279
6 연행 길, 고통의 길, 그러나 깨달음의 길
Ⅰ. 서론 ... 285
Ⅱ. 연행노정과 삼산 ... 288
Ⅲ. 삼산의 외연과 내포 ... 298
1. 이념적 정체성 회복의 성소(聖所), 그 제의적 공간 : 수양산 ... 298
2. 깨달음을 통한 새로운 세계로의 진입, 그 입사의 공간 ... 308
1) 의무려산 ... 308
2) 천산 ... 316
Ⅳ. 결론 ... 321
참고문헌 ... 324
Summary ... 331
찾아보기 ... 340
인명 찾아보기 ... 346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