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 연구동향 ... 15
제1장 한국근대 민중운동 연구의 동향 ... 17
1. 머리말 ... 17
2. 농민전쟁 이전의 농민 항쟁 ... 18
3. 1894년 농민전쟁 ... 20
1) 농민전쟁 연구사의 개관 ... 20
2) 농민전쟁과 동학의 관계 ... 24
3) 농민전쟁의 배경과 전개과정 ... 28
4) 농민전쟁의 주체 ... 30
5) 농민전쟁의 지향 ... 33
6) 농민전쟁의 세계사적 의의 ... 39
4. 광무민중운동 ... 42
5. 맺음말 ... 45
제2장 동학과 농민전쟁 연구의 원형 - 김상기(金庠基)의 『동학과 동학란』을 중심으로 ... 49
1. 머리말 ... 49
2. 김상기의 학문활동과 사관 ... 50
3. 『동학과 동학란』의 문제의식과 내용분석 ... 56
1) 『동학과 동학란』의 문제의식 ... 56
2) 『동학과 동락란』의 내용분석 ... 62
(1) '동학란'의 명칭과 성격 ... 63
(2) 동학과 동학란의 관계 ... 64
(3) 남북접 문제 ... 66
(4) 동학란의 조직ㆍ주체ㆍ지향 ... 67
4. 연구사 상의 위치 ... 68
제2부 농민전쟁의 전개ㆍ주체ㆍ지향 ... 71
제3장 1862년 진주농민항쟁의 연구 ... 73
1. 머리말 ... 73
2. 19세기 조선사회의 성격과 계급구성의 변동 ... 78
3. 진주농민항쟁의 전개과정과 내용분석 ... 90
1) 제1단계 : 향회 및 무력봉기준비 ... 91
2) 제2단계 : 무력봉기와 읍내점거 ... 96
3) 제3단계 : 무력봉기의 지역적 확대 ... 102
4. 진주농민항쟁의 수습과 농민의 대응 ... 108
1) 정부측의 수습과정과 진주농민의 대응 ... 108
2) 진주삼정책 분석 ... 118
5. 맺음말 ... 133
제4장 1894년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변혁주체의 성장 ... 138
1. 머리말 ... 138
2. 농민전쟁 연구의 현황과 과제 ... 139
3.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 141
4. 변혁주체의 성장 ... 148
5. 맺음말 ... 151
제5장 1894년 농민전쟁의 지도부와 서장옥 ... 153
1. 머리말 ... 153
2. 농민전쟁 지도부의 형성과 서장옥 ... 156
3. 제1차 농민전쟁기 충청도 남접파 농민의 활동과 서장옥 ... 168
4. 제2차 농민전쟁기 서장옥의 활동과 역할 ... 176
5. 맺음말 ... 185
제6장 1894년 농민전쟁의 토지개혁 방향 ... 189
1. 머리말 ... 189
2. 농민군의 요구조건 분석 ... 192
3. 농민전쟁의 토지개혁 방향 ... 197
1) 진전(陳田)과 균전(均田) ... 197
2) 지방관과 토호의 토지 및 산림소유 ... 206
3) 토지의 평균분작(平均分作) ... 213
4. 갑오개혁의 토지정책 ... 219
5. 토지개혁 요구의 역사적 의의 ... 229
제7장 1894년 농민전쟁의 역사적 성격과 역사소설 - 『갑오농민전쟁』과『녹두장군』을 중심으로 ... 235
1. 머리말 ... 235
2. 농민전쟁과 동학의 관계 ... 237
3.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그 지향 ... 242
4. 농민전쟁의 조직적 기반과 주체세력 ... 248
5. 맺음말 ... 256
제3부 농민전쟁의 계승 ... 259
제8장 개화파 정부의 농민전쟁 수습대책 ... 261
1. 머리말 ... 261
2. 농민군 색출과 전라도의 군단위ㆍ군읍간 작통제 ... 263
3. 사상통제와 전라도의 향약 ... 271
4. 정부의 지방사회 재건책 ... 280
5. 맺음말 ... 290
제9장 농민전쟁 이후 동학농민의 동향과 민족운동 ... 293
1. 머리말 ... 293
2. '동학교단'의 조직재건운동 ... 295
1) 상부 동학교단의 동향 ... 295
2) 하부 동학교도의 활동 ... 299
3. '동학농민'의 민족운동 ... 305
1) 황해도 동학농민의 반외세운동 ... 305
2) 소백산맥 지역 동학농민의 반외세운동 ... 312
4. 동학농민운동의 성격 ... 319
5. 맺음말 ... 331
제10장 대한제국시기 영학당(英學黨)운동의 성격 ... 333
1. 머리말 ... 333
2. 전라도지방의 상황과 영학당의 결성 ... 335
3. 1898년 흥덕농민의 반체제운동과 영학당 ... 344
4. 1899년 영학당의 반외세운동 ... 352
5. 영학당운동의 성격 ... 358
6. 맺음말 ... 367
제11장 농민전쟁 이후 농민운동조직의 동향 ... 371
1. 머리말 ... 371
2. 농민군의 패주와 농촌사회의 갈등 ... 373
3. 농민운동조직의 변화 ... 379
1) 의병과 동학농민의 관계 ... 379
2) 동학당과 영학당의 활동 ... 387
3) 남학당의 성격과 활동 ... 395
4) 동학농민의 서학당 투탁 ... 403
4. 농민운동조직 사이의 연계성 ... 409
5. 맺음말 ... 416
제4부 동학과 농민 ... 421
제12장 근대민중운동사 상의 동학과 농민 - 대전지역 사례 ... 423
1. 문제의 제기 ... 423
2. 1862년 회덕ㆍ진잠민란 ... 427
3. 대전지역에서의 제1차 농민전쟁 ... 430
1) 회덕농민의 봉기와 반체제운동 ... 430
2) 충청도의 남접파 농민세력 ... 436
4. 대전지역에서의 제2차 농민전쟁 ... 440
1) 농민군의 재봉기와 남북접연합 ... 440
2) 대전지역 농민군의 활동과 김개남부대 ... 443
5. 농민전쟁 이후 대전지역의 동향 ... 449
6. 대전지역 농민전쟁의 성격 ... 453
제13차 동학ㆍ농민의 일본인식과 '보국안민(輔國安民)'이념 ... 455
1. 머리말 ... 455
2. 동학사상의 외세에 대한 인식 ... 459
1) 초기 동학사상의 외세인식 ... 459
2) '보국안민' 개념의 등장 ... 464
3. 1892∼1893년 동학ㆍ농민의 일본인식 ... 467
1) 공주집회ㆍ삼례집회의 '광제창생(廣濟蒼生)' 보국안민 ... 467
2) 보은집회의 '척왜양(斥倭洋)' 보국안민 ... 474
4. 1894년 동학ㆍ농민의 일본인식 ... 482
1) 제1차 농민전쟁의 '위민제해(爲民際害)' 보국안민 ... 482
2) 제2차 농민전쟁의 '척왜척화(斥倭斥化)' 보국안민 ... 488
5. 동학ㆍ농민의 분화와 일본인식의 변화 ... 495
1) 손병회의 보국안민의 길 ... 495
2) 영학당의 '벌왜벌양(伐倭伐洋)' 보국안민 ... 498
6. 맺음말 ... 500
저자 후기 ... 507
ABSTRACT ... 517
찾아보기 ... 52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