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전통음악의 작곡가들과 20세기의 '악인'(樂人) 연구 ... 13
1. 머리말 ... 13
2. 전통음악의 작곡가들 ... 15
1) 조선 초기 작곡가들 ... 15
2) 17세기말의 '김성기와 김성기악파' ... 17
3) 18세기 음악양식의 개척자들 ... 20
4) 판소리의 명창들 ... 23
① 권삼득 ... 24
② 송흥록 ... 26
③ 박유전 ... 29
④ 기타 명창들 ... 31
5) 19세기의 작곡가들 ... 31
3. 20세기의 '악인'(樂人)들 ... 36
1) 20세기초의 '판소리 다섯 명창'과 정응민 ... 36
2) 창극의 작곡가들 ... 41
① 강용환 ... 42
② 정정렬과 월북 창극작곡가들(정남희·조상선·안기옥) ... 44
3) 한수동과 한일섭 ... 47
4) 안확 ... 49
5) 박석기 ... 54
6) 김명환 ... 57
7) 박성옥 ... 60
8) 김기수 ... 62
9) 김희조 ... 65
4. 마무리 ... 69
제2장 한국음악학에서 용어의 개념정의와 해석[1] ... 75
1. 머리말 ... 75
2. 용어의 검토 ... 77
1) 이론과 실제 ... 77
2) '정악과 민속악' ... 83
3) '조(調)와 청(淸)' ... 89
4) '장단 설명에 관한 용어들' ... 94
5) 판소리에 쓰인 용어들 ... 105
3. 결론 ... 112
4. 남는 말 ... 114
제3장 한국음악학에서 용어의 개념정의와 해석[2] ... 117
1. 머리말 ... 117
2. 용어정리의 원칙 ... 119
1) 실기인들의 관례를 존중한다 ... 119
2) 보편적인 이론틀 안에서 정리한다 ... 121
3) 현존하는 실제 음악을 바탕으로 한다 ... 124
4) 채보란 무엇인가? ... 127
① 채보는 '테두리' 찾기이다 ... 128
② 채보는 '부처님 되기'이다 ... 130
③ 채보는 전통음악의 체계적 이론을 찾는 작업이다 ... 132
3. 잡가에 쓰인 용어들 ... 134
4. 민요에 쓰인 용어들 ... 140
① 서울과 경기도민요 ... 143
② 서도민요 ... 144
③ 전라도민요 ... 145
④ 경상도민요 ... 145
⑤ 강원도민요 ... 146
⑥ 충청도민요 ... 146
⑦ 제주도민요 ... 146
5. 실내악곡(영산회상) 설명에 쓰인 용어들 ... 147
6. 마무리 ... 153
7. 남는 말 ... 155
제4장 20세기초의 판소리작곡가 연구 : 판소리 다섯 명창과 정응민 ... 159
1. 머리말 ... 159
2. 김창환 ... 161
3. 송만갑 ... 167
4. 이동백 ... 175
5. 정정렬 ... 181
6. 김창룡 ... 188
7. 정응민 ... 195
8. 마무리 ... 200
9. 남는 말 ... 202
제5장 창작국악 비판적 검토의 당위성 ... 205
제6장 「한국산조학회」의 시대적 의미 ... 213
제7장 창작국악의 역사적 의미와 미적 가치 : 나의 작곡 노트 ... 221
1. 머리말 ... 221
2. 창작국악의 작곡론에 대한 생각들 ... 224
1) 전통음악 이론에서 음계론의 의의(意義) ... 225
2) 창작국악에서 '편파주의와 '정악·민속악' 분류의 불합리성 ... 229
3) 창작국악에서 '기교'와 '정신' ... 232
4) 창작국악작곡가들은 어떤 음악행위를 하는가? ... 234
3. 작품해설에 나타난 생각들 ... 241
1) 〈회혼례를 위한 '시나위'〉 ... 242
2) 〈국악관현악을 위한 산조 '용상(龍翔)〉 ... 243
3) 〈17현 가야금을 위한 '짧은 산조'〉 ... 244
4) 〈가야금 삼중주곡들〉 ... 246
5) 〈가야금과 현악사중주를 위한 '신 관동별곡'〉 ... 248
6) 〈가야금 협주곡 '길군악과 쾌지나칭칭'〉 ... 249
7) 〈다섯 악기를 위한 '화'(和)와 '몽금포타령'〉 ... 251
8) 〈교향시 '천안 삼거리'〉 ... 253
9) 〈오케스트라 아시아를 위한 '남도아리랑'〉 ... 255
10) 창작 신극 〈영원한 사랑 춘향이〉 ... 257
11) '작곡노트'를 마치며 ... 259
4. '음악미학'에 대한 생각들 ... 260
1) '미학'(Aesthetics)은 어떤 학문인가? ... 260
2) 바그너와 스트라빈스키 그리고 아도르노 ... 262
3) '내용미학'과 '형식미학' ... 265
4) 예술작품의 속성과 '지각방식' ... 269
5) 주체의 속성과 '사고틀'(frame of reference) ... 271
6) 마이어(L. B. Meyer)의 미학에서 '음악의 의미' ... 273
① 양식(Style) ... 274
② 확률(Probability) ... 275
③ 기대감(Expectation) ... 276
7) 문화와 음악 ... 277
(1) 역사에 나타난 여러 예술관 ... 278
(2) 야스퍼스가 말한 '인류사의 네 단계' ... 280
(3) 베르그송(H. Bergson)의 '두 가지 지식' ... 282
(4) 음악의 '공간감'(space) ... 283
5. 마무리 ... 286
제8장 중국 연변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전통음악의 양상 ... 289
1. 머리말 ... 289
2. 연변지역의 전통음악 ... 292
1) 성악곡의 전승 실태 ... 292
2) 기악곡의 전승 실태 ... 298
3) 창작곡의 실태와 악기개량 ... 305
4) 이론체계의 실태와 용어사용 ... 308
3. 통일에 대비한 음악과제 ... 311
1) 레퍼토리 문제 ... 311
2) 기보법에 따른 편곡방법 ... 314
4. 마무리 ... 316
제9장 '실학학풍'에 대한 소견 ... 319
제10장 '한국음악'(민족음악)을 지향하는 사람들의 태도와 과제 ... 327
[부록악보] ... 331
1. 고고천변 ... 332
2. 제비노정기 ... 334
3. 옥중가 ... 341
4. 십장가 ... 343
5. 토끼 용궁 탈출 ... 346
6. 고고천변 ... 349
7. 십장가뒤의 풍경 ... 352
8. 잡가 새타랑 ... 354
9. 단가 백발가 ... 357
10. 군사설움타령 ... 360
11. 장승타령 ... 363
12. 박석티고개 ... 365
13. 춘향가初入 ... 367
14. 광한루 행차 채비 ... 368
15. 어사와 춘향모 ... 370
16. 단가 적벽부 ... 373
17. 단가 대장부 한 ... 377
18. 삼고초려 ... 381
19. 춘향방 그림가 ... 383
20. 자진사랑가 ... 388
21. 이별가 ... 390
22. 돈타령 ... 392
23. 토끼화상 ... 394
24. 제비몰러 나가는 대목 ... 396
25. 단가 녹음방초 ... 398
26. 수궁가 중 약성가 ... 401
27-1. 곽씨부인 삯바느질 ... 410
27-2. 삯바느질 ... 411
28. 시비따라 장승상댁에 ... 412
29. 곽씨부인 죽음과 심봉사의 절규 ... 415
30. 심봉사 자탄 ... 419
찾아보기 ... 422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