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서문 ... 5
편집자서문 ... 8
저자서문 ... 11
제1부. 서론
제1장. 시치료의 역사적 ·이론적 배경 : 문학과 심리학의 관계 / 김현희 ... 23
1. 역사적 배경 ... 26
2. 이론적 배경 ... 32
3. 글쓰기와 치료 ... 37
제2부. 모델과 양식들
제2장. 시치료의 실제 모델과 양식들 / 김세희 ... 45
1. 시치료의 실제 모델 ... 45
2. 시치료와 간단한 치료법 ... 55
제3장. 시치료와 가족심리학 / 장혜순 ... 69
1. 수용적 / 처방적 요소 ... 70
2. 표현적 / 창의적 요소 ... 73
3. 상징적 / 의식적 요소 ... 81
4. 부부(연인)집단 ... 85
5. 논평 ... 90
제4장. 시치료를 이용한 집단치료의 과정과 결과 / 김재숙 ... 91
1. 적용 ... 93
2. 모델과 기법 ... 94
3. 논평 ... 105
제3부. 특수한 문제들
제5장.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시치료 / 강은주 ... 113
1. 시치료의 두 가지 차원 ... 114
2. 예방적 도구로서의 시치료 ... 118
3. 치료적 도구로서의 시치료 ... 126
4, 논평 ... 133
제6장. 시치료와 청소년의 자살 / 강은진 ... 137
1. 기존 시와 노래가사 이용하기 ... 139
2. 창의적인 시 쓰기 ... 142
3. 치료에 시 읽기와 쓰기 적용하기 ... 147
4. 간단한 예화 ... 147
5. 논평 ... 149
제7장. 시치료와 학대받는 여성 / 박상희 ... 153
1. 기존의 시 활용하기 ... 156
2. 창의적 글쓰기 ... 158
3. 은유, 상상, 그리고 언어 ... 160
4. 임상적인 문제들 ... 160
5. 논평 ... 165
제8장. 시치료와 노인 / 서정숙 ... 167
1. 시의 관점 ... 168
2. 노인들의 목소리 ... 173
제4부. 연구와 전문적 발전
제9장. 시치료 연구를 위한 제언 : 새 천년의 의제 / 정선혜 ... 185
1. 수용적 / 처방적 양식 ... 190
2. 표현적 / 창조적 양식 ... 196
3. 상징적 / 의식적 양식 : 은유와 비유 ... 199
4. 시치료와 집단치료 ... 200
5. 실제의 평가 ... 202
6. 연구 의제 ... 203
제10장. 시치료 분야의 발전방향 / 정진 ... 207
1. 사례 ... 214
2. 자료 개발 ... 217
3. 전망 ... 218
부록 / 이춘희 ... 221
부록A 치료자를 위한 시치료 훈련연습 ... 223
부록B 시치료에서 사용되는 시들의 예 ... 225
부록C 문장완성하기 ... 248
부록D 집단활동을 위한 시치료 이야기 보고서 : 지침사항 ... 250
부록E 집단활동을 위한 시치료 이야기 보고서 : 관찰자 양식 ... 252
부록F 집단활동을 위한 시치료 이야기 보고서 : 치료자 양식 ... 254
부록G 작문연습 ... 257
부록H AIDS 시 프로젝트 ... 259
부록I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곳들 ... 280
부록J 미국 시치료학회 윤리강령 ... 282
참고문헌 ... 287
찾아보기 ... 31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