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 5
제1부 한국학계에서 동양사학의 생산, 유통, 소비
제1장 한국 동양사학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17
1. 머리말 ... 17
2. 동양사연구의 출발점 - 해방공간 ... 19
3. 동양사연구의 한국적 구조 ... 26
4. 동양사학계의 문제의식과 근·현대사연구 ... 33
5. 맺음말 ... 41
제2장 한국 역사학 학회의 현실과 과제 - 지역학회를 중심으로 ... 45
1. 머리말 ... 45
2. 지역 사학회의 위상과 활동 ... 47
3. 지역 사학의 진단 ... 57
4. 지역 사학회의 거듭나기 ... 63
5. 맺음말 ... 73
제3장 한국에서의 동아시아 만들기 ... 75
1. 머리말 ... 75
2. 왜 한국에서 동아시아인가 ... 77
3. 어떻게 동아시아를 만드는가 ... 82
4. 누가 동아시아를 말하는가 ... 88
5. 지역적 역사시스템을 향하여 ... 95
제4장 이 땅에서 동양사 강의를 어떻게 할 것인가 ... 100
1. 머리말 ... 100
2. 나의 강의 이력 ... 103
3. 텍스트로서의 강의, 안내자로서의 대학교사 ... 106
4. 토론방식의 실례 ... 114
5. 남아 있는 문제 ... 120
제2부 중국과 대만학계에서 역사학의 생산과 소비
제1장 중국학계의 시스템 이론적 역사분석 ... 127
1. 머리말 ... 127
2. 중국사상계의 격동과 역사학의 위기 ... 129
3. 진관타오(金觀濤)의 '초안정적 중국봉건사회론' ... 138
4. 시스템 이론적 역사분석에 대한 논란 ... 146
5. 맺음말 ... 155
제2장 '우리'는 누구인가 - 대만의 역사 찾기 ... 158
1. 머리말 ... 158
2. '슬픈 역사'와 교과서 『認識臺灣』 ... 160
3. 대만 아이덴티티의 형성 ... 165
4. 대만 역사의 등장 ... 170
5. 타자로서의 중국사 연구 ... 176
6. 맺음말에 대신하여 ... 181
제3장 대만역사에서 망각과 기억 - 중학교교과서 『認識臺灣』의 인식 ... 184
1. 머리말 ... 184
2. 교과서 『인식대만』의 편찬 ... 186
3. '역사'의 전쟁 ... 193
4. 대만의 민주화와 대만의식 ... 199
5. 맺음말 ... 204
제3부 일본학계에서 '아시아'의 생산과 지식의 생산 풍토
제1장 일본학계의 '아시아 교역권(交易圈)'론 ... 211
1. 머리말 ... 211
2. '東아시아 역사상(歷史像)'에서 '아시아 교역권'론으로 ... 213
3. '아시아 교역권'론의 논리적 구조 ... 220
4. '아시아 교역권'론의 음미 ... 226
5. 맺음말 ... 228
제2장 일본학계의 중국 근·현대 역사상(歷史像)과 그 변화 ... 232
1. 일본학계의 중국사 개설서 편찬 ... 232
2. 전통적인 중국 근·현대 역사상과 1980년대의 변화 ... 235
3. 90년대의 중국 근·현대 역사상 ... 242
4. 맺음말 ... 248
제3장 패전후 일본의 아시아적 시각을 읽는다 ... 250
1. 머리말 ... 250
2. 대상으로서의 아시아 ... 252
3. 방법으로서의 아시아 ... 258
4. 문화로서의 아시아 ... 263
5. 아시아적 시각을 아시아가 공유하기 위하여 ... 268
제4장 일본학계에서 역사적 지식의 생산 풍토 ... 273
1. 머리말 ... 273
2. 좁고 깊게 ... 275
3. 오래고 가깝게 ... 279
4. 넓고 열리게 ... 282
5. 닮은 꼴과 다른 속 ... 286
6. 한·일 학계간의 거리조율을 위하여 ... 291
종언 : 위기에 선 한국의 동양사학 ... 295
1. 위기에 대한 접근법 ... 295
2. 연구의 상품과 물품(物品) 사이 ... 297
3. 사실의 신화와 상실한 문법 ... 303
4. 마무리하며 ... 311
붙이는 말 ... 317
찾아보기 ... 33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