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서문 ... ⅴ
역자서문 ... ⅵ
역자소개 ... ⅵ
단원Ⅰ 면역계와 면역 기능
제1장 면역계 개요 ... 2
1.1. 역사적 배경 ... 2
1.2. 면역계 개론 ... 3
1.2.1. 내재면역 ... 3
1.2.2. 적응면역 ... 5
1.3. 내재면역과 적응면역 통합 개요 ... 6
1.3.1. 관습적 항원 제거 ... 6
1.4 면역결핍 ... 8
1.4.1. 2차 면역결핍 이상 ... 8
제2장 항원과 항원 인식 ... 12
2.1. 항원 ... 12
2.1.1. 면역원성의 선행 조건 ... 13
2.1.2. 이종분자의 상대적인 면역원성 ... 13
2.1.3. 면역원성 증진분자 ... 14
2.2. 림프구의 활성체 ... 14
2.2.1. 항원 ... 14
2.2.2. 슈퍼항원 ... 14
2.2.3. 미토젠 ... 15
2.3. 항원 인식 ... 15
2.3.1. 내재면역 세포에 의한 항원 인식 ... 15
2.3.2. 적응면역 세포에 의한 항원 인식 ... 15
제3장 항체 ... 20
3.1. 항체 ... 20
3.1.1. 감마글로불린 ... 21
3.1.2. 구조 ... 21
3.1.3. 항체의 2기능성 특성 ... 22
3.1.4. 2기능성 결정기 ... 22
3.1.5. 교차반응성 ... 22
3.2. 항원-항체의 상호작용 ... 23
3.2.1. 1차 상호작용 ... 23
3.2.2. 2차 상호작용 ... 24
3.3. 항체의 분류 ... 24
3.3.1. 동형 ... 24
3.3.2. 동종형 ... 24
3.4. 항체 동형의 특성과 생물학적 기능 ... 24
3.4.1. 면역글로불린 G ... 24
3.4.2. 면역글로불린 E ... 26
3.4.3. 면역글로불린 M ... 26
3.4.4. 면역글로불린 D ... 27
3.4.5. 면역글로불린 A ... 27
3.5. 혈청 항체의 정량 ... 27
3.6. 단클론 항체 ... 27
제4장 내재면역 세포와 조직 ... 32
4.1. 림프조직 ... 33
4.1.1. 1차 림프조직 ... 34
4.1.2. 2차 림프조직 ... 34
4.2. 내재면역 세포 ... 36
4.2.1. 식세포 ... 36
4.2.2. 항원제시세포 ... 39
4.2.3. 자연살해세포 ... 39
4.2.4. 호산구 ... 40
4.2.5. 비만세포와 호염기구 ... 40
4.3. 식세포와 자연살해세포 기능장애 평가 ... 40
4.3.1. 식세포 ... 40
4.3.2. 자연살해세포 ... 41
4.4. 세포군 분리 ... 42
4.4.1. 음성 선별접근법 ... 42
4.4.2. 양성 선별접근법 ... 43
제5장 B 세포 ... 46
5.1. B 세포 ... 46
5.1.1. B 세포 수용체 ... 47
5.2. B 세포 성숙 ... 48
5.2.1. 특이 B 세포 수용체의 발현 : 단량체 lgM ... 48
5.2.2. 관용유도 ... 48
5.2.3. lgM과 lgD의 세포 표면 발현 : 대체접합 ... 49
5.3. 항원 충돌에 따른 미자극 B 세포의 활성화 ... 50
5.3.1. 항원의 운명 ... 50
5.3.2. 도움 T 세포의 역할 ... 51
5.3.3. 활성화된 미자극 B 세포의 운명 ... 52
5.3.4. 동형전환 ... 52
5.3.5. 친화력 성숙 ... 52
5.3.6. B 세포 반응 정지(끄기) ... 52
5.3.7. 단백질 항원에 대한 1차 B 세포 반응의 동역학 ... 52
5.4. 2차 면역반응 ... 52
5.5. T-비의존성 항원에 대한 B 세포 반응 ... 53
5.6. 다클론 활성체에 대한 B 세포 반응 ... 53
5.7. B 세포의 계수와 기능 ... 53
제6장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항원처리, 항원제시 ... 60
6.1. 비자기인식 ... 61
6.2.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 61
6.2.1. 사람의 제1형 MHC ... 62
6.2.2. 사람의 제2형 MHC ... 63
6.2.3. 면역반응에서 MHC의 역할 ... 64
6.3. MHC 유전자와 질병 ... 65
6.3.1. 상대적 위험도와 가설들 ... 65
6.4. 이식 ... 66
6.4.1. 이식 거부 ... 66
6.4.2. 면역억제 치료 ... 66
6.4.3. 적합성 확보를 위한 선별 ... 67
6.5. 항원처리와 항원제시 ... 69
6.5.1. 제1형 MHC에 의한 항원처리와 항원제시 ... 69
6.5.2. 제2형 MHC에 의한 항원처리와 항원제시 ... 69
제7장 T 세포 ... 74
7.1. T 세포 ... 75
7.2. T 세포 수용체의 특징 ... 75
7.2.1. T 세포 레퍼토리 ... 76
7.3. T 세포 성숙 ... 76
7.3.1. 체세포재조합과 T 세포 수용체의 구성 ... 77
7.3.2. 대립유전자 배제 ... 77
7.3.3. 관용유도 ... 77
7.4. CD$$4^{+}$$ T 세포와 항원의 만남 ... 79
7.4.1. CD$$4^{+}$$ T 세포에 항원 제시 ... 79
7.4.2. CD$$4^{+}$$ T 세포 활성화에 필요한 신호 ... 80
7.4.3. T 세포 성장인자 ... 80
7.4.4. 활성화된 미자극 CD$$4^{+}$$ T 세포의 운명 ... 80
7.4.5. 숙주방어에서 T 세포 사이토카인 ... 80
7.4.6. 활성화된 CD$$4^{+}$$ T 세포의 운명 ... 80
7.5. CD$$8^{+}$$ T 세포와 항원의 만남 ... 81
7.5.1. pCTL의 CTL로의 활성화와 분화 ... 81
7.5.2. 감염된 세포 파괴 ... 82
7.5.3. CD$$8^{+}$$ T 세포의 운명 ... 82
7.6. 기억 T 세포 ... 82
7.7. T 세포 계수 ... 82
7.8. T 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접근법 ... 82
7.8.1. 세포 분리용 자성 구슬 ... 83
7.8.2. 세포 분리를 위한 세포분류 ... 83
7.8.3. 세포 제거를 위한 보체고정 ... 83
7.8.4. 기타 접근법 ... 83
7.9. T 세포 기능 평가 ... 83
7.9.1. 세포 증식 ... 84
제8장 보체 ... 88
8.1. 보체 ... 89
8.2. 보체 고전경로 ... 89
8.2.1. 구성 요소 ... 89
8.2.2. 활성화 ... 89
8.3. 보체 대체경로 ... 93
8.3.1. 구성 요소 ... 93
8.3.2. 활성화 ... 93
8.4. 보체 조절 ... 94
8.4.1. 고전경로에 의한 조절 ... 94
8.4.2. C3 전환효소에 의한 조절 ... 94
8.4.3. 세포막공격 복합체에 의한 조절 ... 95
8.5. 보체 수용체 ... 95
8.6. 보체의 생물학적 활성 ... 96
8.6.1. 염증반응에서 보체 역할 ... 96
8.6.2. 탐식작용에서 보체 역할 ... 97
8.6.3. 면역 복합체 제거에서 보체 역할 ... 97
8.6.4. 박테리아 삼투용해작용에서 보체 역할 ... 97
8.6.5. 보체의 생물학적 활성 회피 방법 ... 97
8.7. 보체 결핍 및 질환 ... 97
8.7.1. C1 저해제 단백질 결핍 ... 98
8.7.2. C2와 C4 결핍 ... 99
8.7.3. 조절단백질에 대한 세포막 연결자 결핍 ... 99
8.7.4. MAC 단백질 결핍 ... 99
8.7.5. C3 결핍 ... 99
8.8. 보체경로 평가 ... 99
8.8.1. 보체의 총 활성도 측정 ... 99
8.8.2. 보체 구성 요소 측정 ... 101
제9장 감염에 대한 숙주방어체계 ... 104
9.1. 감염에 대한 숙주의 방어체계 ... 105
9.1.1. 면역학의 당면 과제 ... 105
9.1.2. 감염원 분류 ... 105
9.2. 세포 외적 감염원 : 세포 외 미생물 ... 105
9.2.1. 1차 감염 시 국소적인 숙주방어기전 ... 106
9.2.2. 항원의 목적지 : 림프절 ... 109
9.2.3. 기억 면역반응 ... 110
9.3. 파고좀에서 번식하는 미생물 ... 110
9.3.1. 1차 감염 시 숙주방어기전 ... 111
9.4. 세포질에 존재하는 미생물 ... 111
9.4.1. 1차 감염 시 숙주방어기전 ... 112
단원 Ⅱ 실험기법
제10장 검사기기 ... 118
10.1. 항원-항체 상호작용 검사기기 ... 119
10.1.1. 감마선 방출, 형광, 화학발광 ... 119
10.2. 색소 농도 검사기기 ... 119
10.2.1. 분광광도계와 광도계 ... 120
10.3. 화학발광 검사기기 ... 121
10.3.1. 발광측정기 ... 122
10.4. 형광 검사기기 ... 122
10.4.1. 형광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122
10.4.2. 분광형광계와 필터형광측정기 ... 123
10.4.3. 유세포분석기 ... 124
10.4.4. 형광현미경 ... 125
10.5. 방사능 검출기기 ... 126
10.5.1. 방사능 ... 126
10.5.2. 감마계수기(고형 섬광검출기) ... 126
10.6. 표지 미부착 면역 복합체 검출기기 ... 127
10.6.1. 비탁측정법 ... 127
10.6.2. 혼탁측정법 ... 129
제11장 지시자 표지 ... 132
11.1. 지시자 표지 면역분석법 ... 133
11.1.1. 방사성 동위원소 ... 133
11.1.2. 형광색소 ... 133
11.1.3. 효소 ... 133
11.2. 지시자 표지를 항원 또는 항체에 결합시키는 방법 ... 134
11.2.1. 비오틴-스트렙타비딘-지시자 표지 방법 ... 134
11.3. 면역분석법에서 사용하는 표준 곡선 ... 135
11.3.1. 표준액의 단계 희석 ... 135
11.3.2. 단일 희석 ... 135
11.4. 지시자 표지를 이용한 면역분석법의 원리 ... 136
11.4.1. 단백질 A를 사용하는 면역분석법 ... 136
11.4.2. 경쟁결합면역분석법 ... 137
11.4.3. 비경쟁면역분석법 ... 137
11.5. 지시자 표지 면역분석법 : 명명법 ... 138
11.5.1. 효소연관면역분석법 ... 138
11.5.2. 화학발광면역분석법 ... 139
11.5.3. 효소증폭면역분석법 ... 139
11.5.4. 형광편광면역분석법 ... 139
11.5.5. 방사면역분석법 ... 142
제12장 침전 ... 146
12.1. 항원과 항체의 상호작용 ... 146
12.1.1. 1차 항원-항체 상호작용 ... 147
12.1.2. 2차 항원-항체반응 ... 147
12.2. 침전소 곡선 ... 148
12.2.1. 항체 과잉구역 ... 148
12.2.2. 등가구역 ... 149
12.2.3. 항원 과잉구역 ... 149
12.3. 면역확산 ... 149
12.3.1. 면역확산 방법에서 면역 복합체 검출 ... 150
12.4. 면역확산 기법 ... 150
12.5. 단일면역확산 기법 ... 150
12.5.1. 단일선형면역확산 ... 151
12.5.2. 단일방사형면역확산 ... 151
12.5.3. 로켓면역전기영동 ... 151
12.6. 이중면역확산 기법 ... 152
12.6.1. 이중단순면역확산 ... 153
12.6.2. 오크터로니방법 ... 153
12.6.3. 역면역전기영동 ... 154
제13장 전기영동 ... 158
13.1. 전기영동 ... 159
13.1.1. 임상실험실에서의 역할 ... 159
13.2. 단백질 이동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59
13.2.1. 전기영동에서 pH의 역할 ... 160
13.2.2. 전기영동에서 온도의 역할 ... 161
13.2.3. 전기영동에서 내부삼투의 효과 ... 161
13.3. 불용성 지지체 ... 161
13.3.1. 한천과 아가로스 ... 161
13.3.2.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 161
13.3.3. 폴리아크릴아미드 ... 162
13.4. 구역전기영동 ... 164
13.4.1. 전하에 근거한 혈청단백질의 분리 ... 164
13.5. 면역전기영동의 2단계 접근 ... 164
13.5.1. 고전면역전기영동 ... 164
13.5.2. 교차면역전기영동 ... 164
13.5.3. 면역고정전기영동 ... 166
13.6. 전기영동의 1단계 접근 ... 167
13.6.1. 역면역전기영동 ... 167
13.6.2. 로켓면역전기영동 ... 168
13.7.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 169
13.7.1.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 169
제14장 응집 ... 176
14.1. 응집 ... 177
14.2. 응집의 원리 ... 177
14.2.1. 항체 역가의 결정 ... 177
14.2.2. 응집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78
14.3. 응집기술 ... 179
14.3.1. 슬라이드 검사 ... 179
14.3.2.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검사 ... 180
14.4. 응집반응의 형태 ... 181
14.4.1. 직접응집 ... 181
14.4.2. 간접응집 ... 181
14.4.3. 역응집 ... 182
14.4.4. 라텍스 입자 응집저해반응 ... 183
14.4.5. 정량적 응집반응 ... 183
14.4.6. 적혈구응집 ... 183
14.4.7. 바이러스 적혈구응집/비면역응집 ... 186
14.4.8. 바이러스 적혈구응집저해 ... 186
14.5. 항글로불린검사 ... 186
14.5.1. 직접쿰스검사 ... 186
14.5.2. 간접쿰스검사 ... 189
14.6. 응집/적혈구응집반응의 응용 ... 189
14.6.1. ABO식 혈액형의 결정 ... 189
14.6.2. 한랭 자가응집소 ... 189
14.6.3. 열성 응집소 ... 189
14.6.4. 이호성 응집소 ... 191
14.6.5. 자가면역 이상 ... 191
제15장 분자진단기술 ... 194
15.1. 분자진단기술 ... 195
15.2. 핵산 ... 195
15.2.1. 디옥시리보핵산 ... 195
15.2.2. 리보핵산 ... 196
15.3. 분자생물기술 ... 198
15.3.1. 제한 엔도뉴클레아제 ... 198
15.3.2. 프라이머와 탐침자 ... 199
15.3.3. 상보적 DNA ... 199
15.4. 핵산의 증폭 ... 200
15.4.1. 중합효소연쇄반응 ... 201
15.4.2.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 203
15.4.3. 핵산서열에 근거한 증폭 ... 203
15.4.4. 전사매개증폭 ... 203
15.4.5. 2세대 핵산 증폭 전략 ... 203
15.5. 신호증폭분석 ... 203
15.5.1. 가지 DNA ... 203
15.5.2. 혼성물 포획체계 ... 204
15.6. 포획과 검출기술 ... 204
15.6.1. 앰플리콘 ... 204
15.6.2. 신호증폭분석 ... 204
15.7. 분자 블럿팅 ... 206
15.7.1. 서던블럿 ... 206
15.7.2. 노던블럿 ... 207
15.7.3. 웨스턴블럿 ... 207
15.8. 임상실험실에서 유전적인 돌연변이 검출 ... 209
15.8.1. 겸상적혈구질환 : RFLP와 서던블럿팅 ... 209
15.8.2. 유약 X 증후군 : PCR과 서던블럿팅 ... 209
단원Ⅲ 질병과 이상증상
제16장 성 접촉에 의한 세균 감염 ... 214
16.1. 성교에 의한 매독 : Treponema pallidium ... 215
16.1.1. 임상 증상/병리 ... 215
16.1.2. 면역학 ... 216
16.1.3. 예방접종 ... 217
16.2. 실험실 진단 ... 218
16.2.1. 비트레포네마검사 ... 218
16.2.2. 표준 비트레포네마검사 ... 219
16.2.3. 표준 트레포네마검사 ... 220
16.2.4. 비표준 트레포네마와 비트레포네마검사 ... 221
16.3. 임질 : Neisseria gonorrhoeae ... 223
16.3.1. 임상 증상/병리 ... 223
16.3.2. 면역학 ... 224
16.3.3. 예방접종 ... 224
16.4. 실험실 진단 ... 224
16.4.1. 항원 검출을 위한 면역분석법 ... 225
16.4.2. 리가제연쇄반응핵산증폭분석법 ... 225
16.5. 생식기 계통 감염 : Chlamydia trachomatis ... 225
16.5.1. 에너지 기생충 ... 225
16.5.2. 임상 증상/병리 ... 226
16.5.3. 면역학 ... 229
16.5.4. 예방접종 ... 229
16.6. 실험실 진단 ... 229
16.6.1. 항원 검출을 위한 광학면역분석법 ... 230
16.6.2. 항원 검출을 위한 주요 면역분석법 ... 230
16.6.3. 항원 검출을 위한 핵산증폭 ... 230
제17장 상부 호흡기계의 세균 감염 ... 234
17.1. 비정형 폐렴 : Mycoplasma pneumoniae ... 235
17.1.1. 임상 증상/병리 ... 235
17.1.2. 면역학 ... 235
17.1.3. 예방접종 ... 236
17.1.4. 실험실 진단 ... 236
17.2. 연쇄구균 감염 : Streptococcaceae ... 238
17.2.1. 랜드필드 분류 ... 238
17.2.2. 임상증상 ... 239
17.2.3. 병원성 인자 ... 239
17.2.4. 면역학 ... 240
17.2.5. 예방접종 ... 241
17.2.6. 실험실 진단 ... 242
17.3. 백일해 : Bordetella pertussis ... 242
17.3.1. 임상 증상/병리 ... 242
17.3.2. 면역학 ... 243
17.3.3. 예방접종 ... 243
17.3.4. 실험실 진단 ... 243
제18장 세균 감염 : 참진드기, 장(염), 동물원성 감염 ... 248
18.1. 라임병 : Borrelia burgdorferi ... 249
18.1.1. 라임병에서 참진드기의 역할 ... 249
18.1.2. 임상 증상/병리 ... 249
18.1.3. 면역학 ... 250
18.1.4. 예방접종 ... 251
18.1.5. 실험실 진단 ... 251
18.2. 로키산홍반열 : Rickettsia rickettsii ... 253
18.2.1. 임상 증상/병리 ... 253
18.2.2. 면역학 ... 253
18.2.3. 예방접종 ... 254
18.2.4. 실험실 진단 ... 254
18.3. 렙토스피라증 : Leptospira interrogans ... 255
18.3.1. 임상 증상/병리 ... 255
18.3.2. 면역학 ... 256
18.3.3. 예방접종 ... 256
18.3.4. 실험실 진단 ... 256
18.4. 살모넬라증과 장티푸스 : Salmonella종 ... 257
18.4.1. 임상 증상/병리 ... 257
18.4.2. 면역학 ... 258
18.4.3. 예방접종 ... 258
18.4.4. 실험실 진단 ... 258
제19장 간염 ... 264
19.1. 간염의 발병 인자 ... 265
19.1.1. A형 간염 바이러스 ... 265
19.1.2. B형 간염 바이러스 ... 265
19.1.3. C형 간염 바이러스 ... 265
19.2. 임상 증상/병리 ... 265
19.2.1. A형 간염 ... 265
19.2.2. B형 간염 ... 266
19.2.3. C형 간염 ... 266
19.3. 간염 감염 ... 266
19.3.1. A형 간염과 B형 간염 ... 266
19.3.2. C형 간염 ... 267
19.4. 예방접종 ... 267
19.4.1. A형 간염 백신 ... 267
19.4.2. B형 간염 백신 ... 267
19.4.3. C형 간염 백신 진행 ... 267
19.5. 실험실 진단 ... 268
19.5.1. A형 간염 ... 268
19.5.2. B형 간염 ... 268
19.5.3. C형 간염 ... 270
제20장 홍역, 볼거리, 풍진, 수두 ... 276
20.1. 홍역 ... 277
20.1.1. 임상 증상/병리 ... 277
20.1.2. 면역학 ... 277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