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 23
제1장. 내용 없는 아름다움과 형식 없는 평화의 시학 - 김종삼론
1. 서론 ... 37
2. 음악과 회화적 주제에 의한 변주 ... 42
3. 제1악장 제시부 - 빛과 그늘의 소묘 ... 45
1) 아름다움의 멈춤과 가치의 전도 ... 45
2) 전쟁과 죄의식 ... 50
4. 제2악장 발전부 - 에토스와 파토스의 수채화 ... 53
1) 평화의 번짐과 가치의 복원 ... 54
2) 가난과 연민의식 ... 58
5. 제3악장 피날레 - 영원과 미완의 채색화 ... 63
1) 아름다움과 평화의 대위법 ... 63
2) 죽음과 초월의식 ... 67
6. 결론 ... 70
김종삼의 생애 및 작품 연보
1) 생애 연보 ... 72
2) 작품 연보 ... 78
제2장. 거리의 화자와 익명의 타자 - 박인환론
1. 서론 ... 89
2. 시점으로서의 화자와 이미지의 구조화 ... 92
1) 모더니즘의 시간과 공간 ... 92
2) 거리의 화자와 익명의 타자 ... 95
3. 언술 체계를 통해 본 시적 공간의 변이과정 ... 99
1) 고정된 시점과 감상적 응시 ... 101
2) 갈등의 시선과 대응의 포즈 ... 108
4. 전후 모더니즘의 갈등과 극복의 양상 ... 122
1) 1950년대 전후시와 박인환의 화자 ... 122
2) 현질서의 해체와 신질서로의 편입 ... 124
5. 결론 ... 126
박인환의 생애 및 작품 연보
1) 생애 연보 ... 128
2) 작품 연보 ... 135
제3장. 초현실주의적 지향과 부정의 시학 - 조향론
1. 서론 ... 139
2. 순결성의 신비화와 에로스 지향 ... 143
1) 소녀의 심상과 순결성의 신비화 ... 144
2) 여성의 심상과 성애적 욕망 ... 148
3. 검은 색의 편향성과 타나토스 지향 ... 155
1) 검은 색의 심상과 허무의 비극성 ... 155
2) 죽음의 심상과 부정정신의 추구 ... 158
4. 초현실주의와 그 수용의 한계성 ... 166
5. 결론 ... 170
조향의 생애 및 작품 연보
1) 생애 연보 ... 173
2) 작품 연보 ... 179
제4장. 어머니의 모티프와 바람 앞의 촛불 - 이동주론
1. 서론 ... 189
2. 슬픔과 존재의 근원으로서의 어머니 ... 193
1) 층층탑 아래 피어난 꽃과 어머니의 현신(現身) ... 193
2) 어머니를 통한 이미지의 확장과 다변화 ... 198
3. 인고(忍苦)와 정절(貞節)의 표상으로서의 어머니 ... 201
1) 어머니의 현신과 꽃에 투사된 시적 자아 ... 201
2) 어머니에게서 누님과 아내에게로 이어진 운명 ... 206
4. 한(恨)의 표상으로서의 어머니 ... 210
1) 시적 자아에 투사된 자연의 비극적 인식 ... 212
2) 거덜난 쑥대밭과 내적 마음의 황폐화 ... 214
5. 운명의 수용과 한(恨)의 극복으로서의 화해 ... 221
1) 어머니의 삶에 대한 긍정과 가난의 수용 ... 221
2) 과거와의 연대의식과 갈등의 해소 ... 226
6. 결론 ... 231
이동주의 생애 및 작품 연보
1) 생애 연보 ... 234
2) 작품 연보 ... 239
제5장. 비극적 현실 인식과 서사성의 지향 - 전영경론
1. 서론 ... 249
2. 전후 현실의 내면화와 서정성의 전경화 ... 251
1) 전쟁의 모티프와 상상적 반응 ... 253
2) 고향의 모티프와 과거적 재현 ... 261
3. 파괴된 현실의 서사화와 풍자성의 전경화 ... 268
1) 단선적 목소리에 의한 현실 비판 ... 269
2) 다성적 목소리에 의한 현실 비판 ... 275
4. 소외된 현실의 모방화와 사실성의 전경화 ... 286
1) 독백적 진술과 실존적 자아 드러내기 ... 286
2) 대화적 진술과 세계 드러내기 ... 294
5. 결론 ... 302
전영경의 생애 및 작품 연보
1) 생애 연보 ... 307
2) 작품 연보 ... 313
제6장. 오늘의 상황의식과 부정의 시학 - 신동문론
1. 서론 ... 319
2. 풍선의 상징성과 한계의식 ... 323
1) 잃어버린 타자, 파열된 육체로서의 풍선 ... 323
2) 전쟁이라는 한계상황과 불안의식 ... 328
3. 제3포복의 자세와 현실비판 의식 ... 335
1) 포복의 자세와 전쟁의 대상으로서의 인간 ... 335
2) 현실비판과 자의식의 분열 ... 339
4. 결론 ... 349
신동문의 생애 및 작품 연보
1) 생애 연보 ... 351
2) 작품 연보 ... 355
제7장. 황지(荒地)의 풀잎과 광기의 시학 - 박봉우론
1. 서론 ... 361
2. 황지 의식과 신세대의 벽 ... 364
1) 시적 자아로서의 나비와 벽의 상징성 ... 364
2) 풀잎의 소생을 통한 새 삶의 의지 ... 369
3. 신(神)의 부재와 고아의식 ... 373
1) 죽어버린 신과 아가들의 절박한 잠 ... 373
2) 바위의 부동성과 묵시적 전언 ... 378
4. 유토피아의 동경과 혁명 의지 ... 381
1) 유토피아적 비전과 황지의 극복 ... 381
2) 4ㆍ19의 좌절과 혁명의 염원 ... 386
5. 시인의 사명과 광기의 시론 ... 391
1) 통일의 표상으로서 북녘과 양광성(佯狂性) ... 391
2) 신화 창조로서의 아름다운 나의 작업 ... 398
6. 결론 ... 404
박봉우의 생애 및 작품 연보
1) 생애 연보 ... 407
2) 작품 연보 ... 411
제8장. 인고와 도야로 이룬 육탈의 미학 - 김상옥론
1. 서론 ... 419
2. 현실의 고통과 인욕의 지주(支柱) ... 423
1) 눈을 뜬 강시(疆屍), 참상의 목도 ... 423
2) 잃은 풀피리, 자연의 위무 ... 426
3) 살아있는 도자, 역사의 유증 ... 429
3. 고통의 지속과 응전의 양단(兩端) ... 432
1) 황무한 고원(故園), 순수의 본향 ... 432
2) 이단의 절규, 피 흘리는 자아 ... 437
4. 자기 응시와 내면의 도야 ... 442
1) 근원을 보는 눈(眼), 삶에 대한 성찰 ... 443
2) 선혈을 덮는 눈(雪), 생명에 대한 각성 ... 449
5. 인고의 승화와 육탈의 미학 ... 453
1) 시가 된 도자, 형식의 육탈 ... 453
2) 살아서 보는 죽음, 내면의 육탈 ... 457
6. 결론 ... 460
김상옥의 생애 및 작품 연보
1) 생애 연보 ... 462
2) 작품 연보 ... 467
제9장. 그리움의 모성적 실현 - 이영도론
1. 서론 ... 475
2. 어머니와 가족에의 그리움 ... 483
1) 하늘에 닿는 푸른 그리움 ... 483
2) 모성 지향의 좌절과 외로움 ... 487
3. 삶의 의지와 현실인식의 형상화 ... 492
1) 조국과 젊음의 붉은 목숨 ... 492
2) 공동체로의 지향과 의지 ... 498
4. 모성으로의 회귀와 기원의 실현 ... 501
1) 어머니의 하얀 약손 ... 501
2) 고향회복과 치유되는 상처 ... 507
5. 결론 ... 510
이영도의 생애 및 작품 연보
1) 생애 연보 ... 512
2) 작품 연보 ... 518
부록 1 - 자료 및 참고문헌 ... 523
부록 2 - 색인 ... 53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