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일상의 삶을 통해 본 조선시대 ... 4 제1부 신분의 상징, 복식 문화 1장 18세기 남성 복식 스케치 신분을 들여다보는 거울, 풍속화 ... 16 상민들의 복식을 한눈에 보여주는 〈월야선유도〉 ... 19 모자속에 숨은 신분 ... 23 맨상투머리, 천한 존재의 표현 ... 24 두건, 서민들의 노동모 ... 25 삿갓, 상민들의 쓰개 ... 26 벙거지, 군졸이나 상민들의 모자 ... 26 초립, 갓은 못 쓰는 사람들의 모자 ... 31 갓, 양반의 전유물은 아니다 ... 33 신분의 상징, 겉옷 ... 36 도포, 사대부의 평상복 ... 37 철릭, 중인들이 입던 옷 ... 38 술띠, 신분과 지위의 상징 ... 41 창옷, 상민들이 입던 포 ... 44 저고리, 서민들의 노동복 ... 47 상민들의 바지, 잠방이 ... 49 가장 대중적인 신발, 짚신 ... 52 반과 상을 가르는 신분의 상징 ... 53 2장 의복과 머리 모양으로 표출한 여성의 멋 의복에 깃든 사람들의 생각 ... 56 신분을 숨기지 마라 ... 57 조선의 의복은 활동적이지 못하다 ... 58 사치를 금하라 ... 59 일상의 옷 ... 61 반가 여성이 입었던 평상복 ... 61 상민 여성의 일상 의복 ... 63 유행과 사치 ... 65 사치와 유행의 선두주자, 기생 ... 65 어물장수도 유행을 따르다 ... 68 머리 모양과 얼굴 가리개 ... 72 머리 모양은 자기표현의 방법 ... 72 부녀자의 외출복, 얼굴 가리개 ... 74 여성 의복의 유행과 흐름 ... 75 3장 법과 제도로 보는 복식 문화 복식에 대한 규제 ... 79 옷의 모양과 색깔을 법으로 정하다 ... 79 신분 차별에 근거한 복식제도 ... 81 색깔에도 위계가 있다 ... 85 금지되었지만 즐겨 사용하던 흰색 ... 86 황제만을 위한 색, 황색 ... 87 왕실의 색, 홍색 ... 88 관인은 청색, 서인은 흰색 ... 89 사치에 대한 규제 ... 91 사치 금지의 기본 원칙 ... 91 고급 비단옷을 장려한 연산군 ... 93 근검절약 정책 속에서도 지속된 사치 풍조 ... 94 금은보화로 장식한 얹은머리 ... 97 얹은머리를 둘러싼 논쟁 ... 99 「가체신금사목」의 제정 ... 101 사치를 부릴 수 있는 특권 ... 104 제2부 맛과 멋의 조화, 음식 문화 1장 주식, 식생활의 근원 조선시대 농업의 중심은 논농사 ... 110 곡물의 가격차가 주식을 결정하다 ... 115 조선시대 사람들은 무엇을 주식으로 했을까 ... 117 식사의 기본은 조석 두 끼 ... 124 질보다 양을 중시하던 식습관 ... 129 2장 부식, 다양한 먹거리의 풍요로움 상차림의 기본, 밥과 반찬 ... 132 다양한 부식 재료들 ... 138 채소 가장 대표적인 부식 재료 ... 139 두부, 귀하고 특별한 음식 ... 141 수산물, 대표적인 단백질 공급원 ... 142 축산물과 가공식품, 귀한 먹거리 ... 143 가공ㆍ발효식품 ... 148 장(醬), 전통 음식의 근본 ... 149 김치, 대표적인 발효음식 ... 151 젓갈, 소금과 수산물의 이상적인 조화 ... 154 정성과 격식이 담긴 의례음식 ... 155 3장 기호식품, 인간의 본능적 욕구 술과 함께하는 생활 ... 159 술 제조의 전통 ... 159 술의 종류와 음주 풍속 ... 161 술의 노래 ... 165 술집 풍경 ... 167 술 마시는 사회 ... 171 금주령의 시행 ... 177 생활의 일부가 된 담배 ... 178 담배의 보급 ... 178 금연령의 시행 ... 180 담배와 흡연 기구 ... 182 담배의 노래 ... 185 담배와 유통 분쟁 ... 187 담배의 좋은 점과 나쁜 점 ... 190 기호식품, 인간의 본능적 욕구 ... 194 4장 구황식품, 굶주림을 해결하라 구황식품이란 무엇인가 ... 196 구황, 정치적 관심사 ... 196 기근에 대한 정부의 대책 ... 198 여러 가지 구황작물과 구황법 ... 200 농서, 구황식에 대한 정보서 ... 200 소나무를 이용한 구황식 ... 201 칡을 이용한 구황식 ... 203 무청, 죽대뿌리, 느릅나무를 이용한 구황식 ... 204 도토리를 이용한 구황식 ... 205 잡곡을 이용한 구황식 ... 206 뽕나무 열매와 산나물을 이용한 구황식 ... 207 해초를 이용한 구황식 ... 208 소금, 장, 콩, 콩잎 ... 208 고구마와 감자의 역할 ... 209 고구마의 이용 ... 209 상품작물로 인식된 고구마 ... 213 감자의 이용 ... 215 제3부 참삶의 공간, 주택 문화 1장 조선시대의 삶이 담긴 전통 주택 조선시대의 집짓기 ... 220 집터 잡기 ... 221 터 닦기와 기단 만들기 ... 225 기둥 세우기 ... 228 지붕 얹기 ... 231 상량과 집들이 ... 232 전통 주택의 공간구성과 그 지혜로움 ... 235 생활 행위의 무대, 마당 ... 235 방과 방을 이어주는 마루 ... 237 생활의 중심 공간, 방 ... 238 주부권의 상징, 부엌 ... 242 조상 숭배의 진수, 가묘 ... 243 2장 조선시대 사람들의 주거 생활 19세기 말, 조선 가옥의 표준은 초가삼간 ... 247 호적을 통해 본 주거 양상 ... 248 19세기 말, 전라도 구례의 주거 모습 ... 252 72년간의 일기에 나타난 주거 생활 ... 254 18세기 말, 수원 신도시의 주거 생활 ... 258 상층 신분일수록 큰 집에서 살았다 ... 258 집값은 크기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 264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사람들의 주거 양태 ... 268 조선시대에도 세입자가 있었다 ... 268 조선 농촌의 일반적인 주거 양태, 협호살이 ... 271 분수와 예의를 갖춘 집 ... 273 3장 온돌과 주거 생활의 변화 온돌의 기원과 역사 ... 277 고구려의 장갱과 고려의 쪽구들 ... 277 조선시대 온돌방의 보급 ... 278 온돌방에 따른 생활의 변화 ... 283 조화로운 가옥 구조 ... 283 실내 장식품의 변화 ... 285 입식 생활에서 좌식 생활로 ... 286 온돌의 다양한 활용 ... 287 겨울에도 채소를 먹을 수 있는 온실 ... 287 약재 건조와 잠실 설치 ... 289 온돌의 부작용 ... 291 온돌방을 마루로 바꾸자 ... 291 땔나무를 애원하는 편지 ... 293 여전히 사랑받는 온돌 ... 296 참고문헌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