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4 제1장 고대 건축 1. 고대 건축 ... 14 2. 이집트 건축 ... 15 (1) 분묘 건축(마스타바, 피라미드) ... 16 (2) 스핑크스 Shpinx ... 21 (3) 오벨리스크 Obelisk ... 22 (4) 신전 Temple ... 23 제2장 그리이스 건축 1. 그리이스 건축 ... 30 (1) 에게 시대의 건축 ... 30 (2) 그리이스 도시 ... 32 (3) 아크로폴리스 ... 35 제3장 로마 건축 1. 로마의 형성 ... 46 (1) 로마의 도시계획 ... 49 (2) 로마 건축 ... 54 (3) 포럼 Forum ... 58 (4) 신전과 무덤 ... 61 (5) 극장과 경기장 ... 64 (6) 공중 목욕장 ... 69 제4장 로마네스크와 고딕 1. 로마네스크(11-12세기) ... 72 (1) 로마네스크 초기(11세기) ... 72 (2) 후기 로마네스크 양식(12세기초) ... 78 2. 고딕(12세기-16세기초) ... 82 (1) 중세 도시 ... 82 (2) 대성당의 건축 ... 85 (3) 새로운 양식의 완성 ... 86 (4) 개화와 확장 ... 90 (5) 불꽃식 고딕 Gothique flamboyant ... 92 (6) 건축적 장식의 중요성 ... 92 (7) 유리창 ... 94 (8) 영국식 고딕 ... 96 (9) 독일식 고딕의 영역 ... 98 (10) 이베리아 고딕의 영역 ... 100 (11) 이탈리아 고딕 ... 102 (12) 군사용 건축 ... 104 제5장 이탈리아 유럽의 르네상스 1. 이탈리아(15-16세기) ... 110 (1) 인본주의자 ... 110 (2) 완성된 작품-피렌체 대성당의 돔 ... 111 (3) 브루넬레스키 Brunelleschi의 공간 ... 113 (4) 알베르티 Alberti의 건축 이론 ... 114 (5) 도시-이론과 실제 ... 116 (6) 피렌체의 도시 궁전 ... 117 (7) 로마에서의 르네상스-고전주의를 향하여 ... 120 (8) 성베드로 성당의 공사 현장 ... 124 (9) 매너리즘 ... 126 (10) 깜삐돌리오 광장과 16세기의 도시 설계 ... 128 (11) 민간 건축 ... 130 (12) 빌라 건축 ... 132 (13) 반反개혁 성향의 교회 ... 136 2. 유럽의 르네상스 ... 138 (1) 스페인과 포르투갈 ... 145 (2) 영국 ... 146 (3) 독일과 중앙 유럽 ... 146 제6장 고전주의: 규칙과 권력 1. 프랑스에서의 고전주의-첫번째 발현 ... 153 2. 고전적 언어의 구상 ... 156 3. 보 르 비꽁뜨 Vaux-le-Vicomte성城과 프랑스의 주된 양식 ... 160 4. 베르사이유-예술과 절대주의 ... 161 5. 베르사이유를 제외한 건축 ... 166 6. 건축학회와 공식 예술 ... 168 7. 영국의 고전주의 ... 170 제7장 바로크: 새로운 건축적 도시적 공간 1. 이탈리아의 바로크 ... 178 (1) 베르니니Bernini와 보로미니Borromini의 설립자적인 작품들 ... 178 (2) 보급과 다양성 ... 184 2. 중앙 유럽에서의 바로크 ... 186 (1) 오스트리아 영역 ... 186 (2) 독일 영역 ... 187 3. 이베리아 반도의 바로크-스페인과 포르투갈 ... 191 4. 영국식 바로크 ... 194 제8장 신고전주의, 빛의 건축(1750∼1820) 1. 새롭게 만든 고고학적 모델 ... 198 2. 이론적, 구조적 합리성 ... 200 3. 프랑스에서의 신고전주의 ... 202 4. 환상을 품는 건축가들 ... 206 5. 영국에서의 신고전주의 ... 209 6. 영국에서의 신고전주의 도시 계획 ... 214 7. 유럽에서의 신고전주의 보급 ... 217 8. 신그리이스 양식 Neo-Grec, 'Greek Revival'(1800-1830) ... 220 제9장 19세기 건축: 역사주의와 공업의 사이에서 1. 다수의 역사주의자들 ... 226 (1) 고딕 양식의 복귀 ... 227 (2) 영국에서의 신고딕 양식-회화적인 것에서부터 사회 비평에 이르기까지 ... 229 (3) 독일에서의 신고딕 양식과 민족주의 ... 232 (4) 프랑스에서의 신고딕 양식-세습적이고도 합리적인 자각自覺 ... 235 (5) 절충주의 또는 포화 상태의 역사주의 ... 239 2. 건축과 공업 ... 247 (1) 건축에 있어서의 공업의 개입 ... 247 (2) 엔지니어의 역할 ... 252 (3) 상대적으로 고립된 건축가들 ... 253 (4) 이성주의理性主義의 흐름-새로운 유형학類型學과 건축혁신 ... 254 3. 도시 계획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 ... 264 (1) 유토피아로부터 수도首都에 이르기까지 ... 264 (2) 문화주의의 대안책 ... 268 4. '아르누보Art Nouveau'의 해방 운동 ...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