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B>권호명 : < / B>1
제4판 머리말 ... 3
1.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1.1. 한국문학통사 ... 15
1.2. 문학의 범위 ... 19
1.3. 문학갈래 ... 27
1.4. 시대구분 ... 34
1.5. 생극론의 관점 ... 44
2. 원시문학
2.1. 구석기시대의 언어예술 ... 51
2.2. 신석기시대로의 전환 ... 54
2.3. 민족 형성의 연원과 과정 ... 59
3. 고대문학
3.1. 건국신화ㆍ국중대회ㆍ건국서사시 ... 65
3.2. 고조선 ... 70
3.3. 부여ㆍ고구려계 전승 ... 76
3.4. 삼한ㆍ신라ㆍ가락 쪽의 사정 ... 83
3.5. 탐라국 건국서사시 ... 91
4.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4.1. 시대 설정의 근거 ... 95
4.2. 전설ㆍ민담시대로의 전환 ... 100
4.3. 짧은 노래 몇 편 ... 104
5. 중세전기문학 : 제1기 삼국ㆍ남북국시대
5.1. 한문학의 등장과 그 구실 ... 109
5.1.1. 한문 사용과 중세화 ... 109
5.1.2. 나라의 위업을 알리는 금석문 ... 118
5.1.3. 국내외의 정치문서 ... 126
5.1.4. 이른 시기의 한시 ... 130
5.2. 노래의 새로운 모습 ... 135
5.2.1. 고구려 노래 ... 135
5.2.2. 백제 노래 ... 139
5.2.3. 신라 노래, 이른 시기의 모습 ... 143
5.2.4. 향가ㆍ사뇌가 ... 149
5.2.5. 향가의 율격 ... 153
5.3. 향가의 작품세계 ... 158
5.3.1. 민요 계통의 노래 ... 158
5.3.2. 정치상황과 관련된 노래 ... 164
5.3.3. 월명사와 충담사 ... 170
5.3.4. 불교를 따른 노래 ... 177
5.4. 불교문학에서 문제된 이치와 표현 ... 183
5.4.1. 불교사와 문학사 ... 183
5.4.2. 원효 ... 187
5.4.3. 의상과 그 전후의 학승 ... 192
5.4.4. 게송과 염불 ... 197
5.4.5. 혜초의 기행문 ... 202
5.5. 설화에 나타난 상하ㆍ남녀 관계 ... 205
5.5.1. 신화적 상상의 유산 ... 205
5.5.2. 고승의 신이한 행적 ... 208
5.5.3. 영웅담의 성격 변화 ... 215
5.5.4. 하층민의 소망과 시련 ... 220
5.5.5. 설화의 정착과 변모 ... 224
5.6. 연극의 자취를 찾아서 ... 227
5.6.1. 중세의 굿ㆍ놀이ㆍ연극 ... 227
5.6.2. 고구려ㆍ백제의 놀이와 연극 ... 229
5.6.3. 신라 쪽의 상황과 처용극 ... 233
5.6.4. 다섯 가지 놀이 ... 237
5.7. 남북국시대의 상황과 문학 ... 242
5.7.1. 동아시아문학의 판도 ... 242
5.7.2. 발해문학의 위치 ... 244
5.7.3. 발해문학의 작품 ... 247
5.7.4. 신라문학과 대외 관계 ... 253
5.8. 신라 한문학의 성숙 ... 259
5.8.1. 신문왕과 설총 ... 259
5.8.2. 전성기에 이룬 작품 ... 262
5.8.3. 말기의 상황과 왕거인 ... 267
5.8.4. 최치원의 성공과 번민 ... 270
5.8.5. 최광유ㆍ박인범ㆍ최승우ㆍ최언위 ... 277
6. 중세전기문학 : 제2의 고려전기
6.1. 쟁패와 창업의 신화적 표현 ... 285
6.1.1. 건국신화의 재현 ... 285
6.1.2. 고려의 건국신화 ... 289
6.1.3. 왕실 혈통의 위기 ... 296
6.2. 향가 전통의 행방 ... 300
6.2.1. 고려전기의 향가 ... 300
6.2.2. 균여의 〈보현시원가〉 ... 302
6.2.3. 예종의 〈도이장가〉 및 관련 작품 ... 309
6.2.4. 정서의 〈정과정곡〉 ... 314
6.3. 과거제 실시와 한문학 ... 318
6.3.1. 고려 한문학의 출발점 ... 318
6.3.2. 과거제 실시 ... 321
6.3.3. 조익ㆍ왕융ㆍ최승로 ... 327
6.3.4. 현종ㆍ최충ㆍ박인량 ... 332
6.3.5. 김황원 ... 337
6.4. 불교문학의 재정립 ... 341
6.4.1. 고려전기 불교의 판도 ... 341
6.4.2. 균여와 제관 ... 343
6.4.3. 의천 ... 348
6.4.4. 계응ㆍ혜소ㆍ탄연 ... 352
6.5. 설화와 역사 사이 ... 356
6.5.1. 민간전승의 저류 ... 356
6.5.2. 화풍과 국풍 ... 357
6.5.3. 비범한 인물의 탄생 ... 360
6.5.4. 〈가락국기〉 ... 365
6.5.5. 〈수이전〉 ... 367
6.5.6. 〈삼국사기〉 ... 372
6.6. 고려전기 귀족문학의 결산 ... 380
6.6.1. 예종 시절의 풍류 ... 380
6.6.2. 동조자와 비판자 ... 384
6.6.3. 격동의 와중에서 ... 388
6.6.4. 김부식의 시대 ... 397
6.6.5. 무신란 직전의 상황 ... 401
6.6.6. 제주시인 고조기 ... 404
<B>권호명: < / B>2
7. 중세후기문학 : 제1기 고구려후기
7.1. 무신란ㆍ몽고란과 문학 ... 9
7.1.1. 시대변화의 추이 ... 9
7.1.2. 김극기가 택한 길 ... 13
7.1.3. 죽림고회의 문학 ... 16
7.1.4. 최씨정권의 문인들 ... 23
7.1.5. 이규보 ... 27
7.1.6. 대몽항쟁의 문학 ... 34
7.2. 문학의 본질과 기능에 관한 논란 ... 38
7.2.1. 〈파한집〉 ... 38
7.2.2. 이규보의 주장 ... 42
7.2.3. 〈보한집〉 ... 49
7.2.4. 최해의 시도 ... 53
7.2.5. 〈역옹패설〉 ... 56
7.3. 불교문학의 새로운 경지 ... 60
7.3.1. 불교 혁신운동 ... 60
7.3.2. 지눌과 혜심 ... 63
7.3.3. 천인ㆍ천책ㆍ운묵 ... 69
7.3.4. 충지 ... 76
7.3.5. 경한ㆍ보우ㆍ혜근 ... 80
7.4. 민족사 재인식의 시대 ... 86
7.4.1. 〈동명왕편〉 ... 86
7.4.2. 〈해동고승전〉 ... 92
7.4.3. 〈삼국유사〉 ... 96
7.4.4. 〈제왕운기〉와 그 이후의 작업 ... 102
7.5. 사람의 일생 서술방법 ... 107
7.5.1. 관심의 내력 ... 107
7.5.2. 비ㆍ지ㆍ전ㆍ장의 특성 ... 109
7.5.3. 전의 작품세계 ... 112
7.5.4.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 ... 117
7.5.5. 가전의 위상 ... 120
7.6. 속악가사와 소악부 ... 127
7.6.1. 속악가사의 특성 ... 127
7.6.2. 〈처용가〉를 비롯한 굿노래 ... 131
7.6.3. 〈동동〉ㆍ〈쌍화점〉의 노래와 놀이 ... 134
7.6.4. 〈상저가〉에서 〈정석가〉까지 ... 140
7.6.5. 〈가시리〉ㆍ〈서경별곡〉ㆍ〈청산별곡〉 ... 146
7.6.6. 소악부 ... 155
7.6.7. 참요의 문제점 ... 159
7.7. 설화ㆍ무가ㆍ연극의 양상 ... 162
7.7.1. 설화 ... 162
7.7.2. 무가 ... 167
7.7.3. 연극 ... 171
7.8. 경기체가ㆍ시조ㆍ가사의 형성 ... 176
7.8.1. 시가사와 사상사 ... 176
7.8.2. 경기체가 ... 179
7.8.3. 시조 ... 186
7.8.4. 가사 ... 195
7.9. 사대부문학의 방향과 문제의식 ... 204
7.9.1. 사대부의 성격과 사고방식 ... 204
7.9.2. 전환기의 양상 ... 206
7.9.3. 안축 세대 ... 209
7.9.4. 이곡 세대 ... 218
7.9.5. 이색 세대 ... 226
7.9.6. 정몽주 세대 ... 234
7.9.7. 귀화인의 참여 ... 239
8. 중세후기문학 : 제2기 조선전기
8.1. 조선왕조 한문학의 정착 ... 243
8.1.1. 전반적 양상 ... 243
8.1.2. 정도전ㆍ권근ㆍ변계량 ... 245
8.1.3. 원천석과 길재 ... 253
8.1.4. 조운흘에서 유방선까지 ... 258
8.1.5. 한문학 작품 집성 ... 262
8.2 훈민정음ㆍ서사시ㆍ언해 ... 267
8.2.1. 훈민정음 ... 267
8.2.2. 〈용비어천가〉 ... 273
8.2.3. 〈월인천강지곡〉 ... 280
8.2.4. 〈석보상절〉 ... 286
8.2.5. 언해 ... 290
8.3. 악장ㆍ경기체가ㆍ가사 ... 295
8.3.1. 세 노래의 상관관계 ... 295
8.3.2. 악장 ... 296
8.3.3. 경기체가 ... 302
8.3.4. 사대부가사 ... 310
8.3.5. 정철의 작품 ... 318
8.3.6. 여성가사 ... 322
8.4. 시조의 정착과 성장 ... 325
8.4.1. 왕조창건기의 시조 ... 325
8.4.2. 강호로 물러나는 전환기 ... 330
8.4.3. 영남가단과 강호가도 ... 334
8.4.4. 호남가단과 풍류정신 ... 345
8.4.5. 기녀시조 ... 352
8.5. 관인문학과 왕조사업의 표리 ... 357
8.5.1. 관인문학의 성격 ... 357
8.5.2. 집현전 출신의 문인들 ... 361
8.5.3. 전성기의 수준과 문제의식 ... 367
8.5.4. 해동강서파 ... 375
8.6. 사림문학, 심성에서 우러나는 소리 ... 384
8.6.1. 김종직과 그 제자들 ... 384
8.6.2. 왕도정치의 이상 ... 391
8.6.3. 서경덕ㆍ이황 이후의 방향 ... 396
8.6.4. 선조 때의 상황 ... 406
8.7. 방외인문학에 나타난 반감의 양상 ... 413
8.7.1. 김시습 ... 413
8.7.2. 도피와 반발의 자취 ... 420
8.7.3. 미천한 처지에서 겪는 고통 ... 427
8.7.4. 삼당시인과 임제 ... 433
8.7.5. 여성한문학의 등장 ... 441
8.8. 불교문학의 시련과 변모 ... 450
8.8.1. 척불의 타격 ... 450
8.8.2. 기화가 찾은 길 ... 453
8.8.3. 보우의 고민 ... 456
8.8.4. 휴정이 일으킨 바람 ... 459
8.9. 산문의 영역 확대 ... 463
8.9.1. 역사 서술의 양상 ... 463
8.9.2. 잡기의 모습 ... 467
8.9.3. 가전체와 몽유록 ... 472
8.9.4. 골계전 ... 479
8.9.5. 국문을 사용한 편지와 제문 ... 483
8.10. 소설의 출현 ... 487
8.10.1. 소설의 개념과 특성 ... 487
8.10.2. 〈금오신화〉 ... 489
8.10.3. 그 뒤의 소설 ... 495
8.11. 연희의 양상과 연극의 저류 ... 500
8.11.1. 나라에서 벌이는 연희 ... 500
8.11.2. 소학지회 ... 502
8.11.3. 꼭두각시놀음의 행방 ... 506
8.11.4. 탈춤의 저류를 찾아서 ... 510
<B>권호명: < / B>3
9.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 제1기 조선후기
9.1. 민족 수난에 대응한 문학 ... 9
9.1.1. 시대변화의 계기 ... 9
9.1.2. 임진왜란을 증언한 실기 ... 13
9.1.3. 잡혀간 사람들의 시련 ... 20
9.1.4. 병자호란의 경우 ... 25
9.1.5. 시가에서 이룬 체험 변용 ... 29
9.1.6. 허구적 상상에서 제기한 문제 ... 44
9.2. 정통 한문학의 동요와 지속 ... 51
9.2.1. 비판과 반성의 소리 ... 51
9.2.2. 권필과 허균 ... 56
9.2.3. 한문사대가 ... 61
9.2.4. 복고 노선의 확대 ... 68
9.2.5. 사상의 근거에 관한 논란 ... 75
9.2.6. 인습과 혁신 ... 79
9.3. 소설시대로 들어서는 전환 ... 89
9.3.1. 소설의 전반적 양상 ... 89
9.3.2. '전'이라고 한 한문소설 ... 94
9.3.3. 영웅소설 유형의 국문소설 ... 101
9.3.4. 불교적 상상의 경이 ... 109
9.3.5. 우화소설의 기여 ... 112
9.3.6. 중국소설과의 관계 ... 116
9.3.7. 〈구운몽〉ㆍ〈사씨남정기〉ㆍ〈창선감의록〉 ... 122
9.4. 문학의 근본문제에 관한 재검토 ... 130
9.4.1. 논의 방식의 다양화 ... 130
9.4.2. 문학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이해 ... 135
9.4.3. 창작방법 재정비 ... 141
9.4.4. 민족문학론의 등장 ... 148
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