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재활심리의 생리적·병리적 기초 ... 1
1. 신경전달물질 ... 2
2. 정신장애 ... 11
3. 기분(정동)장애 ... 14
4. 불안장애 ... 17
제2장 대뇌의 기능과 심리적 특성 ... 20
1. 비대칭성에 대한 발달적 이론 ... 21
2. 읽기 장애(난독증, 착독증)와 반구기능 ... 22
3. 자폐증 및 우울증과 반구기능 ... 24
4. 좌 - 우반구 기능검사 ... 27
제3장 재활심리의 심리진단적 기초 ... 30
1. 검사자의 특성 ... 31
2. 인터뷰 기술 ... 34
3. 인터뷰 방략 ... 38
4. 투사 검사 ... 48
제4장 인간-환경의 적합성과 재활 ... 53
1. 개념 ... 53
2. 사람-환경 적합성의 평가 ... 55
3. 개인적 관점 이해 ... 60
4. 적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 60
5. 개인-환경 관점의 이점 ... 63
제5장 재활과정에서의 치료적 분위기 ... 65
제6장 재활에서의 참된 도움방법 ... 72
1. 도움의 유형 ... 72
2. 제약-해결 도움의 예 ... 76
제7장 창의적인 문제해결 83
1. 문제-해결 과정의 모델 ... 85
2.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 시키는 요인 ... 88
3. 결론 ... 92
제9장 장애심리와 의식의 형성 95
1. 서론 ... 95
2. 정상과 이상적 측면 ... 97
3. 명칭붙임과 편견, 기대와의 관계 ... 100
4. 손상과 불능, 장애의 개념과 사회의식 ... 101
5. 신체와 심리적 행동형성 관계 ... 106
제9장 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변화 ... 115
1. 부정적 결과의 감소 ... 115
2. 장애 틀에 대한 극복 대 굴복 ... 116
3. 장애 체험 ... 117
4. 정보의 본질과 교육 프로그램 ... 119
5. 접촉의 본질과 효과 ... 121
6. 부정적 태도에 대한 전문가의 기여 ... 123
7. 잘못된 노력이라고 여겨지는 요인 ... 124
8. 요약 ... 125
제10장 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재활 ... 127
1. 심리·사회적 재활의 기초 ... 127
2. 심리·사회적 재활의 몇 가지 방략 ... 130
3. 결어 ... 138
제11장 신체장애에 대한 심리적 재활 ... 140
1. 신체적 장애와 자아형성 ... 140
2. 심리적 적응단계 ... 144
제12장 장애인의 사회적 소외감 ... 152
1. 소외감과 통제감 상실 ... 153
2. 소외감과 일상생활의 활동 ... 154
3. 성과 소외감 ... 156
4. 사회적 배척과 개인적 소외감 ... 157
5. 숨겨진 장애와 소외감 ... 158
6. 보조장구와 치료 과정으로부터의 소외감 ... 160
제13장 장애인의 우울증과 자살 ... 162
1. 우울증과 신체 장애 ... 162
2. 자살과 우울증 ... 163
3. 병적인 슬픔 ... 165
4. 초기 평가 ... 169
5. 우울증의 치료 ... 169
제14장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재활단계 ... 171
1. 심리사회적 문제 ... 172
2. 응급단계 ... 175
3. 기능적 훈련 단계 ... 177
4. 사후단계 ... 179
제15장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과 치료 ... 182
1. 스트레스성 반응 증상 ... 183
2. 스트레스성 반응 증상과 단계 ... 186
3. 성격적 소인 ... 187
4. 잠재적 자아 이미지 부각 ... 188
5. 문제가 되는 태도와 인지 ... 190
6.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치료 ... 191
제16장 중증 외상환자의 심리사회적 중재 ... 196
1. 위기의 심리사회적 요인 ... 197
2. 외상을 다루는 시미사회적 방안 ... 199
3. 환경적 방략과 의료진 반응 ... 202
4. 심리 상담을 위한 지표 ... 206
제17장 신체장애와 질병에 대한 심리치료 ... 208
1. 중재 ... 210
2. 신체상의 왜곡 ... 212
제18장 장애 후 지역사회에의 통합 ... 214
1. 사회화의 초기단계 ... 215
2. 공동체로의 재사회화 ... 217
3. 실제적인 함축성 ... 221
제19장 성 재활 ... 224
1. 재활 전문가의 역할 ... 225
2. 다각적인 접근 ... 228
제20장 재활에서의 정신약물치료 ... 232
1. Minor 신경안정제 ... 233
2. 항우울제(Antidepressants) ... 236
3. Major 신경안정제 ... 238
4. 최면약 ... 240
5. 리듐 ... 241
6. 통증 억제제 ... 242
제21장 집단치료와 재활 ... 244
1. 집단치료의 장점 ... 244
2. 집단 한계점 ... 245
3. 집단 구성의 문제 ... 246
4. 집단 전략 ... 246
제22장 재활심리에서의 예술치료 ... 253
1. 예술치료의 종류와 성격 ... 253
2. 미술치료를 통한 심리·사회적 재활 ... 263
제23장 정서적 재활에서의 물리치료사 ... 267
1. 치료적 관계 ... 268
2. 물리치료 기술의 사용 ... 269
3. 심리적 문제 해결을 막는 방해물 ... 273
제24장 신체장애와 작업치료 ... 280
1. 이론적 배경 ... 280
2. 심리회복에서 작업치료의 효과 ... 285
3. 중재를 위한 제안된 모델 ... 288
제25장 재활에서의 사회사업적 접근 ... 294
1. 건강, 병, 그리고 질병 ... 295
2. 사회 사업적 관점 ... 295
3. 건강간호 대 의료간호 ... 297
4. 현재 추세와 문제점 ... 298
제26장 재활대상자의 간호자와의 관계 ... 301
1. 받는 사람 ... 302
2. 가족 간호자 ... 303
3. 개인 간호자 ... 305
4. 협동 고용 ... 307
제27장 정서적 문제와 간호사의 역할 ... 309
1.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요소 ... 310
제28장 재활상담가의 역할 ... 317
1. 서언 ... 317
2. 재활상담과 재활상담사 ... 320
3. 외국의 재활상담사 양성동향 ... 328
4. 재활상담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분석 ... 334
5. 결어 ... 339
제29장 재활심리 전문가의 정신건강 ... 341
제30장 까다로운 환자와의 관계 ... 346
1. 다중 진단 ... 347
2. 치료사 - 환자 관계 ... 349
3. 치료사 - 환자 관계 ... 352
참고문헌 ... 358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