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제1부 3ㆍ1운동까지의 한국민족독립운동 ... 1
제1장 旺山 許蔿의 제2차 서울탈환 의병활동 ... 3
Ⅰ. 머리말 ... 3
Ⅱ. 왕산 허위의 의병봉기와 '13도창의대진소' 참가 ... 7
Ⅲ. 허위 선봉대와 제1차 서울탈환작전 ... 20
Ⅳ. 허위의병부대의 제2차 서울탈환작전의 기획과 준비 ... 24
Ⅴ. 십삼도창의대진소 의병연합부대의 제2차 서울탈환작전 전개 ... 27
Ⅵ. 제2차 서울탈환작전에 대항한 본국의 일본군 2개연대 증파 ... 30
Ⅶ. 허위 의병대장의 일제통감에의 요구조건 ... 32
Ⅷ. 허위 의병대장의 순국 ... 35
Ⅸ. 맺음말 ... 39
제2장 閔肯鎬의 항일 의병활동 ... 45
Ⅰ. 민긍호 의병부대의 편성과 봉기 ... 45
Ⅱ. 민긍호의병부대의 항일 의병활동 ... 46
Ⅲ. 일제ㆍ관군의 회유공작과 민긍호의 훈계 ... 48
Ⅳ. 민긍호의병부대의 서울탈환 작전 참가 ... 49
Ⅴ. 민긍호 의병대장의 순국 ... 50
제3장 新民會와 靑年學友會 ... 53
Ⅰ. 新民會의 창립 ... 53
Ⅱ. 신민회의 조직 ... 57
Ⅲ. 신민회의 목적과 이념과 전략 ... 59
Ⅳ. 신민회의 국권회복운동 ... 60
Ⅴ. 靑年學友會 ... 64
제4장 2ㆍ8 독립선언과 그 歷史的 의의 ... 67
Ⅰ. 재일본 유학생들의 2ㆍ8 독립선언 ... 67
Ⅱ. 2ㆍ8 독립선언서의 내용과 특징 ... 69
Ⅲ. 2ㆍ8 독립선언의 역사적 의의 ... 71
제5장 3ㆍ1독립운동의 봉기와 전개 ... 75
Ⅰ. 머리말 ... 75
Ⅱ. 3ㆍ1운동의 국외 태동 ... 76
Ⅲ. 3ㆍ1운동의 국내 태동 ... 81
Ⅳ. 민족대연합전선의 형성 ... 83
Ⅴ. 독립선언서와 거사일자 결정 ... 85
Ⅵ. 3ㆍ1운동의 봉기 ... 86
Ⅶ. 3ㆍ1운동의 전개 ... 88
Ⅷ. 일제의 3ㆍ1운동 탄압 ... 90
Ⅸ. 3ㆍ1운동의 특징 ... 92
Ⅹ. 맺음말 ... 96
제6장 3ㆍ1운동의 역사적 의의 ... 99
Ⅰ. 머리말 ... 99
Ⅱ. 3ㆍ1운동의 한국민족사에서의 의의 ... 100
Ⅲ. 3ㆍ1운동의 세계 민족 해방운동사에서의 의의 ... 108
Ⅳ. 맺음말 ... 117
제7장 3ㆍ1독립운동의 쟁점 ... 121
Ⅰ. 머리말 ... 121
Ⅱ. 3ㆍ1운동 동인의 外因과 內因 ... 122
Ⅲ. 3ㆍ1운동에서의 민중과 민족대표 ... 126
Ⅳ. 3ㆍ1운동의 주체세력들의 역할 ... 129
Ⅴ. 3ㆍ1운동의 비폭력 방법의 문제 ... 131
Ⅵ. 3ㆍ1운동의 성공과 실패의 평가기준 문제 ... 135
Ⅶ. 3ㆍ1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의미 ... 137
Ⅷ. 맺음말 ... 141
제8장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그 역사적 의의 ... 143
Ⅰ. 머리말 ... 143
Ⅱ.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정의 특징 ... 144
Ⅲ. 한성임시정부 조각 사례와 위치 ... 146
Ⅳ. 통합 단일 임시정부의 수립 ... 151
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역사적 의의 ... 159
Ⅵ. 맺음말 ... 161
제2부 1920년 독립군의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독립전쟁 ... 163
제9장 한국민족 항일 독립군의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독립전쟁 ... 165
Ⅰ. 3ㆍ1운동 후 독립군 무장투쟁의 고양 ... 165
Ⅱ. 봉오동전투 ... 169
Ⅲ. 봉오동대첩의 영향 ... 175
Ⅳ. 독립군의 근거지 대이동 ... 178
Ⅴ. 일본군의 간도침입 ... 182
Ⅵ. 청산리독립전쟁 ... 188
Ⅶ. 청산리대첩의 요인 ... 210
제10장 청산리독립전쟁에서의 金佐鎭部隊와 洪範圖部隊 ... 217
Ⅰ. 머리말 ... 217
Ⅱ. 청산리독립전쟁에서의 金佐鎭部隊의 활동 ... 219
Ⅲ. 청산리독립전쟁에서의 洪範圖部隊의 활동 ... 237
Ⅳ. 金佐鎭에 대한 일제의 모략전술 ... 243
Ⅴ. 맺음말 ... 245
제11장 봉오동전투 후 독립군 '토벌' 준비와 민족신문 탄압 ... 249
Ⅰ. 봉오동대첩과 일본군의 '間島地方不逞鮮人剿討計劃' ... 249
Ⅱ. 일본군 작전을 위한 보도 통제의 조치 ... 252
Ⅲ. 일제의 『동아일보』 등 무기정간 탄압 ... 254
Ⅳ. 일본군의 간도 한국인 학살(경신참변) ... 257
제12장 봉오동전투, 청산리독립전쟁 유적지 현장 답사기 ... 259
Ⅰ. 봉오동전투 유적지 답사 ... 259
Ⅱ. 청산리 백운평전투 유적지 최초의 답사 ... 264
Ⅲ. 갑산촌과 천수평전투 유적지 답사 ... 268
Ⅳ. 어랑촌 전투 유적지 답사 ... 269
Ⅴ. 용정 3ㆍ1운동 유적지 답사 ... 273
제3부 1930ㆍ40년대 한국민족독립운동 ... 277
제13장 韓國獨立軍과 朝鮮革命軍의 무장독립운동 ... 279
Ⅰ. 머리말-1930년대 양대 民族主義 獨立軍 ... 279
Ⅱ. 韓國獨立黨과 朝鮮革命黨의 聯合會議 ... 283
Ⅲ. 韓國獨立軍의 항일무장투쟁 ... 285
Ⅳ. 朝鮮革命軍의 항일무장투쟁 ... 297
Ⅴ. 맺음말-한국독립군과 조선혁명군의 유사점과 차이점 ... 313
제14장 1930년대 문자보급운동과 브ㆍ나로드운동 ... 317
Ⅰ. 머리말 ... 317
Ⅱ. 문자보급운동과 브ㆍ나로드운동의 동기 ... 319
Ⅲ. '글장님 없애기 운동'에 대한 일제의 탄압 ... 321
Ⅳ. '한글맞춤법 통일안' 제정 공포와 문자보급운동 및 브ㆍ나로드운동의 필요 ... 323
Ⅴ. '한글맞춤법 통일안' 지지와 문자보급운동 및 브ㆍ나로드운동의 실시운동 ... 329
Ⅵ. 문자보급운동의 전개 ... 335
Ⅶ. 브ㆍ나로드운동의 전개 ... 338
Ⅷ. 브ㆍ나로드운동 및 문자보급운동의 성과 ... 344
Ⅸ. 맺음말 ... 352
제15장 金九의 韓人愛國團과 尹奉吉의 上海 義擧 ... 361
Ⅰ. 머리말 ... 361
Ⅱ. 일본제국주의의 침략강화와 국제환경의 변동 ... 362
Ⅲ. 金九의 韓人愛國團 창립 ... 366
Ⅳ. 윤봉길의 망명 ... 370
Ⅴ. 김구의 상해 虹口공원 특공작전의 기획과 준비 ... 373
Ⅵ. 윤봉길의 상해 의거 대성공 ... 380
Ⅶ. 윤봉길의거의 역사적 의의 ... 385
Ⅷ. 임시정부 '特攻作戰'으로서 윤봉길의 상해 의거 ... 390
Ⅸ. 맺음말 ... 392
제16장 독립군 군사간부(장교)의 양성 ... 397
Ⅰ. 의열단의 '조선혁명 군사정치 간부학교'의 설치와 활동 ... 397
Ⅱ. 중국중앙군관학교 낙양분교 韓人特別班의 군사간부 양성 ... 406
제17장 동북인민 유격부대들의 항일무장투쟁 ... 413
Ⅰ. 抗日反滿 유격대의 성립 ... 413
Ⅱ. 동북인민혁명군의 성립과 民生團 사건의 영향 ... 420
Ⅲ. 동북항일연군과 조국광복회의 편성 ... 444
Ⅳ. 동북항일연군 제2군의 항일무장투쟁 ... 454
제18장 韓國光復軍의 창군과 활동 ... 465
Ⅰ. 머리말 ... 465
Ⅱ. 한국광복군 총사령부의 성립 ... 467
Ⅲ. 한국광복군과 9개항 行動準繩 ... 474
Ⅳ. 朝鮮義勇隊의 합편과 光復軍의 개편 발전 ... 480
Ⅴ. 光復軍工作隊의 인도ㆍ버마전선 파견과 발전 ... 484
Ⅵ. 광복군의 O.S.S. 특수훈련과 國內挺進 준비 ... 489
Ⅶ. 맺음말 ... 492
제19장 光複直前 한국민족 독립운동과 민족연합전선(1943~45) ... 495
Ⅰ. 머리말-문제의 한정 ... 495
Ⅱ. 임시정부의 연합정부로의 개편과 통일 ... 497
Ⅲ. 임시정부의 외교활동 강화와 연합국의 카이로 선언 ... 512
Ⅳ. 獨立同盟과 朝鮮義勇軍의 독립운동 ... 539
Ⅴ. 국내 建國同盟의 결성과 민족 독립운동 ... 564
Ⅵ.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국내진입 해방 작전 ... 571
Ⅶ. 맺음말-민족연합전선과 국내진입작전 ... 587
찾아보기 ... 595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