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Ⅰ. 총론(總論)
한국 전기소설의 성립과 초기소설사의 구도 ... 11
1. 『금오신화』효시설의 문제 ... 12
2. 나말여초 전기소설의 형성배경 ... 16
3. 나말여초 전기소설의 유형적 특성 ... 24
4. 맺음말 ... 27
Ⅱ. 나려시대(羅麗時代)
나말여초 전기소설과 『수이전』 ... 31
1. 관련 기록의 검토 ... 32
2. '別本'으로서의 『수이전』 ... 37
3. 『수이전』의 저자와 문헌 성격 ... 41
4. 맺음말 ... 48
「최치원」의 작자와 문헌 성격 ... 49
1. 「雙女墳記」와 雙女墳 ... 51
(1) 「쌍녀분기」기록의 검토 ... 51
(2) 쌍녀분의 실증적 고찰 ... 56
2. 「최치원」의 작자와 창작 경위 ... 59
3. 「최치원」의 문헌 성격 ... 66
4. 맺음말 ... 69
고려시대의 전기소설 ... 71
1. 고려시대 전기의 유형과 작품세계 ... 72
(1) 명혼구조의 상반된 두 지향 : 「崔致遠」 「首揷石枏」 ... 72
(2) 불교적 인연에 의한 세속적 만남과 깨달음의 상징군조 : 「調信」 「金現感虎」 ... 75
(3) 경험적 현실의 애정갈등과 ‘기이함’의 의미 변화 : 「溫達」 「薛氏女」 「都彌」 「白雲·際厚」 ... 80
2. 고려시대 전기의 존재양태와 그 특성 ... 86
3. 고려후기 전기문학의 침체와 지속 ... 90
Ⅲ. 조선전기(朝鮮前期)
선초 잡록과 전기소설 ... 97
1. 잡록의 편찬과정과 훈구문인의 역할 ... 99
2. 잡록 찬자들의 교유관계 : 그 동호인적 모임 ... 103
3. 잡록의 문헌적 속성 ... 110
4. 잡록의 전기문학 수용양상 ... 114
김시습의 『금오신화』 ... 119
1. 『금오신화』 창작의 연원 ... 120
(1) 외래적 영향과 내재적 동인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 ... 120
(2) 조선전기의 소설사적 토대와 『금오신화』의 창작·유통 ... 125
2. 『금오신화』의 작품 성격과 소설사적 위상 ... 130
(1) 『금오신화』의 작품 성격 ... 130
(2) 전기소설사적 관점에서 본 『금오신화』의 소설사적 위상 ... 135
채수의 「설공관전」 ... 141
1. 「설공찬이」와 「설공찬전」의 거리 ... 142
(1) 수록문헌의 성격 ... 144
(2) 「설공찬이」의 이본적 특성 ... 146
2. 「설공찬전」의 형성동인 ... 148
3. 「설공찬전」의 정치적 성격 ... 153
4. 맺음말 ... 158
신장안의 『기재기이』 ... 161
1. 신광한과 『기재기이』 ... 161
2. 『기재기이』에 나타난 다층적 변모의 양상 ... 169
3. 맺음말 ... 180
Ⅳ. 조선중기(朝鮮中期)
권필의 「주생전」 ... 183
1. 「주생전」 이본의 존재양태 ... 184
(1) 신독재본·묵재일기본·정경주본의 경우 ... 185
(2) 문선규본과 북한본의 이본적 위상 ... 188
2. 「주생전」의 기본 성격과 창작배경 ... 193
(1) 後識의 기록과 작품의 기본 성격 ... 193
(2) 「주생전」의 창작배경 ... 196
3. 맺음말 ... 200
조선중기 전기소설사와 『화몽집』 ... 203
1. 17세기의 소설 유통과 『화몽집』 ... 203
(1) 북한 고전소설사에서 『화몸집』의 위상 ... 203
(2) 『화몽집』의 서지 ... 207
(3) 17세기 소설 유통과 『화몽집』 ... 210
2. 조선중기 소설사의 향방과 전기소설 ... 214
(1) 조선중기 전기소설의 성격 ... 214
(2) 조선중기 전기소설의 양식적 변주 ... 220
찾아보기 ... 23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