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신체ㆍ질병ㆍ의료
1. 건강과 질병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 22
1) 건강문제와 사회학적 관점 ... 22
2) 건강 결정요인으로서의 사회적 관계 ... 27
3) 질병 규정과 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성격 ... 31
4) 건강과 질병에 의한 사회관계의 변화 ... 37
2. 근대사회, 질병관, 의료권력 ... 39
1) 권력 ... 39
2) 근대사회의 형성과 질병관 ... 43
3) 후기근대사회와 질병관 ... 47
4) 한국적 근대 ... 48
3. 보건사회학의 발전 ... 50
1) 의학의 변화 ... 50
2) 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 ... 51
3) 보건사회학의 연구영역 ... 55
제2장 건강과 질병의 불평등 분포
1. 사회체제와 건강수준 ... 61
1) 근대사회에서 사망률의 저하와 건강수준의 향상 ... 61
2) 사회체제와 건강 ... 65
2. 젠더와 건강 ... 73
1) 남녀의 사망 및 이환구조 ... 73
2) 남녀간 생물학적 차이 ... 77
3) 성 역할의 차이 ... 78
3.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건강 ... 80
1) 교육수준별 사망, 이환, 건강행동 ... 80
2) 물질적 조건에 따른 건강불평등 ... 83
3) 지위 스트레스론 ... 85
4) 문화적 차이 ... 86
5) 조작된 사실과 표류론(drift) ... 87
4. 연령과 건강 ... 88
제3장 건강과 질병의 사회적 의미
1. 의학적 모형 ... 98
1) 정신과 신체의 이원성 ... 98
2) 생물학적 일탈 ... 99
3) 특정 병인설 ... 100
4) 질병의 보편성 ... 100
5) 과학적 중립성 ... 102
6) 전문가 중심의 의료체계 ... 103
7) 과도한 개입주의 ... 103
8) 잔여적 건강개념 ... 104
9) 현대의학의 변화 ... 105
2. 사회학적 모형 ... 106
1) 사회적 상태로서의 건강과 질병 ... 106
2) 사회적 경험으로서의 질병과 건강 ... 110
3) 건강의 독자성 ... 112
4) 속성으로서의 건강과 관계로서의 건강 ... 117
3. 사회적 일탈로서의 질병 ... 119
1) 일탈과 사회통제의 개념 ... 119
2) 병 역할 ... 126
3) 병 역할 개념의 평가 ... 129
4. 사회적 낙인으로서의 질병 ... 133
1) 사회적 실재로서의 질병 ... 133
2) 정당한 일탈과 정당하지 못한 일탈 ... 136
3) 낙인의 사회적 생성 ... 138
4) 공식적 낙인과 환자의 반응 ... 140
5) 후기구조주의와 의학지식의 구성 ... 143
5. 사회적 불평등으로서의 질병 ... 146
1) 병든 사회와 질병 ... 146
2) 질병의 보편적 존재 ... 148
3) 상실모형과 박탈모형 ... 149
4) 집합적 박탈의 극복 ... 153
제4장 질병행동과 질병경험
1. 질병행동의 개념 ... 158
1) 증상의 빙산 ... 158
2) 미캐닉의 질병행동 이론 ... 160
3) 증상인식과 정당성 획득 ... 164
2. 만성질환의 경험 ... 167
1) 만성질환의 특성 ... 167
2) 생애붕괴로서의 만성질환 ... 169
3) 질병 이야기(narrative) 분석의 사례 ... 174
3. 의료이용 ... 178
1) 자가 치료 ... 179
2) 의료이용 ... 181
제5장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1. 정신, 신체, 사회 ... 188
1) 사회학적 전통 ... 188
2) 생리학적 전통 ... 190
2. 생활사건과 사회적 스트레스 ... 191
3 스트레스의 완화: 대응역량과 사회적 지지 ... 196
1) 개인의 대응역량 ... 196
2) 사회적 지지의 개념 ... 198
3) 사회적 지지의 작동 기전 ... 201
4)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지 ... 204
제6장 건강증진
1. 건강증진 개념의 발전 ... 212
1) 신공중보건학의 등장 ... 212
2) Alma Ata 선언과 Otawa 선언 ... 217
3) 한국에서의 1차보건과 건강증진 ... 224
2. 건강증진 이론 ... 225
1) 건강행동의 개념 ... 225
2) 건강신념모형과 이성적 행위이론 ... 226
3) 심리학적 이론의 한계 ... 229
3. 사회이론과 건강증진 ... 230
1) 이론적 관점의 분류 ... 230
2) 생활습관, 집단정체성, 문화 소비 ... 234
3) 권력, 위험, 감시 ... 236
제7장 의료전문화와 의료권력
1. 의학지식과 의료의 전문화 ... 241
1) 근대의학의 발전 ... 241
2) 의학교육의 변화 ... 243
2. 의료의 전문화 ... 246
1) 의료전문화의 의미 ... 246
2) 의료전문화의 과정 ... 251
3. 의료전문직의 사회적 가치와 전문직업성 ... 255
1) 직업가치 ... 255
2) 전문직업성 ... 260
4. 탈전문화와 노동자화 ... 264
1) 탈전문화 ... 264
2) 노동자화(proletarianization) ... 266
5. 전문직에 대한 사회적 통제 ... 268
1) 내부통제 ... 268
2) 외부통제 ... 270
3) 정책적 통제 ... 272
제8장 의료실천
1. 의료의 근대화와 의사 ... 278
1)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 ... 278
2) 직업가치로서의 개업주의 ... 280
3) 한국의료의 근대화 ... 281
2. 개업주의 ... 286
3. 엘리트주의 ... 291
4. 배제주의 ... 296
5. 조합주의 ... 302
제9장 대체의학
1. 대체의학의 용어와 사례 ... 310
1) 개념정의 ... 310
2) 분류 ... 312
3) 사례 ... 314
2. 대체의학의 특성 ... 317
1) 철학적 특성 ... 317
2) 사회적 특성 ... 321
3. 대체의학의 이용 ... 324
1) 외국의 경우 ... 324
2) 한국의 경우 ... 326
3) 의사들의 견해 ... 328
4. 대체의료의 제도화 ... 331
1) 대체의료 제도화의 경향 ... 331
2) 대체의료 제도화의 정치적 조건 ... 334
3) 과학성 검증 ... 337
4) 경제적 효과 ... 340
제10장 병원조직
1. 병원의 탄생 ... 346
1) 자선장소로서의 병원 ... 346
2) 통제장소로서의 병원 ... 349
3) 한국의 경우 ... 351
2. 조직이론과 병원 ... 353
1) 기계적 관료제로서의 병원 ... 354
2) 유기체로서의 병원조직 ... 357
3) 정치와 지배체계로서의 병원조직 ... 359
3. 병원의 조직구조 ... 363
1) 병원조직의 구성 ... 363
2) 기술집약체로서의 병원조직 ... 366
3) 진료부서와 행정부서 ... 369
4) 의사와 간호사의 의사소통 ... 372
5) 병원조직의 계층구조 ... 373
4. 병원조직과 환경 ... 375
1) 일반적 환경요인 ... 376
2) 업무환경 ... 379
3) 병원조직의 환경통제 전략 ... 381
제11장 의료체계의 구성
1. 의료체계의 개념 ... 388
1) 건강요구를 실현하는 의료체계 ... 388
2) 보건의료체계의 목표와 가치 ... 390
2. 의료체계의 구성요소 ... 393
1) 보건 자원 ... 393
2) 자원의 조직화 ... 399
3) 경제적 지원 ... 401
4) 관리 ... 402
5) 서비스의 전달 ... 403
3. 의료체계의 유형과 지배구조 ... 404
1) 국가모형 ... 408
2) 전문가모형 ... 410
3) 조합주의모형 ... 413
4. 한국의 의료체계 ... 415
1) 역사적 형성 ... 415
2) 한국 의료체계의 문제점 ... 417
3) 이념의 부재와 지배권력의 취약성 ... 420
제12장 의료와 국가
1. 국가와 의료전문직의 관계 ... 432
2. 체제 인증자 ... 438
3. 의료제공자 및 구매자로서의 국가 ... 443
4. 규제 및 갈등조정자 ... 449
5. 의료보험제도에서의 정부규제 ... 453
제13장 의료와 시장
1. 의료시장화의 논리 ... 462
2. 제도 논리 ... 468
3. 관리형 의료의 등장 ... 472
1) 단독형 의료 ... 472
2)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들 ... 475
3) 공급자 중심에서 구매자 중심으로 ... 478
4) 관리형 의료조직 ... 480
5) 집중화ㆍ통합화되는 의료조직 ... 483
4. 한국의료와 시장화 ... 488
제14장 의료 신기술
1. 의료 신기술과 사회 ... 498
2. 의료 신기술과 디스토피아: 생명공학기술의 경우 ... 501
1) 역사적 기원 ... 501
2) 생명공학과 의료윤리학 ... 502
3) 숙지된 동의 ... 506
4) 유전적 질환의 사회적 재구성 ... 510
5) 과학연구와 질병치료에 대한 사회적 통제 ... 514
3. 의료 신기술과 유토피아: 의료정보화의 경우 ... 517
1) e-health의 등장 ... 517
2) 기업과 e-health의 발전 ... 518
3) 사회적 의사소통구조의 변화와 e-health ... 521
4) 환자의 변화 ... 525
5) 의사의 변화 ... 528
6) 병원, 약국, 제약회사의 변화 ... 529
7) 의료조직간 관계의 변화 ... 530
8) e-health의 내재적 위험 ... 532
제15장 의료서비스 평가
1. 평가의 개념과 질 관리 ... 540
1) 평가의 개념 ... 540
2) 사회인식과 평가 ... 541
3) 의료의 질 ... 544
2. 구조평가 ... 548
1) 개념 ... 548
2) 평가방법 ... 549
3) 문제점 ... 550
3. 과정평가 ... 551
1) 개념 ... 551
2) 평가방법 ... 551
3) 문제점 ... 553
4. 결과평가 ... 556
1) 개념 ... 556
2) 평가방법 ... 560
3) 문제점 ... 562
5. 한국에서의 평가 사례 ... 563
1) 제왕절개분만 적정성 평가 ... 563
2) 수혈 적정성 평가 ... 564
3) 의료기관 평가 ... 565
6. 의료서비스 평가제도의 정착 ... 568
제16장 의료개혁운동
1. 서구의 의료개혁 ... 575
2. 한국의 의료개혁 ... 578
3. 보건의료 운동단체들의 형성(1987~1993년) ... 581
4. 정책운동의 전개(1994~2000년) ... 589
5. 시장개방과 의료의 공공성 ... 597
6. 조직과 정체성의 문제 ... 602
7. 소결 ... 605
참고문헌 ... 609
찾아보기 ... 63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