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 10 전주 ... 19 제1부 부르주아지의 토대 1. 부르주아지(들) ... 25 부르주아지인가, 부르주아지들인가? 권력, 꿈꾸거나 혹은 외면하거나 참정권 확대를 향하여 '우리와는 판이한 평범한 사람들' 부르주아지와 그 적들 2. '홈, 스위트 홈'의 그림자 ... 63 오이디푸스 갈등극 동반자적 가족, 그러나 사라지지 않은 불평등 산아제한 - 불경한 지식의 확산 연애결혼을 위하여 제2부 욕망 그리고 방어 3. 에로스 ... 97 이성애와 동성애 처녀성에 대한 집착 여성 불감증의 도그마 성생활의 즐거움 4. 공격성을 위한 변명 ... 139 보편화된 공격성 어린이에 대한 폭력 공적 복수의 사악함 공격성의 공식화 - 인종주의와 제국주의 사형제도, 지속할 것인가? 5. 불안의 이유 ... 177 불안 - 근대의 질병 '신경쇠약'의 탄생 전통의 동요와 해체 자위에 대한 공포 불안과 안정 사이에서 제3부 빅토리아 시대의 정신 6. 신의 죽음 그리고 부활 ... 211 세속화의 진전 빅토리아 시대의 세속화? 과학과 종교의 모호한 경계 근대 신비주의의 물결 과학적 합리주의를 거부하다 농민과 노동자의 탈신앙 - 부르주아의 사악한 동기 7. 의심스러운 노동의 복음 ... 253 노동의 복음 노동 - 부르주아의 미덕 노동에 짓눌린 부르주아 여성 노동자 - 교환 가능한 노동 단위 부르주아, 양심과 싸우다 8. 예술적 취향 ... 291 다양한 미적 취향 보다 쉽게 예술을 향유하다 경제적 여유로 예술을 즐기다 후원자와 평론가의 활약 9. 자기만의 방 ... 331 사생활의 이데올로기 존중받아야 할 사적 커뮤니케이션 일기의 신성함 타인에 대해 문 닫을 권리 사생활의 이론화 '자아'라는 수수께끼에 몰두하다 후주 ... 365 감사의 글 ... 375 옮긴이의 글 ... 378 참고문헌 ... 387 주석 ... 390 찾아보기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