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4
Ⅰ 신미술 도입
우리의 근대 ... 17
서양화의 도입 ... 22
휴버트 보스와 레미옹 ... 28
고희동과 신미술 ... 33
평양 출신 화가들 ... 41
일본의 문명 개화 ... 45
고부미술학교 ... 48
도쿄미술학교 ... 53
근대적 교육 기관 ... 57
봉건 의식과 근대 초의 화가들 ... 62
이종우의 예술 도정과 방랑벽 ... 64
아카데미 미술과 야수파 ... 69
풍류와 취안 ... 73
Ⅱ 신민화의 비탈길에서
서화협회 창립 ... 79
서화협회전 ... 83
1930년대의 화단 ... 91
무산 계급 미술 ... 99
김용준과 윤희순 ... 102
향토색 ... 110
녹향회 ... 112
동미회 ... 116
향토색의 다른 측면 ... 125
빛의 미술 ... 132
오지호, 김주경, 이인성 ... 138
조선미술전람회 ... 147
일본화풍의 만연 ... 153
군국주의적 경향 ... 158
선전 출신의 서양화가들 ... 162
선전 출신의 동양화가들 ... 172
Ⅲ '신감각' 회화를 꿈꾸며
식민지 시대의 모던 아트 ... 185
추상화가들 ... 194
자유미술가협회 ... 203
자유전의 작가들 ... 213
추상 회화의 계몽 ... 218
추상 회화의 이해 ... 224
Ⅳ 광복 후 미술의 흐름
광복 후 미술의 흐름 ... 233
Ⅴ 전통과 탈전통
해방 공간 ... 247
신사실파 ... 249
신사실파 작가들 ... 255
전쟁과 미술인들의 이동 ... 261
전후 미술의 과제 ... 269
박수근과 이중섭 ... 274
구세대와 신세대 ... 283
탈전통주의 ... 287
국전의 대두 ... 290
선전의 답습과 파행 ... 293
권력 기구로 전락한 국전 ... 301
객관적 사실화와 목가적 사실화 ... 305
전통 회화의 단절과 계승 ... 316
김용준과 수묵화 ... 325
해방 후 제1세대 한국화가들 ... 329
Ⅵ 현대 미술, 여러 갈래로 뻗어가다
모던아트협회 ... 345
창작미협, 신조형파, 앙가주망 ... 355
현대미술가협회 ... 359
현대미협전 ... 362
6ㆍ25 세대와 예술적 특성 ... 379
60년미술가협회, 벽 동인 ... 383
현대미협, 60년미술가협회 연립전 ... 391
해외 진출 ... 395
문화자유초대전 ... 399
현대작가초대전 ... 402
앵포르멜 이후 ... 408
기하학적 추상의 흐름 ... 416
확산되는 동양화 ... 424
실험 미술의 약진 ... 426
개념 미술의 대두 ... 435
드로잉과 화단 개편 ... 438
김환기와 유영국 ... 441
Ⅶ 평면 속으로
모노크롬 회화 ... 451
백색 모노크롬 ... 456
모노크롬의 해석 ... 463
모노파 ... 468
한지 회화 ... 470
Ⅷ 다양과 확산
전후 세계의 사실주의 ... 477
수묵화 운동 ... 485
현실과 발언, 그리고 그 이후 ... 487
다채로워진 전시 행사 ... 493
평면의 암중모색 ... 499
키치와 영상 세대 ... 504
참고 문헌 ... 509
찾아보기 ... 51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