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일러두기 ... xiii
Ⅰ. <B><FONT color ... #0000
1. 개요 ... 1
2. 고려불교의 사회적 성격과 불교 제도 ... 3
3. 종파의 성립과 발전 ... 7
4. 고려 후기 불교계의 동향 ... 15
Ⅱ. 화엄과 천태사상의 집대성 ... 21
1. 균여(均如) ... 21
[자료 1] 『화엄일승법계도』의 저자에 대해 논함 ... 23
[자료 2] 하나[一]와 여럿[多]의 연기성을 논함 ... 26
[자료 3] 중문(中門)과 즉문(卽門)의 차이를 논함 ... 27
[자료 4] 『화엄경』을 '이름 붙인 가르침'이라 하는 이유를 논함 ... 28
[자료 5] 인과(因果)는 한 찰나에 이루어진다 ... 30
[자료 6] 화엄의 동시인과설과 수행에 따른 인과설은 모순되지 않는다 ... 31
[자료 7] 인과동시설은 원만한 것과 전체적인 것을 모두 갖추고 있다 ... 32
[자료 8] 화엄의 본말원융무애설은 가르침에 따라 거두어들인 문에 해당 ... 33
[자료 9] 방편을 거두어들이는 것은 근기에 따라 나눈 문에 해당 ... 34
[자료 10] 네 가지 낮은 가르침은 방편이지만 동일한 법계를 이룬다 ... 35
[자료 11] 선지식의 법문은 부처의 마음과 같다 ... 35
[자료 12] 부처의 몸으로 내 몸을 삼으면 그 몸은 언제나 원인이며 결과이다 ... 36
[자료 13] 삼세인과설은 방편설이다 ... 37
[자료 14] 법상종과 삼론종은 모두 대승종교에 해당한다 ... 38
2. 제관(諦觀) ... 39
[자료 1] 『천태사교의』를 지은 목적 ... 40
[자료 2] 돈교(頓敎), 직설적으로 진리 자체를 설명 ... 42
[자료 3] 점교(漸敎), 진리를 근기에 따라 점차적으로 설명 ... 44
[자료 4] 중생에 따라 서로 다른 이익을 얻도록 한 비밀교 ... 47
[자료 5] 하나의 가르침에서 서로 다른 이익을 얻도록 한 부정교 ... 47
[자료 6] 부처의 일대사인연을 드러낸 최종의 가르침 ... 48
[자료 7] 장교(藏敎) ... 52
[자료 8] 통교(通敎) ... 55
[자료 9] 별교(別敎) ... 56
[자료 10] 원교(圓敎) ... 57
[자료 11] 25방편행, 지관(止觀) 실천을 준비하는 스물다섯 가지 수행법 ... 59
[자료 12] 십승관법(十乘觀法), 모든 존재의 실상을 통찰하기 위한 열 가지 관법 ... 61
[자료 13] 천태사교의를 마치며 ... 63
3. 의천(義天) ... 64
[자료 1] 화엄경의 가르침을 밝히는 논서들을 편집하면서 ... 64
[자료 2] 유식 공부의 필요성을 역설 ... 67
[자료 3] 『우란분경』 강의를 시작하며 ... 69
[자료 4] 『원각경』 강의를 시작하며 ... 71
[자료 5] 『화엄경』 「십통품」(十通品) 강의를 시작하며 ... 75
[자료 6] 진사 백중언에게 법의 제강을 설함 ... 77
[자료 7] 내시문관에게 보내는 편지 ... 78
[자료 8] 천태지자의 탑을 직접 참례하여 발원한 글 ... 80
[자료 9] 분황사 원효성사를 제사지내는 글 ... 81
[자료 10] 새로 참여한 학도에게(1) ... 82
[자료 11] 새로 참여한 학도에게(2) ... 86
[자료 12]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의 서문 ... 87
Ⅲ. 정혜결사와 수선사의 선사상 ... 91
1. 지눌(知訥) ... 91
[자료 1] 「권수정혜결사문」 도입부 ... 99
[자료 2] 「계초심학인문」 중에서 ... 102
[자료 3] 부동지(不動智) ... 104
[자료 4] 해오(解悟) ... 106
[자료 5] 번뇌망상의 본질에 대하여 ... 107
[자료 6] 깨침의 본질과 돈오의 의미 ... 109
[자료 7] 깨친 자의 수행은 어떠해야 하는가 ... 111
[자료 8] 4종의 중국선에 대한 지눌의 평가 ... 114
[자료 9] 중국선을 동화함 ... 116
[자료 10] 종밀의 마음[心] 개념을 해석 ... 117
[자료 11] 종밀의 지(知) 중심의 교의의 정당성 주장 ... 118
[자료 12] 깨닫지 못한 자들 ... 120
[자료 13] 임제선의 수용 ... 121
[자료 14] 이원론의 극복 ... 123
[자료 15] 선교일치의 배경과 방법 ... 125
[자료 16] '무명과 지혜의 동일성'에 대한 지눌의 주장 ... 127
[자료 17] 연기 대비 성기의 우월성 역설 ... 129
[자료 18] 화엄교설을 선으로 포섭 ... 131
[자료 19] 선과 교학의 상호견제와 보충 ... 132
[자료 20] 깨달음의 기초 ... 133
[자료 21] 회광반조의 중요성 ... 135
[자료 22] 진심(眞心)의 불이성(不二性) ... 136
[자료 23] 「육조법보단경발」 ... 138
[자료 24] 간화선과 보조선 ... 141
2. 혜심(慧諶) ... 147
[자료 1] 꿈의 비유 ... 148
[자료 2] 삶과 죽음은 하나이다 ... 156
[자료 3] 주인공에 관하여 ... 157
[자료 4] 무심(無心)과 무사(無事) ... 158
[자료 5] 물과 마음 ... 162
[자료 6] 지관(止觀)과 정혜(定慧) ... 165
[자료 7] 화두를 참구하는 법 ... 167
Ⅳ. 백련결사와 천태사상 ... 169
1. 요세(了世) ... 169
[자료 1] 실천수행을 중시했던 요세 ... 170
[자료 2] 지눌의 정혜결사에 참여 ... 171
[자료 3] 참회 정진에 힘씀 ... 172
[자료 4] 법화참회를 실천 ... 173
[자료 5] 정토수행을 더불어 실천 ... 173
[자료 6] 요세의 입적 ... 174
2. 천인(天因) ... 174
[자료 1] 『정명국사후집』을 지은 이유 ... 175
[자료 2] 아미타불 찬탄 ... 176
[자료 3] 『묘법연화경』에 대한 전체적인 찬탄 ... 178
3. 천책(天책) ... 179
[자료 1] 출가할 결심을 읊은 칠언절구 ... 179
[자료 2] 『아미타경』 독송을 권하여 발원하는 글 ... 180
[자료 3] 유교와 불교의 관계 및 불교의 사회적 의미 ... 181
[자료 4] 세속과 불교의 연관관계 ... 184
[자료 5] 언어로 드러난 가르침에 대하여 ... 185
[자료 6] 『선문보장록』의 저술 동기 ... 185
[자료 7] 선종과 원돈의 차이에 대하여 ... 187
[자료 8] 독송하는 강사를 조복시킴 ... 190
[자료 9] 군신들이 존중하고 신앙하는 문 ... 191
4. 보환(普幻) ... 192
[자료 1] 『능엄경』의 종지를 밝힘 ... 192
[자료 2] 마음자리에 대하여 ... 194
[자료 3] 각원(覺元)의 의미에 대하여 ... 196
[자료 4] 진상(眞常)에 대하여 ... 197
[자료 5] 마음의 본원에 대하여 ... 199
[자료 6] 각(覺)과 불각(不覺)의 관계에 대하여 ... 200
[자료 7] 성각(性覺)과 사추(四추)의 관계에 대하여 ... 203
[자료 8] 전상(轉相)과 현상(現相)의 관계에 대하여 ... 204
[자료 9] 허공과 공성의 관계에 대하여 ... 205
Ⅴ. 고려불교계의 역사의식 ... 207
1. 일연(一然) ... 207
[자료 1] 『중편조동오위』의 서문 ... 208
[자료 2] 동산오위현결의 보충설명 ... 212
[자료 3] '정위'라는 개념의 연원 ... 215
[자료 4] 『삼국유사』의 「기이제일」(紀異第一) ... 215
[자료 5] 고조선의 건국 ... 217
2. 각훈(覺訓) ... 219
[자료 1] 신라의 불교 도입 ... 219
[자료 2] 법흥왕의 출가와 그 이후 ... 221
[자료 3] 법흥왕과 염촉에 대한 찬(贊) ... 223
[자료 4] 원광(圓光)의 사적에 대한 찬(贊) ... 224
Ⅵ. 임제선과 여말 선사들의 선사상 ... 227
1. 보우(普愚) ... 227
[자료 1] 「태고암가」와 발문(跋文) ... 230
[자료 2] 보우의 임제선 제일주의 ... 234
[자료 3] 공민왕과 보우의 관계 ... 236
[자료 4] 보우의 원나라 유학과 중국 임제종의 계승 과정 ... 237
[자료 5] 보우의 선맥 계승에 대한 자부심 ... 239
[자료 6] 공적영지의 수용 ... 240
[자료 7] 정토신앙의 선불교적 수용 ... 241
2. 혜근(慧勤) ... 243
[자료 1] 나옹의 중국 임제선 계승 ... 245
[자료 2] 「공부십절목」 ... 247
[자료 3] 화두 참구의 중요성 ... 249
[자료 4] 공적영지의 수용 ... 250
[자료 5] 지공의 무심선을 계승 ... 252
[자료 6] 나옹의 죽음 ... 253
[자료 7] 「완주가」(翫珠歌)와 「고루가」(枯루歌) ... 255
3. 경한(景閑) ... 261
[자료 1] 조사선이란 무엇인가 ... 263
[자료 2] 「선교통론」(禪敎通論) ... 267
[자료 3] 석옥의 사세송(辭世頌)과 경한의 정통 의식 ... 269
[자료 4] 무심(無心) 법문 ... 271
[자료 5] 『불조직지심체요절』의 전등사(傳燈史) ... 274
4. 야운(野雲) ... 277
[자료 1] 경각심을 일깨움 ... 278
[자료 2] 경책의 구체적인 내용 열 가지 ... 280
[자료 3] 수행의 다급함과 불가피성 ... 281
Ⅶ. 고려대장경의 조판 ... 285
[자료 1] 초조고려대장경 조판 ... 286
[자료 2] 국본의 소실과 고려대장경의 완성 ... 287
[자료 3] 고려대장경의 구조와 조성 연대 ... 288
[자료 4] 고려대장경의 성격 ... 289
[자료 5] 조판 동기 ... 290
[자료 6] 조판 사업의 주체 ... 296
[자료 7] 조판 장소: 분사대장도감의 존재 ... 298
[자료 8] 조판 경위: 교정 내용을 중심으로 ... 298
찾아보기 ... 311
발간사 ... 32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