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서장 조선조 유학자의 정체성 갈등 ... 17
1. 갈등의 유형 ... 17
2. 유사(游士)와 군자유(君子儒) ... 20
3. 진유(眞儒)와 실학(實學) 논쟁 ... 24
4. 내성(內聖)의 길과 외왕(外王)의 길 ... 28
5. 천리의 이상과 인욕의 현실 ... 32
6. 중심 문화와 주변 문화 - 화이론(華夷論) ... 34
제1장 포은 정몽주와 조선 유학의 정향 ... 43
1. 그가 왜 동방 이학(理學)의 조종(祖宗)인가? ... 43
2. 시문(詩文)에 나타난 성리 사상 ... 49
3. 불교에 대한 비판적 인식 ... 58
4. 정몽주 사상과 조선조 유학의 성격 ... 64
제2장 양촌 권근의 「주역천견록」 ... 68
1. 여말 선초의 역학(易學) ... 68
2. 「주역」 : 오경(五經)의 전체(全體) ... 70
3. 상수(象數)와 의리(義理)는 상보 관계 ... 72
4. 천도의 변역과 인도의 변역 ... 75
5. 「주역천견록」의 불교 비판 ... 78
6. 「정전(程傳)」ㆍ「본의(本義)」에 대한 비판 ... 88
제3장 매월당 김시습의 상변과 의리 철학 ... 99
1. 마음은 유자, 행적은 불자[心儒跡佛] ... 99
2. 도교ㆍ불교에의 출입과 그 인식 ... 103
3. 성리 사상과 귀신론의 이해 ... 107
4. 상변(常變)과 의리(義理)의 문제 ... 112
5. 깨끗한 몸가짐과 권도에 맞는 은둔 ... 117
제4장 퇴계 이황의 치지론과 이도설 ... 122
1. 「대학」과 치지론(致知論) ... 122
2. 치사(致思)와 존리(尊理) ... 128
3. 마음의 인식 능력과 사물의 이치 ... 133
4. 진리가 내게로 온다 : '이자도(理自到)' ... 138
5. 이도(理到)와 이발(理發) ... 143
제5장 고봉 기대승의 대화론 ... 150
1. 이(理)와 기(氣)는 함께 발동한다 ... 150
2. 천지의 도와 성인은 하나의 이치 ... 156
3. 천인상응에 대한 신념 ... 161
4. 대화론(大化論)과 물(物)-심(心)의 관계 ... 167
제6장 율곡 이이의 실리자연관 ... 176
1. 이이 철학 연구에서의 책문의 가치 ... 176
2. 역수(易數)ㆍ천도(天道)ㆍ절서(節序) : 실리(實理)자연관 ... 179
3. 사생(死生)ㆍ수요(壽요)ㆍ기도(祈禱)ㆍ신선(神仙)ㆍ실심(實心)자연관 ... 190
4. 실리와 실심의 만남 : 자연과 인간의 화해 ... 203
제7장 우암 송시열의 이기심성관 ... 210
1. 17세기의 과제 : 인심의 회복과 대의(大義)의 확립 ... 210
2. 태극론은 극본궁원론(極本窮源論) ... 215
3. 형(形)ㆍ도(道)ㆍ기(器) 삼단설(三段設) ... 221
4. '마음은 기다(心是氣)' ... 227
5. '성정일리(性情一理)'와 사칠합일(四七合一) ... 231
6. 천리(天理)ㆍ인욕(人欲) ... 236
제8장 미수 허목의 박학적 정의관 ... 241
1. 갈등 시대의 대안 모색 ... 241
2. 고경학적(古經學的) 기반 ... 243
3. 재이론적(災異論的) 정의관 ... 248
4. 춘추학적 왕통(王統) 중시의 예론(禮論) ... 252
5. 북벌(北伐)과 절의(節義)의 문제 ... 254
제9장 남당 한원진의 『주자언론동이고』 ... 259
1. 『주자언론동이고』 편정의 발단과 경위 ... 259
2. 『주자언론동이고』의 체재 ... 273
3. 주자 언론의 '동이(同異)'를 논하는 철학적 의미 ... 278
4. '말은 다르나 뜻은 같은 경우'의 회통 ... 280
5. 한계와 남는 느낌 ... 292
제10장 봉암 채지홍의 인물성론 ... 296
1. 18세기 철학 담론 : 인성과 물성의 차이 ... 296
2. 태극론과 성론(性論)의 차이 ... 300
3. 본연ㆍ기질과 미발ㆍ이발의 논의 구조 ... 302
4. 미발시의 함양 공부 ... 307
5. 금수의 오상과 사람의 오상 ... 310
6. 편전(偏全)ㆍ통색(通塞)ㆍ수박(粹駁) ... 316
제11장 번암 채제공의 이단관 ... 321
1. 서학(西學)에 대한 초기 반응 유형 ... 321
2. 비판적 이해 ... 326
3. 이적(夷狄)과 이단 : 숲 속의 새와 밭에 들어온 새 ... 334
4. 서학 대책 : 교도와 서책은 구별해야 ... 339
제12장 다산 정약용의 관중관 ... 349
1. 행사(行事)의 철학 ... 349
2. 「팔일(八佾)」편 '관중의 그릇이 작다[管仲之器小]' 장 주석 ... 352
3. 「헌문(憲問)」편 '관중은 사람이다[管仲人지]' 장 주석 ... 355
4. 「헌문(憲問)」편 '관중은 죽지 않는다[管仲不死] 장 주석 ... 357
5. 「헌문(憲問)」편 '관중은 인자가 아닌가[管仲非仁者與]' 장 주석 ... 363
제13장 화서 이항로의 서학관 ... 370
1. 정사(正邪)에 대한 사림의 강고해진 의식 ... 370
2. 사림의 서학 수용 배경과 비판론 ... 374
3. 벽사(闢邪)와 양화론(洋禍論) ... 382
4. 구도(求道)와 기복(祈福)의 갈등 ... 388
제14장 간재 전우의 존성명기 ... 393
1. 조선조 유학 최후의 담론 : 성학(性學) ... 393
2. 성이 존귀하다 : 존성지학(尊性之學) ... 396
3. 인성과 물성은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 401
4. 기질성이란 무엇인가 : 명기지학(明氣之學) ... 408
5. 기질의 본체는 맑다 ... 411
6. '이일분수(理一分殊)'와 편전(偏全)의 문제 ... 414
맺음장 진유ㆍ실학ㆍ유사 ... 423
1. 14인 학문의 개요 ... 423
2. 진유와 실학 ... 435
3. 또다시 유사(游士)들의 시대가 왔는가 ... 439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