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동북아 문화공동체'와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 5
자료 차례 ... 20
제1부 동북공정은 깃털에 불과하고 몸통은 따로 있다
제1장. 동북공정은 국가 전략의 일환이다 ... 26
제2장. 동북공정은 '고구려공정'이 아니다 ... 32
제3장. 동북공정은 선행하는 역사관련 공정들의 연장선상에 있다 ... 35
1.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大工程) ... 35
2. 중국고대문명탐원공정(中國古代文明探源工程) ... 41
3. 서남공정, 서북공정, 동북공정 ... 42
1) 중국 최고지도자의 아킬레스건 '치수(治水)'와 '분열방지' ... 42
2) 서남공정, 서북공정, 동북공정 ... 47
제4장. 한반도를 염두에 둔 다양한 역사관련 작업들도 진행되었다 ... 53
1. 귀근원ㆍ중화삼조당 건립과 치우 끌어안기 ... 53
1) 귀근원과 중화삼조당 ... 53
2) 탁록현의 황제 유적과 치우 유적 ... 60
2. 단군신화의 웅녀(熊女) 껴안기 ... 72
3. 길림성 통화현 여명문화(黎明文化)에 대한 함구 ... 77
제5장. 중국의 역사관련 공정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꿔야 한다 ... 86
1. 동북공정 등은 단순한 '역사 문제'가 아니다 ... 86
2. 기존 시각의 문제점 ... 89
3. 새로운 시각으로 역사관련 공정들을 보자 ... 90
제1부 주 ... 94
제2부 세계를 놀라게 한 홍산문화와 요하문명
제6장. 홍산문화 이전의 요하 지역 주요 신석기문화 ... 100
1. 요하 유역의 주요 신석기문화 개괄 ... 101
2. 소하서문화(기원전 7000~기원전 6500년) ... 106
1) '동북 지역 최고(最古)의 신석기문화 유적'으로 입증 ... 106
2) '동북 지역 최고(最古)의 흙으로 만든 얼굴상(陶塑人面像)'의 발견 ... 108
3. 흥륭와문화(기원전 6200~기원전 5200년) ... 109
1) '세계 최고(最古)의 옥' 발견 ... 109
2) '중화원고제일촌' 혹은 '화하제일촌'의 발굴 ... 119
3) 최초의 용 형상물 '저수룡(猪首龍)'의 발견 ... 121
4) 동북 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빗살무늬토기' 발견 ... 123
4. 사해문화(기원전 5600년~) ... 129
1) '세계제일옥(世界第一玉)'의 발굴 ... 131
2) '중화제일용(中華第一龍)'의 발굴 ... 131
3) '요하제일촌(遼河第一村)'의 발굴 ... 138
5. 부하문화(기원전 5200~기원전 5000년) ... 140
1) 가장 오래된 '복골(卜骨)'의 발견 ... 140
2) 골복의 전통으로 알 수 있는 신석기 동일문화권 ... 143
6. 조보구문화(기원전 5000~기원전 4400년) ... 144
1) '중화제일봉(中華第一鳳)'의 발굴 ... 144
2) 요서 지역 최초의 채도(彩陶) 발굴 ... 146
7. 소하연문화(기원전 3000~기원전 2000년) ... 151
1) 갑골문의 전신 '도부문자(陶符次宇)'의 발견 ... 151
2) 세계를 놀라게 한 요서 신석기문화 ... 153
제7장. 세계를 놀라게 한 홍산문화 ... 155
1. 홍산(紅山)의 위치와 지형적 조건 ... 156
2. 초기 홍산문화의 발견과 명명(命名) ... 159
1) 일본의 고고학자 도리이 류조 ... 159
2) 프랑스 신부 에밀 리쌍 박사 ... 160
3) 양계초(梁啓超)의 아들인 양사영(梁思永) ... 161
4) 일본학자들로 구성된 '제1차 만몽학술조사단(滿蒙學術調査團)' ... 164
5) '일본 고고학의 아버지' 하마다 고사쿠 ... 165
6) 역사교사 동주신(?柱臣)이 우하량 유적지를 최초로 발견 ... 166
7) 윤달(尹達)에 의해 '홍산문화'로 정식으로 명명되다 ... 167
3. 세계를 놀라게 한 우하량유적의 발견 ... 170
1) 우하량유적의 발견과 특징 ... 170
2) 우하량 제2지점 제단(祭壇) 유적지 ... 172
3) 우하량 제2지점 여신묘(女神廟) 유적지 ... 186
4) 지금도 새롭게 발견되고 있는 거대 적석총 유적지 ... 193
제8장. 중화문명의 시원지로서의 요하문명ㆍ홍산문화 알리기 ... 195
1. '적봉홍산문화학회'의 설립과 '중국고대북방문화 국제학술연토회' ... 196
2. 요하문명과 홍산문화에 대한 CCTV의 특집 방송 6편 ... 204
3. 요하문명론과 홍산문화 관련 최근의 논문과 저서들 ... 206
4. 적봉학원 홍산문화국제연구중심의 설립과 활동 ... 209
5. 적봉시위원회 선전부의 '적봉역사문화총서' 6권 ... 211
제2부 주 ... 214
제3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응용
제9장.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새로운 '중화민족' 개념의 탄생 ... 222
1. 제1차 대토론(1950~1960년대) ... 223
2. 제2차 대토론(1970년대 말~1980년대 말) ... 226
3. 제3차 대토론(1990년대~) ... 237
4. 2000년 이후 주요논문 정리요약 ... 238
1) 예군민(倪軍民)ㆍ경철화(耿鐵華)ㆍ양춘길(楊春吉) ... 238
2) 마대정(馬大正) ... 243
3) 손진기(孫進己) ... 247
(1) 각 민족의 '통일적 다민족국가' 참여에 대한 기준 확정 ... 247
(2) 중국 다민족국가 형성의 방식과 시작에 대한 시각 ... 250
(3) 다민족국가의 발전 전망과 구도 ... 256
(4) '통일적 다민족국가' 중국의 형성 발전 과정과 시기 구분 ... 257
5. 새로운 '중화민족' 개념의 탄생 ... 259
제10장. 중화문명의 기원지에 대한 입장의 변화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적용(1) ... 263
1. 황하 중류 앙소문화를 중화문명의 기원지로 ... 263
2. 장강 하류 하모도문화를 중화문명의 기원지로 ... 264
3. 요하일대 사해ㆍ홍산문화를 중화문명의 기원지로 ... 265
제11장. 요하문명론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적용(2) ... 268
1. '요하문명론' 등장의 배경 ... 268
2. 요녕성박물관 '요하문명전'의 주제 및 핵심적인 내용 ... 271
제3부 주 ... 282
제4부 요하문명의 진정한 주인공은 누구인가?
제12장. 홍산문화, 요하문명과 한반도의 연계성 ... 294
1. 요서와 요동을 포함한 만주 지역은 중원과는 서로 다른 문명권이었다 ... 295
2. '동북 지역 최초의 신석기문화'는 요하에서 시작되었다 ... 297
3. 기원전 6200년경에 이미 요서와 요동 그리고 한반도는 교류가 있었다 ... 299
4. 요하 일대 유물은 만주와 한반도에서만 나타난다 ... 301
5. '용(龍)'과 '봉(鳳)'도 요하 유역에서 기원하여 전파된 것이다 ... 303
6. 갑골점, 갑골문의 기원도 요하에 있다 ... 304
7. 왜 한반도 서해안 인대에는 요하 지역과 같이 오래된 신석기 문화가 없는가? ... 309
제13장. '흐름'과 '교류'의 역사로 우리의 상고사를 보자 ... 311
1. '홍산문화'는 곰 토템족으로 단군신화의 웅녀족이다 ... 312
1) 옥기(玉器)문화는 북방계통 세석기문화의 후속문화이다 ... 313
2) 우하량 여신묘 주실(主室) 중앙에는 곰 형상의 웅룡(熊龍)이 있있다 ... 313
3) 홍산문화의 옥룡은 대부분 곰 형상의 옥웅룡(玉熊龍)이다 ... 317
2. 그렇다면 단군신화의 환웅족은 누구인가? ... 327
1) 환웅족은 홍산문화로 유입된 새로운 집단이다 ... 327
2) 한국역사를 주도한 부여족과 신라 김씨 왕족의 이동 루트 ... 331
3. '흐름'과 '교류'의 과정으로 보아야 역사의 실체가 보인다 ... 332
제14장. 흐름과 교류의 산물 '삼족오(三足烏)' ... 335
1. 삼족오에 대한 오해 ... 335
2. 중국의 시기별 삼족오 형상 ... 340
1) 앙소문화 채도에 보이는 삼족오 ... 340
2) 상대 청동기에 보이는 삼족오 ... 341
3) 주대의 청동 입체 삼족오상 ... 343
4) 춘추시대 청동 입체 삼족조상 ... 345
5) 전국시대 삼족오 ... 346
6) 진ㆍ한대의 삼족오 ... 346
7) 한대 이후의 삼족오 ... 351
3. 고구려에서 삼족오의 화려한 부활 ... 352
4. 일본으로 건너간 삼족오 ... 360
1) 일본 삼족오의 기원지 '웅야(熊野) 3신사(神社)' ... 360
2) 일본의 가문(家紋)으로 사용되는 삼족오 ... 369
3) 일본축구협회 삼족오 상징의 유래 ... 370
4) 일본 천왕과 삼족오 ... 373
5) 각종 삼품으로 부활하는 삼족오 ... 377
5. 삼족오의 다리는 왜 3개일까? ... 379
6. 삼족오의 탄생과 전파 과정 ... 383
제15장. 요하문명ㆍ동북아문명을 동북아시아 공동의 문명권으로 가꾸자 ... 386
1. 갈등 국면의 한ㆍ중ㆍ일 관계 ... 386
2. 문명이란 무엇인가? ... 388
3. 유럽의 '에게문명'을 타산지석으로 삼자 ... 391
4. '흐름과 교류'의 역사관과 '열린 민족주의'를 동북아 각국이 공유하자 ... 392
5. '요하문명' 혹은 '동북아문명'을 동북아시아 공동의 문명권으로 가꾸어 가자 ... 393
6.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 395
제4부 주 ... 397
찾아보기 ... 402
닫기